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케치 기반 모델링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GluePaste : A Sketch-based mesh composition method (스케치 기반 메쉬 객체 결합 기법)

  • Kwon, Ji-Yong;Kim, Na-Ri;Lee, In-Kwon;Choy, Y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265-27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스케치를 기반으로 한 3D 모델의 어셈블링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Teddy 모델링 시스템[4]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의 오브젝트의 모델링을 보다 단순한 오브젝트들의 합성을 통해 해결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멀티 페이지 기능을 제공하며, 두 개 이상의 메쉬를 조립하여 하나의 메쉬를 만드는 조립 모드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두 개의 메쉬를 보다 직관적이고 쉽게 조립하기 위해 스케치 기반의 객체 조합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사용하면 복잡한 형태의 오브젝트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

  • PDF

Calibration-free 3D Structure Recovery (카메라 파라미터 보정이 필요없는 물체의 3차원 구조 복원)

  • 추창우;표순형;박태준;최병태;정순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579-584
    • /
    • 2001
  •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을 이용한 응용분야가 증가함에 따라 물체의 사실적인 모델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모델링 시간이 많이 필요한 기존의 3차원 모델링 툴 외에 최근에 사용자의 스케치에 기반한 모델링 방법과 영상기반 모델링, 3차원 스캐너가 발표되었지만, 정확성이 떨어지거나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육면체 프레임과 광평면(light plane) 프로젝터, 카메라를 이용한 물체의 3차원 구조 복원 시스템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모델링의 정확도를 분석한다.

  • PDF

Remote Communication based on 3D Whiteboard (3차원 화이트보드에 기반한 원격 통신)

  • Lee, Jin-Suk;Choe, Chong-Yo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019-1024
    • /
    • 2006
  • 각종 온라인 문화가 발달하는 가운데 원거리에서 의사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에 관한 관심도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도구 중에서 2 차원 그림 저작을 지원하는 도구에 기인하여, 본 논문에서는 3 차원 모델을 만들어 내고 조작함으로써 원거리의 사용자와 의사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시간에 수행되는 시스템의 특성상, 3 차원 모델링은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병행 수행 제어를 고려하여 구현한다. 본 시스템에서의 모델링은 주어진 primitive를 이용하거나 사전에 제작된 mesh를 불러오는 것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그려주는 간략한 외곽선 스케치를 기반으로 하여 3 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다. 본 시스템에서 모델의 생성, 제어 등의 모든 연산은 다양한 병행 수행 제어 전략을 이용하여 실시간에 수행된다.

  • PDF

Objected Based 3D Terrain Sinulation and Building Modeling (Object기반의 3차원 지형시뮬레이션과 건물모델링)

  • Han, Seung-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32-35
    • /
    • 2010
  • 바람직한 도시의 건설계획을 위해 2차원 적인 도면의 활용은 한계가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계획심의와 민원의 처리에도 3차원 도시모델을 활용하는 추세에 있다. 현장에 가지 않고 사무실에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3차원 지형모델이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건물의 3차원모델링도 신속하고 편리한 방법을 이용해야만 실무에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고해상 고정밀 3차원 지형모델링은 물론 스케치업을 이용한 효율적인 건물모델링방법 강구하여 실무에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Sketch-Based Robot Simulation Tool (스케치 기반 로봇 시뮬레이션 도구 개발)

  • Aoki, Hiroyuki;Shim, Jae-Kwoun;Kim, Ja-Me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2
    • /
    • pp.57-66
    • /
    • 2012
  • It is the advantage of robot programming to improve the learners' interest. However, the drawback is existed in the fact tha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problem lies in the hardware factor or programmed logic when an error takes plac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velop a simulation tool which assists learners to concentrate on the problems not relating to robot assembling but to robot program. It aims to enable beginners make a sketch of their ideas and examine their logic through simulation. Therefore, an Etoys-based robot programming tool is developed to allows user to download and execute the simulated program into an assembled robo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easy activity of sketch-based simulation can support learners to understand how the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are applied in daily life such as an automatic door system.

  • PDF

3D Architecture Modeling and Quantity Estimation using SketchUp (스케치업을 활용한 3D 건축모델링 및 물량산출)

  • Kim, Min Gyu;Um, Dae Yong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6
    • /
    • pp.701-708
    • /
    • 2017
  • The construction cost is estimated based on the drawings at the design stage and constructor will find efficient construction methods for budgeting and budgeting appropriate to the budget. Accurate quantity estimation and budgeting are critical to determining whether the project is profitable or not. However, since this process is mostly performed depending on manpower or 2D drawings, errors are likely to occur and The BIM(Build Information Modeling) program, which can be automated, is very expensive and difficult to apply in the field. In this study, 3D architectural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SketchUp which is a 3D modeling software and suggest a methodology for Quantity Estimation. As a result, 3D modeling was performed effectively using 2D drawings of buildings. Based on the modeling results, it was possible to calculate the difference of the quantity estimation by 2D drawing and 3D modeling.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3D modeling using the SketchUp and the calculation of the quantity can prevent the error of the conventional 2D calculation method. If the applicability of the research method is verifi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t will contribut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rchitectural modeling and quantity Estimation work.

A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 Scheme for supporting Content- and Concept-based Video Retrieval (내용 및 개념 기반 비디오 검색을 지원하는 시공간 표현 기법)

  • 심춘보;장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4-66
    • /
    • 2001
  • 비디오 데이터는 미디어의 특성상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객체의 위치가 변하는 움직임 객체(Moving Object)를 가지며, 움직임 객체를 기반으로 비디오 데이트를 색인 및 검색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시공간 표현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데이터가 지니는 움직임 객체의 움직임 경로(Trajectory)를 효율적으로 모델링하고 사용자에게 빠른 검색 결과를 제공할수 있는 근사 탐색(Approximation Search)이 가능한 새로운 시공간 표현 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스케치한 움직임 경로를 토대로 검색을 수행하는 내용 기반 검색과 움직임 객체의 일련의 움직임 경로들과 움직임 경로가 일어나는 위치 정보를 통해 얻어진 개념(의미)을 이용한 개념 기반 검색을 지원한다.

  • PDF

Data-driven Facial Animation Using Sketch Interface (스케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기반 얼굴 애니메이션)

  • Ju, Eun-Jung;Ahn, Soh-Min;Lee, Je-Hee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3 no.3
    • /
    • pp.11-18
    • /
    • 2007
  • Creating stylistic facial anim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in character animation. Traditionally facial animation is created manually by animators of captured using motion capture systems. But this process is very difficult and labor-intensive. In this work, we present an intuitive, easy-to-use, sketch-based user interface system that facilitates the process of creating facial animation and key-frame interpolation method using facial capture data. The user of our system is allowed to create expressive speech facial animation easily and rapidly.

  • PDF

Development of a Digital Textbook on 'Structure and Contraction Mechanism of Skeletal Muscle' with the Learning Model for Biomimicry-Based Convergence (생체모방 기반 융합 학습 모델을 적용한 '골격근의 구조와 수축'에 대한 디지털 교재 개발)

  • Kim, Soo-Youn;Kwon, Yong-Ju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2 no.2
    • /
    • pp.95-10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gital textbook on 'structure and contraction mechanism of skeletal muscle' with the learning model for biomimicry-based convergence. The unit of 'structure and contraction mechanism of skeletal muscle' is a part of Life Science I in high school. The convergence learning model was designed with three phases of biomimicry-based convergence (Exploration-Design-Implementation) including 3D modeling & printing. The developed digital textbook was composed of 8 sessions which contains the following learning contents : Exploration of skeletal muscle, creative designing of skeletal muscle using sketch application and 3D modeling, convergent implementing of the designed using 3D printing, exploration of muscle contraction, creative designing of muscle contraction using sketch application and 3D modeling, and convergent implementing of the designed using 3D printing. Each session is also involved in the contents of gallery widgets, media widgets, keynote widgets, sketch widgets, the cloud, polling widgets, and review widgets for interactive and mobile learning. After administering the developed digital textbook to 20 high school students, it was shown a positive effectiveness on life science learning for high school students. Moreover, the digital textbook was evaluated as to promote student's abilities on creative designs and implementation related to biomimicry-based convergence. The digital textbook was also shown a favorable response on students' interest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life science.

An Efficient Feature Point Detection for Interactive Pen-Input Display Applications (인터액티브 펜-입력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효과적인 특징점 추출법)

  • Kim Dae-Hyun;Kim Myoung-Jun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2 no.11_12
    • /
    • pp.705-716
    • /
    • 2005
  • There exist many feature point detection algorithms that developed in pattern recognition research . However, interactive applications for the pen-input displays such as Tablet PCs and LCD tablets have set different goals; reliable segmentation for different drawing styles and real-time on-the-fly fieature point defection. This paper presents a curvature estimation method crucial for segmenting freeHand pen input. It considers only local shape descriptors, thus, peforming a novel curvature estimation on-the-fly while drawing on a pen-input display This has been used for pen marking recognition to build a 3D sketch-based modeling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