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케치기반 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n Effective Method using Sketch Interface for Image Retrieval (스케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효과적인 영상 검색)

  • Jeong, Se-Yoon;Kim, Kyu-Heon;Lee, Jae-Yeon;Bae, Young-Lae J.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875-878
    • /
    • 2000
  • 내용 기반 영상 검색은 일반적으로 질의 영상을 사용해서 검색한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검색 당시에 자신이 생각하는 질의와 일치하는 영상을 실제로 갖고 있지 않다. 사용자는 검색기가 제공하는 샘플이나 자신이 갖고 있는 영상 중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개념과 비슷한 영상을 질의 영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 질의 영상은 사용자가 생각하는 개념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검색을 여러 번 하게 된다. 이는 최초 검색에서 적절한 질의 영상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검색 시스템의 검색엔진도 중요하지만, 적절한 질의의 사용 여부에 의해 검색 결과가 크게 좌우된다. 적절한 질의 사용의 중요성은 기존의 텍스트 기반 검색에서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영상 검색에서도 효과 적인 검색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생각하는 질의 영상을 구체화하여 질의로 사용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하여 질의 영상으로 사용한다면 검색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생각하고 있는 추상적인 질의를 구체화하기 위해 스케치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스케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가 생각한 질의를 구체화하여 이를 검색에 활용함으로서 전체 검색 회수를 줄임으로서 보다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었다.

  • PDF

Design of Flight Learning System Using Sketch-based Interface (스케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항공기동 학습 시스템 개발)

  • Kim, Sang-Jin;Park, Tae-Jin;Choy, Yoon-Chul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5
    • /
    • pp.771-779
    • /
    • 2010
  • Sketch-based interface is used more and more in developing animation contents. Particularly, there has been a system where the user's sketch inputs are interpreted and presented as live motions. In this study¸ it is to design an animated flight learning system using sketch-based interface. Most of the flights include movements in three-dimensional space and have unique and complex flight patterns. In other words, the actual flight movements not only includ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rising and falling, straight or circular flying, but also may include combinations of two or more movements as they simultaneously occur such as accelerating while falling, or slowing down while rising, and so forth. And, currently existing flight learning animation system cannot present such complex flight patterns to the pilots of aircrafts or to those personnel for air-traffic controllers. Hence, it is to be shown in this study that unit-path sketch animation method can support quicker ways to create animations to present those complex flight movements, and requires lesser inputs compared to the existing frame-based animation method. Also, the flight learning system suggested uses the flight-route realization tasks to reflect complex flight patterns, and therefore creates animations close to real as possible.

Implementation of Sketch based User Interface in the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의 스케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 Park, Jeong-Wook;Kang, Ha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455-458
    • /
    • 2011
  • 최근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고 모바일 기기에서의 입력방식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사용자 급증의 영향으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수 역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타인에게 사용자의 감정을 더 쉽게 전달 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스케치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감정을 표현하는 한 장의 자연스러운 그림을 생성하고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가 더 쉽게 스케치 정보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Sketch-based Visual Bookmarking for Trip Planner System (스케치 기반의 비주얼 북마킹을 이용한 여행 플래너 시스템)

  • Lee, Ha-Young;Kim, Hyo-Woo;Jeon, Jae-Woong;Choy, Y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442-444
    • /
    • 2012
  • 소셜 미디어 환경의 도래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하는 일이 많아졌다. 특히 여행이 대중적 취미로 자리잡으면서 여행에 관련된 콘텐츠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여행 콘텐츠를 위한 효율적 시스템은 많지 않으며 기능이 미약하거나 복잡한 인터페이스로 인해 사용률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스케치 기반의 비주얼 북마킹을 이용한 여행 플래너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가 스케치와 제스처를 사용한 비주얼 북마킹을 이용하여 여행지에 관련한 자료를 간단한 태그를 붙여 북마크를 생성하면 지도 위에 자동으로 북마크가 생성되어 사용자는 북마크의 위치를 보고 루트를 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여행의 목적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여행 일정을 쉽고 다양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만의 여행 후기를 정리하여 다른 사람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Design of Digital Inking based Educational Contents (디지털 잉크 기반의 교육용 콘텐츠 설계)

  • Hwang, Won-Je;Cheon, Yoon-Hee;Sohn, Won-Sung;Choy, Jin-Yong;Choy, Yoon-Chul;Lim, Soon-Bum;Han, Tack-D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89-194
    • /
    • 2009
  • 디지털교과서 시범사업은 미래교육의 시발점으로서 다양한 장점 및 교육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교과서 환경에서는 현실세계와 유사한 태블릿 PC 기반의 펜 스케치를 메타포로 사용하고 있으며, 디지털 잉크 기반의 이러닝은 다양한 교육적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보급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 콘텐츠는 펜 기반의 메타포를 고려하지 않은 서책형 교과서의 멀티미디어 버전 형태이며 그 결과 태블릿 PC의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전자 펜 기반 스케치 입력방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의 결과물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스케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 및 적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교육이나 전자 책, 지능형 교육 시스템 등 상호작용이 가능한 교육용 콘텐츠 개발에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Framework Development for Sketched Data-Driven Building Information Model Creation to Support Efficient Space Configuration and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효율적 공간 형상화 및 건물성능분석을 위한 스케치 정보 기반 BIM 모델 자동생성 프레임워크 개발)

  • Kong, ByungChan;Jeong, WoonSeo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5 no.1
    • /
    • pp.50-61
    • /
    • 2024
  • The market for compact houses is growing due to the demand for floor plans prioritizing user needs. However, clients often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their spatial requirements to professionals including architects because they lack the means to provide evidence, such as spatial configurations or cost estimates. This research aims to create a framework that can translate sketched data-driven spatial requirements into 3D building components in BIM models to facilitate spatial understanding and provide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to aid in budgeting in the early design phase. The research process includes developing a process model, implementing, and validating the framework. The process model describes the data flow within the framework and identifies the required functionality. Implementation involves creating systems and user interfaces to integrate various systems. The validation verifies that the framework can automatically convert sketched space requirements into walls, floors, and roofs in a BIM model. The framework can also automatically calculate material and energy costs based on the BIM model. The developed frame enables clients to efficiently create 3D building components based on the sketched data and facilitates users to understand the space and analyze the building performance through the created BIM models.

Cartoon Character Rendering based on Shading Capture of Concept Drawing (원화의 음영 캡쳐 기반 카툰 캐릭터 렌더링)

  • Byun, Hae-Won;Jung, Hye-Mo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4 no.8
    • /
    • pp.1082-1093
    • /
    • 2011
  • Traditional rendering of cartoon character cannot revive the feeling of concept drawings properly. In this paper, we propose capture technology to get toon shading model from the concept drawings and with this technique, we provide a new novel system to render 3D cartoon character. Benefits of this system is to cartoonize the 3D character according to saliency to emphasize the form of 3D character and further support the sketch-based user interface for artists to edit shading by post-production. For this, we generate texture automatically by RGB color sorting algorithm to analyze color distribution and rates of selected region. In the cartoon rendering process, we use saliency as a measure to determine visual importance of each area of 3d mesh and we provide a novel cartoon rendering algorithm based on the saliency of 3D mesh. For the fine adjustments of shading style, we propose a user interface that allow the artists to freely add and delete shading to a 3D model. Finally, this paper show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ystem through user evaluation.

Fundamental study on the technology and appli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Digital Textbook (차세대 디지털교과서를 위한 기반기술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Sohn, Won-Sung;Han, Jae-Hyeop;Choy, Jin-Yong;Seo, Jong-Hoon;Choy, Yoon-Chul;Han, Tack-Don;Lim, Soon-Bu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4 no.2
    • /
    • pp.165-174
    • /
    • 2010
  • The digital textbook project which embark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focused on experiments and practices from the school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 about digital textbook provides static interaction models and teaching-learning models analogous to web-based learning based desktop PC even the framework of the digital textbook is based of Tablet PC. This paper provides learning and teaching models for next generation digital textbook which based digital inking techinques for sketcth interface and AR(augmented reality)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learner. The proposed method of this paper is applied to educational contents and we found positive effect which is supported by statistical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and the futur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in effect will be an effective development plan.

  • PDF

A Cut-out Based Interface for Effective Web Browsing on Mobile Devices (모바일 기기에서 효과적 웹 브라우징을 위한 컷아웃 기반의 인터페이스)

  • Kim, Hyo-Woo;Jeon, Jae-Woong;Choy, Y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252-254
    • /
    • 2011
  • 스마트폰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량 역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데스크탑 환경에 비해 제한적인 화면 크기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웹 브라우징을 할 때 확대, 축소, 스크롤 등의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케치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브라우징 영역을 지정하고 그 영역 안의 내용들을 분석하여 페이지를 재구성하고 컷아웃으로 화면 중앙에 출력하여 웹 브라우징을 간편화할 수 있는 컷아웃 기반의 브라우징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