• 제목/요약/키워드: 스트레스원

검색결과 986건 처리시간 0.023초

호텔기업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otion Labor on Job Stress and Burnout for the Hotel Employee)

  • 박영배;안대희;이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853-864
    • /
    • 2009
  •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감정노동의 개념은 이론적 실증적으로 매우 중요하나 아직까지 연구가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서울지역 특급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회수된 설문지 330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종사원의 감정표현 주의정도, 감정표현 빈도, 감정부조화는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표현의 빈도, 감정부조화는 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호텔산업에 있어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노인경비원의 폭력피해 경험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lderly private security guards about their victimization experience in the workplace and their perception of occupational stress)

  • 홍국표;오규철;이창배
    • 시큐리티연구
    • /
    • 제36호
    • /
    • pp.469-492
    • /
    • 2013
  • 전반적인 사회의 고령화 추세에 따라 민간경비에 종사하는 노인근로자의 비중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경비원에 대한 선행연구는 아직 많지 않고, 특히, 노인경비원이 폭력피해를 당할 위험에 상당 부분 노출되어 있어 그들의 폭력피해 경험에 대한 실태조사가 시급하다. 본 연구는 전국의 55세 이상 노인경비원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그들이 경험한 신체적 언어적 폭력피해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폭력피해 경험의 여부가 노인경비원들이 인식하는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노인경비원들은 신체적 폭력피해보다 언어적 폭력 피해를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응답하였고, 직장 내 상사나 동료보다는 고객으로부터의 폭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언어적 폭력피해를 경험한 노인경비원이 그렇지 않은 경비원에 비해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신체적 폭력피해의 경험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근로자를 대상으로 행해지는 신체적 언어적 폭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 PDF

민간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Private Security Agents)

  • 김경식;김상진;이광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75-1179
    • /
    • 2009
  •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09년 2월 23일부터 3월 30일까지 35일간에 걸쳐 서울소재 민간경비회사 14개 업체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420부를 배부하였으며, 극단치가 있거나 미회수된 설문지 등 66부를 제외하고 총 356부를 최종표본으로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6.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통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는 이웃의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관계가 있으나, 가족의 사회적 지지와는 관계가 없다. 둘째, 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는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가족에 의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높다. 이를 종합해보면, 이웃의 사회적 지지는 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

  • PDF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 반응 유형과 심박변이도의 관련성 (Relationships of Psychological Factors to Stress and Heart Rate Variability as Stress Responses Induced by Cognitive Stressors)

  • 장은혜;김아영;유한영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71-8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 반응 요인과 인지 스트레스원에 의해 유발된 심박변이도의 변화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33명의 실험참여자는 지난 2주 동안 경험한 스트레스에 대하여 정신적 신체적 증상들을 스트레스 반응 척도 상에 평가하였다. 또한 실험참여자가 인지 스트레스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심전도 신호가 기록되었다. 심박변이도 지표로서, R-R간격의 표준편차(SDNN), 연속한 R-R 간격 차이 값의 평균제곱근(RMSSD)과 심박변이도의 저주파 성분(LF)과 고주파 성분(HF)의 비율이 추출되었다. 스트레스 반응은 회복기 동안의 평균에서 기저선의 평균을 뺀 차이값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 요인과 심박변이도 지표들과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스트레스에 대한 공격 반응의 증가는 모든 심박변이도 지표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 모든 심박변이도 지표의 증가는 자율신경계가 동시에 활성화됨을 의미한다. 즉, 공격 반응의 증가는 교감 및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또한 긴장, 우울, 피로와 좌절은 RMSSD와의 정적 상관이 있었다. RMSSD의 증가는 부교감신경계 활성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긴장, 우울, 피로, 좌절의 증가와 부교감 신경의 활성도의 증가가 연관이 있었다. 이러한 자율신경의 공동 활성화는 주의 집중을 요하는 인지 스트레스원에 대한 통합된 반응으로 여겨진다.

신임 소방대원의 직무관련 출동 스트레스와 대처 (Duty-related incidental stress and the coping method in new firefighters)

  • 백미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3-62
    • /
    • 2014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목적은 신임소방대원 직무 관련 출동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직무관련 출동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직무관련 출동 스트레스원은 Beaton 등(1998)이 사용한 33개 문항의 VAS(Visual Analogue Scal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대처 방식 척도는 이장호와 김정희(1988)의 62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program을 이용하여 t -test와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과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잘못된 신고로 인한 출동이 가장 빈번하게 노출되는 스트레스원(95건, 71.4%)이고 이때 가장 많은 스트레스(3.84)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관련 출동 스트레스는 적극적 대처(r = .420, p < .001)와 소극적 대처(r = .450, p < .001)에서, 적극적 대처는 소극적 대처(r = .890, p <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직무관련 출동 스트레스 영향요인은 수동적 대처(t = 2.12, p < .05), 동료가 부상이나 죽음위험을 경험을 한 경우(t = 3.30, p < .001), 근무기간이 6개월 이내(t = -2.30, p < .05), 본인이 부상이나 죽음경험을 한 경우(t = 2.05, p < .05)로 나타났다. 결 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행되지 않도록 적극적 대처에 대한 교육과 중재의 제도개선이 요구되고 사회적 지지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스트레스 골절

  • 배상원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대한정형외과 스포츠의학회
    • /
    • pp.11-13
    • /
    • 2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