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토리

Search Result 2,24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Effects of Storytelling of Korean Food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sentence style and preliminary Knowledge - (스토리텔링이 한식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장의 문체, 사전지식을 중심으로-)

  • Song, Young-A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5-106
    • /
    • 2015
  •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전공자, 음식 전공자, 마케팅 전공자가 음식 관련 스토리 창작을 위한 방법론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실험연구이다. 기존 음식 스토리텔링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스토리가 [왜 필요한가?], [왜 중요한가?]에 대한 답을 제공해주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한 단계 나아가 [어떻게 창작할 것인가?]에 답을 제공하고자 스토리 창작을 위한 첫 번째 고민인 스토리의 문체에 집중하였다. 따라서 독립변수로 음식 스토리텔링의 유 무, 음식과 스토리텔링에 관한 지식의 정도(초심자 전문가), 스토리의 문체(구어체 문어체)가 음식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면밀히 검증하였다.

  • PDF

Visualization of Scene Graph for Representation of Story (스토리 표현을 위한 장면 그래프의 시각화)

  • Im, Hong Gab;Baek, YeongTae;Park, Se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347-348
    • /
    • 2016
  • 스토리에 의해서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이 결정되고 콘텐츠에 대한 흥행과 보급에 핵심 요소가 된다. 현재까지의 스토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인문학의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인문학에서는 스토리를 창작하는 방법과 스토리에 대한 해석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콘텐츠 산업의 핵심요소인 스토리를 창작하거나 해석하기 위해서는 스토리를 한눈에 보고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해석 방법과 시각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토리의 무대가 되는 공간 정보와 인물 정보가 함게 고려된 장면 그래프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고 설명한다.

  • PDF

The Meaning and Applications of Storytell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Focused o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초등수학교육에서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적용 방안 -초등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 Park, Mangoo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7 no.3
    • /
    • pp.413-43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athematical storytelling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propose some applications for better storytelling, Storytelling strategies were introduced for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on mathematical concepts and improv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2nd grade mathematics textbook that employs storytelling strateg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rrent storytelling textbook chapter is designed to appreciate students' intellectual autonomy. Second, current storytelling textbook chapter includes the storytelling that helps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and exercise mathematical skills. Third, current storytelling textbook chapter is designed for enhancing students' interest and helping students' character education.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a long term field-based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for more improved mathematical storytelling materials. Second, a digital format storytelling also needs to be developed as an alternative strategy of mathematical storytelling, which reinforces interactions between teller and listeners.

  • PDF

테마연재 / 디지털영화 스토리텔링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11 s.126
    • /
    • pp.78-89
    • /
    • 2003
  • 급격한 정보화 사회로의 발전과정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게임, 애니메이션, 디지털영화, 웹 에듀테인먼트, 웹 홍보 등 광범위한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 미디어의 특징에 힘입어 과거 헐리우드 영화와 같은 아날로그 스토리텔링의 문화적 제국주의를 극복하는 민주적, 평등적 속성을 안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의 제작, 육성을 국가적 비전으로 삼아야 할 이 때,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대적인 요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월간 <디지털콘텐츠>는 지난 5월 설립된 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의 도움을 받아 업계 관계자들이 주목해야 할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다양한 내용들을 8회에 걸쳐 연재한다.

  • PDF

A Study on De-Duplication for Cloud Storage Systems (클라우드 스토리지 시스템을 위한 중복제거 기술 연구)

  • Kim, Taehun;Kim, Jee Hong;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88-190
    • /
    • 2012
  •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급증하면서 데이터 중복으로 인한 스토리지의 저장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중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스토리지 환경에서는 다양한 데이터 중복제거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위한 데이터 중복제거 기술의 분석을 통하여 대규모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의 데이터 중복 제거율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스토리지 중복제거 기술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A Study on Story Pass in Game Play (게임 플레이에서 스토리 패스 현상에 대한 연구)

  • Hong, Min-Gi;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93-495
    • /
    • 2020
  • 게임의 스토리는 게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스토리를 통해 플레이어가 게임에 자연스럽게 녹아 들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게임 진행에 대한 당위성을 부여하고 더 나아가서는 게임 스토리가 게임의 핵심 재미 요소가 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스토리를 RPG 장르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게임 스토리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하여 현재 발생하고 있는 게임 스토리 패스에 대한 분석과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Storytelling in the sense of Performance Theory (연행론의 관점에서 본 전통 스토리텔링)

  • Kim, Kyung-Seop;Kim, Jeong-La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2
    • /
    • pp.123-130
    • /
    • 2018
  • Storytelling is a compound of two words, 'story' and 'telling'. While the static aspect of 'story' has been emphasized, the dynamic and specific aspect of telling has been ignored. So, in the argument of 'storytelling', it is necessary to break from talking about 'story' and discuss the matter in terms of 'telling' and 'interaction'. In order to accept this need, the term 'Traditional Storytelling' is coined to engage 'oral-storytelling situation' more actively. When 'storytelling' is expressed by a storyteller, it can be referred to 'traditional storytelling', called 'oral performance'. In fact, the storytelling, which has a long history, originated from oral storytelling such as 'oral narration'. It is natural that our current storytelling isn't the same storytelling of an oral period, but the traditional storytelling casts a few crucial viewpoints to us these days when 'telling'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first place, it is 'reflexivity' that we should note in the form of traditional 'storytelling'. It is a kind of self-reference which means reflecting and looking back at oneself in the form of narration. Through this reflexivity, the storytelling is affected by the site of telling and an aspect of one-off thing very frequently. Another point we need to note is a frame. Through this frame, the traditional storytelling come to hold time and space of narration.

A Study On User Experience Based Storydoing Operating Principles (사용자 경험 기반 스토리두잉의 작동원리에 관한 연구)

  • Shin, Dong-Hee;Kim, Hee-Kyu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6 no.3
    • /
    • pp.425-436
    • /
    • 2015
  • Along with the spotlight of storytelling, storydoing has attracted public's attention as it has been utilized in various different areas. There are valued message by producer and story to back it up in the storydoing. Recipient will acknowledge the affordance encouraged by producer and confirm the message by practicing it. Finally producer will evaluate the practice process. Therefore, storydoing promotes the product of company, strengthens the brand image and delivers message and value through a previously mentioned cycle. Ultimately, storydoing is operated based on user's experience. In this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 theory of John Dewey, in order to discover how the interactivity and continuity operate story doing, we conducted a study on the concept of storydoing,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ory doing status, the difference between storytelling and storydoing, the elements of story doing, the relationship with user experience, and the principle of operating story doing. As a result, we learned that story doing had the five elements of message, story, characters, action, and confirmation, and operated by the interaction and continuity between the producer and receptor. Thus, through this research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torydoing, we have identified new trends of the cultural industries and discovered the possibilities to expand the application scope of storydoing, which was currently applied by companies to promote their brand images, onto contents field. More importantly, the proposal of theoretical differences between storytelling and storydoing makes this report meaningful in terms of sociocultural, industrial and academic aspect.

A Study Of The Rule in Game Storytelling (온라인 MMORPG 게임 서사에 나타난 룰(Rule) 연구 - <월드오브워크래프(World of Warcaft)> 중심으로)

  • Song, Mi-S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540-545
    • /
    • 2008
  • 게임의 룰은 게임의 메커니즘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게임의 스토리를 이끌며 지탱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동서양 모두에서 성공하고 있는 대표적 MMORPG 온라인 게임인 월드오브워크래프트를 중심으로 게임 스토리텔링에서의 룰이 지닌 중요한 요소와 특징, 또한, 이것이 지닌 창조적이며 재미와 몰입, 덧붙여 게임 스토리 전개상에서 만들어내는 생산적인 요소들을 찾아서 특성을 찾고자 한다. 이는 게임 개방시 게임 내의 룰 생성과 스토리 전개에 중요한 요건으로서 연구되어질 수 있으며, 온라인 게임 스토리텔링 창작 및 개발에 적용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본고의 논의가 이뤄지기 전, 먼저 게임에 대한 룰의 정의에 대해 지금까지의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들 속에서 발견되고 논의될 요소들을 얻고자 한다. 이론적 요소를 바탕으로 본고의 연구대상인 월드오브워크래프트의 서사에 나타난 룰과 스토리텔링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것이다. 본고에서 논의 되는 MMORPG게임의 룰과 스토리텔링의 연구는 아직 체계적이지 못하고, 이론적으로 미흡한 게임 스토리텔링 및 룰 연구에 기반 연구가 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