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키 참가자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3초

스키 참가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별 여가제약 분석 (Leisure Constraints According to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Levels of Ski Participants)

  • 이문진;황선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7-148
    • /
    • 2012
  • 1990년대 이후 스키 인구는 성장추세를 보여 왔으나, 현재 포화상태에 도달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키 참가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 향상이 위기에 봉착한 스키산업의 돌파구로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여가제약 요인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스키 참가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별 여가제약 요인의 특징을 규명했다. 스키 참가자의 여가제약은 동반자, 개인적, 경제, 타인의식, 여건, 시설의 6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별 여가제약 요인의 평균을 비교해본 결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경제적 요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중간인 집단과 높은 집단에서는 시설요인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가제약 요인별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여가제약 수준의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여가제약 협상 수준에 따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분석: 스키 참가자를 대상으로 (Recreation Specialization According to the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Levels of Skiers)

  • 황선환;김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86-394
    • /
    • 2013
  • 본 연구는 스키 참가자들의 여가제약 협상 수준에 따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차이와 여가제약 협상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도와 강원도에 위치한 4개 스키리조트를 방문하는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군집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374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여가제약 협상전략을 활용하는 참여자는 강도와 정도에 따라 3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여가제약 협상 수준에 따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하위요인별로 일원변량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가제약 협상은 전략을 활용하는 강도와 정도에 따라 상, 중, 하의 3단계로 분류가 되었다. 둘째, 여가제약 협상 수준에 따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전체평균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가제약 협상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과거경험, 인생의 구심성, 경제적 투자 등의 전문화 하위요인에서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셋째, 여가제약 협상전략의 적극적인 활용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스키수업 참가자의 몰입, 만족도, 서비스품질 및 재방문의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Flow,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and Revisit Intention of College Ski Class Participants)

  • 한건수;이정흔;고의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59-468
    • /
    • 2016
  • 이 연구는 대학생의 교양스키수업 몰입과 만족도, 스키장 서비스품질 및 재방문의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 중 교양체육수업에 참여중인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144명을 표집 하였다. 배부된 144부의 설문지 중 총 137부가 회수되었으며(응답률 95%), 이들 중 질문문항의 일괄적인 처리, 무응답 혹은 오기입 등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어지는 31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106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스키수업 몰입은 교양스키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수업 만족도는 스키장의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키장의 서비스품질은 재방문의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스키수업의 몰입은 교양스키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스키장 서비스 품질에 간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교양스키수업의 만족도는 스키장 서비스품질을 매개로 하여 스키장 재방문의도에 간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