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타이렌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9초

Peat가 충진된 고정층 생물반응기에서 온도 투입농도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lncoming Concentrations on the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 Biofilter Packed with Peat)

  • 윤인길;박창호
    • KSBB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81-285
    • /
    • 2001
  • 실험실 규모의 생불여과기에 peat들 패깅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 (isoprene, dimethyl 야dfide, 블로르포륨, 벤젠, 삼염화에 헬렌, 툴루엔. m-자일렌. 0-자일렌, 스타이렌)의 분해 정도를 가스 처l류시간을 3.2분으로 하여 80일간 측정하였다. 34일의 적응기간이 지난 후 $65~83 g/m^3$로 유입되는 VOC의 분해율 이 $25^{circ}C$액서는 93%이었으나 $45^{circ}C$에서는 여 보다 낮은 73%이었다. $25^{circ}C$에서 77일 후 도달한 최고 세포농도논 초기 농도 의 약 100배인 $1.12\times10^8$세포/g 이었다, 그러나 $45^{circ}C$C에서 도 달한 최고 세포농도는 이의 10분의 1에 불과하였다. m-자이렌과 툴루엔의 분해율 (91 %)에 비하여 벤젠의 분해율 (86%)이 낮았다. 생불여과기의 패정된 부분을 네 구간으로 나누었 을 때 가스가 유입되는 저음 사분회 일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VOC의 분해율이 60%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는 휘발생 유해 물질 혼합처l를 생붙여과법에 의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기술을 현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유해풀 칠의 효율적 저감에 적용하면 대기보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1-Aza-15-Crown-5-Styrene (위험물)-DVB 수지에 의한 희토류 금속 이온들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 of Rare Earth Metal Ions on 1-Aza-15-Crown-5-Styrene (Hazardous Materials)-DVB Resin)

  • 노기환;김관천;김선화;김준태
    • 공업화학
    • /
    • 제20권1호
    • /
    • pp.21-27
    • /
    • 2009
  • 1%, 2%, 5% 및 20%의 가교도를 가진 스타이렌(제4류 위험물) 디비닐벤젠 공중합체에 1-aza-15-crown-5 거대고리 리간드를 치환반응으로 결합시켜 수지를 합성하였으며, 이들 수지의 특성은 염소 함량, 원소 분석, 열 중량 분석, 비표면적(BET), 그리고 적외선 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수지 흡착제에 대한 금속 이온의 흡착에 미치는 pH, 시간, 수지의 가교도 그리고 용매의 유전상수에 따른 영향들을 조사한 결과 금속 이온들은 pH 3 이상에서 큰 흡착율을 보였으며, 금속 이온들의 흡착 평형은 2 h 정도였다. 한편, 에탄올 용매에서 수지에 대한 흡착 선택성은 우라늄($UO_2^{2+}$) > 망간 ($Mn^{2+}$) > 프라세듐($Pr^{3+}$) 이온이었고, 금속 이온의 흡착력은 1%, 2%, 5% 및 20%의 가교도 순이며, 용매의 유전상수 크기에 반비례하였다.

감압 순환유동층 플라즈마 반응기의 축방향 고체체류량 (Axial Solid Holdup in a Circulating Fluidized Bed Plasma Reactor under Reduced Pressure)

  • 박성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527-532
    • /
    • 2016
  • 감압상태(1torr)의 순환유동층 플라즈마 반응기(내경 10 mm, 높이 800 mm)에서 기상 유속과 고체순환속도가 축방향 고체체류량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폴리스타이렌 고분자 입자와 질소가스를 고체 및 기상 물질로 각각 사용하였다. 감압상태 순환유동층의 고체 순환량 변화는 상승관의 많은 기체 유량(40~80 sccm)에 의한 변화만큼 고체재순환부의 작은 유량 변화(6.6~9.9 sccm)에 의해서도 가능하였다. 감압상태 순환유동층의 고체 순환속도는 재순환부 기체 유속에 따라 증가하였다. 상승관내의 축방향 고체 체류량 분포는 하부의 농후상 영역에서 상부의 희박상 영역까지 높이에 따라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상승관 내 각 높이에서 고체순환속도의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고체 체류량이 증가하였다. 이로써 플라즈마 형성과 유지 그리고 플라즈마 반응을 위해 적절한 플라즈마 로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Styrene 위험물을 포함한 합성수지 흡착제에 의한 우라늄(VI) 이온의 흡착 (Adsorption of Uranium (VI) Ion on Synthetic Resin Adsorbent with Styrene Hazardous Materials)

  • 김준태
    • 공업화학
    • /
    • 제20권2호
    • /
    • pp.165-171
    • /
    • 2009
  • 1%, 2%, 8% 및 16%의 가교도를 가진 스타이렌(제4류 위험물 중 제2석유류) 디비닐벤젠 공중합체에 1-aza-15-crown-5 거대고리 리간드를 치환반응으로 결합시켜 수지를 합성하였으며, 이들 수지의 특성을 염소 함량, 원소 분석, 열 중량 분석, 비표면적(BET), 그리고 적외선 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수지 흡착제에 대한 금속 이온의 흡착에 미치는 pH, 시간, 수지의 가교도 그리고 용매의 유전상수에 따른 영향들을 조사한 결과 금속 이온들은 pH 3 이상에서 큰 흡착율을 보였으며, 금속 이온들의 흡착 평형은 2 h 정도였다. 한편, 에탄올 용매에서 수지에 대한 흡착 선택성은 우라늄$(UO_2^{2+})$ > 납$(Pb^{2+})$ > 크롬$(Cr^{3+})$ 이온이었고, 금속 이온의 흡착력은 1%, 2%, 8% 및 16%의 가교도 순이며, 용매의 유전상수 크기에 반비례하였다.

폐타이어의 열분해를 통한 에너지화 : 폐폴리프로필렌 첨가 시 열분해 오일의 탈황 효과 (Energy Recovery via Pyrolysis of Waste Tire Rubber : Desulfurization Effect of Pyrolysis Oil by Adding Waste Polypropylene)

  • 정재용;이은도;장원석;오문세;정수화
    • 에너지공학
    • /
    • 제26권3호
    • /
    • pp.97-10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폐타이어의 열분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450에서 $650^{\circ}C$ 범위에서 급속 열분해를 실시하였다. 반응 온도의 변화에 따른 열분해 오일의 특성을 관찰하고 특히 폐폴리프로필렌을 폐타이어와 혼합하여 열분해를 실시할 때 열분해 부산물 내 황의 거동을 살펴보았다. 열분해 오일의 수율은 반응 온도 $456^{\circ}C$에서 약 52wt.%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산된 오일의 GC-MS 분석 결과 반응 온도가 증가할수록 지방족 화합물의 함량은 줄어드는 반면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화합물은 리모넨(Limon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스타이렌(Styrene), 트리메틸벤젠(Trimethylbenzene) 그리고 메틸나프탈렌류(Methylnaphthalenes)이었으며 미량의 황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도 검출되었다. 폐폴리프로필렌을 폐타이어와 혼합 열분해 한 결과 열분해 오일 내 황의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Wood-Plastic Combinations (IV)

  • Kim, Jaerok;Lee, Kyung-Hee;Pyun, Hyung-Chic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3-12
    • /
    • 1973
  • 육송, 미송, 포플라등 국산 연질목재를 사용하여 만든 목재-플라스틱 복합체(W.P.C.)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성질 향상의 정도는 복합체에 함유된 중합물량에 대략 비례하였다. 중합물 함량이 나무무게에 대하여 80%되게 방사선 중합법으로 제조한 복합체에 친어서의 경도 및 흡수도는 원래의 나무의 그것에 비하여 2.2배 및 4 로 각각 향상되었다. 경도의 향상은 육송에 폴리스타이렌을 120% 함유하게 만든 복합체에서 특히 현저하여 7배의 향상을 보였다. 중합물함량이 나무무게에 대하여 80%되게 열중합법으로 제조한 복합체에 있어서의 경도 및 흡수도는 나무만일때에 비하여 2.4배 및 3.4배로 각각 향상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로 보아 방사선중합법으로 제조한 복합체와 열중합법으로 제조한 복합체에 있어서의 성질에는 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밖에 내산성, 내알카리성도 나무만일때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다.

  • PDF

메탈로센 폴리올레핀을 이용한 핫멜트 점착제의 제조 및 특성 (Adhesion Properties of Hot-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ased on Metallocene Polyolefin)

  • 심재호;성익경;이정준
    • 접착 및 계면
    • /
    • 제14권2호
    • /
    • pp.95-1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메탈로센 폴리올레핀(metallocene polyolefin, me-PO)과 점착부여제(tackifier)를 이용해 열용융형 감압접착제(hot-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HMPSAs)를 제조하여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me-PO가 HMPSAs의 용도에서 스타이렌계 블록 코폴리머(styrenic block copolymers, SBCs)를 대체하여 사용 가능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me-PO를 베이스 폴리머로 사용한 HMPSAs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점착부여제가 가져야 할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e-PO를 이용하여 Dahlquist Criterion을 만족하는 HMPSAs를 얻기 위해서는 점착부여제와 함께 10% 이상의 프로세스 오일을 혼합 사용하여야 했고, Spray Type의 Applicator에 적합한 수준의 점도를 가지는 HMPSAs를 얻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결정화도가 낮은 제2의 me-PO를 사용해야 했다. 그리고, 분자량이 큰 점착부여제를 사용하면 SBCs계 HMPSAs에 비해 부족한 유지력을 개선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ritium Luminous Compound

  • Kim, Jaer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331-339
    • /
    • 1972
  • 트리티움 표지 형광도료의 원료인 고 비방사능의 트리티움 표지 폴리스타이렌을 얻기 위하여 테슬라 방전법, 윌즈바크 노출법, 감마선 조사법, 자외선 조사법 등 여러 방법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테슬라 방전 또는 자외선 조사법으로 얻은 polystyrene-T(G)의 비방사능은 1-l.2mCi/mg로써 다른 방법에 의한 생성물의 값보다 높았다. Polystyrene-T(G)와 ZnS:Cu 형광체를 무게비로 1:4가 되게 혼합하면 광도가 가장 컸다. 30mg의 형광도료 혼합물을 1ml의 바인다(시판 니스 1g을 100m1의 벤젠에 녹인 것)를 써서 바르는 경우 최대 장도는 약 20$\mu$L이었으며 갱내 표지판이나 암실내 광원으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Wood Plastic Combinations (II). Monomer Impregnations and Gamma-ray Induced Polymerizations

  • Pyun, Hyung-Chick;Kim, Jae-Rok;Lee, Kyung-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23-30
    • /
    • 1972
  • 감마선 중합에 의한 목재와 프라스틱의 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각종 목재들에 대한 단량체의 침투량과 침투속도를 검토하였으며, 중합에 있어서는 국산 목재를 주로 하여 이에 각종 단량체 및 그 혼합물, 방사선의 조사량, 조사율, 이에 따르는 중합속도 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단량체 침투에 있어서, 침투속도나 침투량은 모두 포플라에서 컸다. 2) 목재내에서의 단량체의 중합속도는 비닐 아세테이트-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스타이렌의 순서이며 필요한 전 조사량은 조사율 4$\times$$10^4$rad/hr에서 3~15Mrad의 범위었다. 따라서 중합속도의 관점에서 볼때 비닐아세테이트나 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가 좋은 단량체 이다. 3) 단량체와의 결합에 있어서 리기다송, 육송등이 중합속도로 보아 효과적인 목재이다. 4) 목재 내부에서 단량체는 비교적 낮은 조사율인 2.1$\times$$10^4$rad/hr에서 더 용이하게 중합되었다.

  • PDF

계면활성제 미생물반응기를 이용한 기체상 스타이렌 제어 (Control of Gaseous Styrene Using a Bioactive Foam Reactor)

  • 신승규;송지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70-775
    • /
    • 2006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저감기술인 담체충진형 바이오필터법은 운전이 용이하고 처리비용이 낮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낮은 운전성능과 막힘현상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계면활성제로 형성된 거품을 사용해 VOCs의 물질전달율과 분해효율을 향상시킨 미생물 반응기(Bioactive Foam Reactor. BFR)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VOCs 저감기술로서 BFR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tyrene를 대상으로 실험실 규모 반응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체류시간 30초에서 미생물이 포함되지 않은 abiotic 실험과 biotic실험을 통해 BFR의 물질전달계수($K_La$)와 기질분해율(k) 값을 선정하였으며, 여타 산기방식의 생물반응조에 비해 BFR 시스템의 물질전달율이 월등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동적부하 변동실험 결과 BFR 시스템은 유입 styrene 농도가 급변하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BFR의 최대분해능은 109 $g/m^3/hr$으로 높게 나타나, 충진담체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바이오필터의 대안 기술로 BFR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