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케일 모델

Search Result 32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Process Model for the Coal Gasification System (석탄가스화 시스템 공정모델에 관한 연구)

  • Kim, Su-Wan;Kim, Hyung-Taek;Lee, Cha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2
    • /
    • pp.253-260
    • /
    • 1995
  • 본 연구는 현재 아주대학교 구내에 건설중인 3T/D 석탄가스화 실증실험장치의 엔지니어링 설계자료 및 실험장치 각 부분의 사양을 종합화하여 최적의 설계조건을 도출하고 향후 스케일 업에 따른 장치변화 및 관련변수를 예측할 수 있는 공정모델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모델은 3T/D 석탄가스화 장치와 같이 가스화기부분, 산화제 및 연료의 주입부분, 생성가스의 냉각부, 가스화기 예열부분 및 회분처리부로 구성된다. 개발된 모델에 의해 부분별 대체가능성을 평가하여 최적 조합형태를 제시하였고 결과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실제 플랜트의 설계자료와 프로그램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스케일 업 결과 변화폭이 가장 큰 부분은 냉각기의 길이가 냉각수 유입량 증대에 따라 급겨히 변화되어 냉각수 유입을 위한 냉각수 분산장치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New RF Empirical Nonlinear Modeling for Nano-Scale Bulk MOSFET (나노 스케일 벌크 MOSFET을 위한 새로운 RF 엠피리컬 비선형 모델링)

  • Lee, Seong-Hear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3 no.12 s.354
    • /
    • pp.33-39
    • /
    • 2006
  • An empirical nonlinear model with intrinsic nonlinear elements has been newly developed to predict the RF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nano-scale bulk MOSFET accurately over the wide bias range. Using an extraction method suitable for nano-scale MOSFET, the bias-dependent data of intrinsic model parameters have been accurately obtained from measured S-parameters. The intrinsic nonlinear capacitance and drain current equations have been empirically obtained through 3-dimensional curve-fitting to their bias-dependent curves. The modeled S-parameters of 60nm MOSFET have good agreements with measured ones up to 20GHz in the wide bias range, verifying the accuracy of the nano-scale MOSFET model.

A stochastic rainfall generation model that accurately reproduces the various statistical properties at the timescales from 5 minutes through decades, making it suitable for complex disaster simulations (5분에서 수십년 사이의 모든 타임스케일에서 강수의 다양한 통계적 특성을 정확히 재현하여 복합재난 모의에 적합한 추계학적 강수생성모형)

  • Dongk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17-117
    • /
    • 2023
  • 도시 홍수, 하천 범람, 산사태와 같은 폭우와 관련된 재해는 자주 동시에 발생하며, 각 재해는 서로 다른 범위의 시간 스케일에서 강우 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재해 복합화 모델링에 적합한 확률 강우 모델은 모든 유형의 재해와 관련된 모든 시간 스케일에서 강우 변동성을 잘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5분에서 10년 사이의 시간 스케일에서 다양한 강우통계특성을 재현할 수 있는 추계학적 강우 생성기를 제안하였다. 이 모델은 우선 Randomized Bartlett-Lewis Rectangular Pulse (RBLRP) 모델을 사용하여 미세 규모의 강우량 시계열을 생성한 후, 연속된 폭풍 사이의 상관관계 구조가 유지되도록 폭풍우의 순서를 섞는다. 마지막으로, 별도의 월별 강우량 모델링 결과에 따라 월 단위로 시계열을 재배열한다. 독일 보훔에서 기록된 69년간의 5분 강우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본 모형을 검증한 결과, 평균, 분산, 공분산, 왜곡도 및 강우 간헐성은 5분에서 10년에 이르는 시간 스케일에서 체계적인 편향 없이 잘 재현됨은 물론, 5분에서 3일 사이의 시간 스케일에서의 극한 강수량 값도 잘 재현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극한 강우 및 산사태에 큰 영향을 주는 극한 강우 발생 전 과거 7일간의 강수량도 정확히 재현되었다.

  • PDF

Mesh Saliency using Global Rarity based on Multi-Scale Mean Curvature (다중 스케일 평균곡률 기반 전역 희소치를 이용한 메쉬 돌출 정의)

  • Jeon, Jiyoung;Kwon, Youngsoo;Choi, Y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579-158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메쉬 모델의 중요 영역을 표현하는 메쉬 돌출맵(mesh saliency map)을 생성하기 위하여 다중 스케일 평균 곡률 (multi-scale mean curvature)을 기반으로 정의된 전역 희소치(global rarity)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우선, 메쉬 모델의 지역 영역 특성을 정의하기 위하여 기존 관련 연구들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가우시안 가중치 평균곡률(Gaussian-weighted mean curvature)을 5단계 서로 다른 스케일에서 정의하고, 메쉬의 각 정점(vertex)에 대하여 중심주변 연산자(center-surround operator)를 적용하여 5단계 지역 돌출특성(local saliency)을 정의한다. 주어진 메쉬 모델의 전역 희소치를 구하기 위하여 메쉬의 모든 정점쌍 (vertex pair)에 대하여 5단계 지역 돌출 특성 공간에서의 거리를 계산하고, 각 정점별로 5단계 지역 돌출 특성 공간에서의 다른 정점과의 거리의 합으로 전역 희소치를 정의한다. 이러한 전역 희소치를 각 정점의 메쉬 돌출치로 정의한다. 서로 다른 형태의 3차원 모델에 대하여 제안방법에 의한 메쉬 돌출맵과 지역 특성만을 고려한 기존 메쉬 돌출맵을 생성하여 중요 영역 표현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Review of Uncertainties in Applying GIS Data and Hydrological Mode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수리모델과 GIS 데이터를 이용한 최적관리방안의 평가에 대한 불확실성의 재고)

  • Lee, Tae-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7 no.2
    • /
    • pp.245-258
    • /
    • 2011
  •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are widely accepted and implemented as a mitigation method for soil erosion and non-point source problems. Estimating the amount of soil erosion and the effectiveness of BMPs using hydrological models help to understand the condition, identify the problems, and make plans for conservation practices in an area, typically a watershed. However,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assessment of BMP impacts estimated by hydrological models can be often questionable due to the uncertainties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scale, and model. This study reviewed the development and the background of hydrological models, and the modeling issues such as the selection of models, scale, and uncertainties of data and models.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advantage of a small scale and spatially distributed model to estimate the impacts of BMPs.

  • PDF

Improvement of Mask-RCNN Performance Using Deep-Learning-Based Arbitrary-Scale Super-Resolution Module (딥러닝 기반 임의적 스케일 초해상도 모듈을 이용한 Mask-RCNN 성능 향상)

  • Ahn, Young-Pill;Park, Hyun-J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3
    • /
    • pp.381-388
    • /
    • 2022
  • In instance segmentation, Mask-RCNN is mostly used as a base model.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Mask-RCNN is meaningful because it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derived model. Mask-RCNN has a transform module for unifying size of input images.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Mask-RCNN, we apply deep-learning-based ASSR to the resizing part in the transform module and inject calculated scale information into the model using IM(Integration Module). The proposed IM improves instance segmentation performance by 2.5 AP higher than Mask-RCNN in the COCO dataset, and in the periment for optimizing the IM location, the best performance was shown when it was located in the 'Top' before FPN and backbone were combined.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models using Mask-RCNN as a base model.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시대 창업아이템과 하이퍼스케일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비즈니스 피벗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an, Hyang-Wo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27-32
    • /
    • 2021
  • 최근 산업계 전반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빠른 속도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 되고 있다.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의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가능성은 기업의 성과와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산업생태계 자체가 디지털 기술로 인해 재구성되는 디지털 변혁 시대 스타트업의 하이퍼스케일업(Hyper-Scaleup)이 중요해지고 있다. 코로나 대유행시기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해 스타트업은 많은 손실을 경험하였고,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비즈니스 피벗이 필요하며 비즈니스 전환은 필수이다. 물리적 제한이 없는 디지털 세계에서 변화하는 고객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해야 하고 이러한 변화 대응력을 높여야 하는 벤처 생태계를 중심으로 피벗이 중요한 비즈니스 전략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스타트업의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해 창업아이템, 하이퍼스케일업, 비즈니스 피벗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둘째, 창업생태계의 디지털 전환 시점에서 창업아이템과 하이퍼스케일업이 창업성과와의 실증 분석을 통해 유의한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셋째, 창업아이템과 하이퍼스케일업이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 비즈니스 피벗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타트업 관점에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바르게 이해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나노-연속체 멀티스케일 해석과 통계적 접근법

  • Jo, Maeng-Hyo;Sin, Hyeon-Seong
    • Journal of the KSME
    • /
    • v.54 no.2
    • /
    • pp.35-40
    • /
    • 2014
  • 이 글에서는 나노재료의 멀티스케일 해석에 있어서 재료 구성/조성의 불확실성과 해석 모델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통계적 접근의 중요성과 그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 on a Spatial Interaction Model (공간 상호작용 모델에 대한 공간단위 수정가능성 문제(MAUP)의 영향)

  • Kim, Kam-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6 no.2
    • /
    • pp.197-211
    • /
    • 2011
  • Due to the complexity of spatial interaction and the necessity of spatial representation and modeling, aggregation of spatial interaction data is indispensible. Given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 on a spatial interaction model. Four aggregation schemes are utilized at eight different scales: 1) randomly select seeds of district and then allocate basic spatial units to them, 2) minimize the sum of population weighted distance within a district, 3) maximize the proportion of flow within a district, and 4) minimize the proportion of flow within a district. A simple Poisson regression model with origin and destination constraints is utilized.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uals, parameter values, and goodness-of-fit of the model were influenced by aggregation scale and schemes. Overall, the model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aggregation scale than aggregation schemes and the scale effect on the model was varied according to aggregation sc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