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카이

Search Result 32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Survey for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Skyline Query Methods (스카이라인 질의 기법의 객관적 성능 평가를 위한 연구 조사)

  • Choi, Jong-Hyeok;Nasridinov, Aziz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49-52
    • /
    • 2018
  • 스카이라인 질의는 데이터들 사이의 비교 연산을 통해 지배되지 않은 데이터들의 최소 집합을 스카이라인으로 탐색하며 이때 지배되지 않고 스카이라인으로 선택된 데이터들은 지배된 데이터들을 대표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금융, 네트워크, 웹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카이라인의 활용을 이끌어냈다. 하지만 스카이라인 질의는 데이터의 양이나 차원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전체적인 성능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연구 및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스카이라인 질의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객관적 성능 평가를 통해 주어진 상황에서 최적의 성능을 보일 수 있는 기법을 선택해야할 필요가 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성능 평가에 있어 각 기법이 목표한 문제들에 대한 단편적인 실험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스카이라인 성능 평가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에 앞서 스카이라인 질의 기법의 객관적 성능 평가를 위한 품질 요소 선택 기준을 선택하기 위해 기존 연구들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진행한다.

  • PDF

An Efficient Algorithm for Computing Skylines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사용자 요구 조건을 반영한 효율적인 스카이라인 계산 알고리즘)

  • Kim, Ji-Hyun;Kim, 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229-1230
    • /
    • 2011
  • 다차원 점들로 구성된 점집합이 주어졌을 때, 그 집합에 속한 다른 점들에 지배되지 않는 점들로 구성된 부분집합을 스카이라인이라고 한다. 방대한 양의 다차원 정보를 다차원 점집합으로 보았을 때 그 집합의 스카이라인은 사용자가 의사 결정을 할 때 유용한 정보일 수 있으므로, 스카이라인을 신속하게 계산하려는 데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방대한 크기의 점집합에 대해 스카이라인을 신속하게 계산하는 알고리즘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점집합이나 그 점집합의 스카이라인이 매우 큰 경우에 스카이라인 전체를 계산하는 것은 실제 사용자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스카이라인을 계산하기 전에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도를 거리나 개수로 제시하는 경우, 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가장 잘 만족하는 스카이라인 일부분을 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Comparisons of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Landscape Design and the Apartment Skylines (생태학적 조경설계 평가와 아파트 스카이라인의 비교)

  • Kwon, Sang-Z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1
    • /
    • pp.90-100
    • /
    • 2003
  • 본 연구는 건축고도제한에 의해 생태학적 조경설계는 어떻게 통제되며, 또한 생태학적 조경 설계가 무엇인가를 구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가지 다른 단지를 비교하여 건축물 스카이라인이 주변경관과 조화로운 심미적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할 수 있다. 이 비교를 통하여 스카이라인 통제가 아파트단지 계획과 설계에서 생태학적 조경설계에 영향을 주는가를 검증하게 될 것이며, 스카이라인이 통제된 아파트단지가 조경시설 설계에 있어서 전체적, 역동적, 반응적, 직관적 접근을 할 때 상대적으로 우선성을 표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아파트단지 계획·설계에 있어 건물고도제한이 적절하게 검토되어 스카이라인의 통제를 더 강하게 할수록 아파트단지에서 만들어진 조경환경의 특성이 강조되고 강화한 경관이 더 조화롭게 된다는 점에서 경관에 유용하고 편익이 있다.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사항은 자기 지속적, 자연적·문화적 정체성, 개연적 외관, 생태학적 접근으로 이뤄진다는 전제 아래 세부사항 18개 항목을 표출하였다. 또한 스카이라인 통제는 자연적 경관을 보전하고 수목이 단지의 안팎으로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녹지 네트워크와 야생 동물 코리도를 획득하기 위하여 독특한 경관을 설계하고 개성적인 것으로 도출하여 조화로운 심미성을 이룩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계량적으로 표출하였다. 아파트단지의 경관에서 의미 있는 것은 다양한 접근으로 설계되고 건물 스카이라인 통제방법을 강화함으로써 관리되는 스카이라인의 실루엣이 다양하고 개성적 형태를 표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스카이라인의 영향과 생태학적 조경설계가 계량적 요소에 의해 상대적으로 비교될 수 있으며,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시설지표는 보다 세분화됨으로써 전체적인 설계요소의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Maximized Utilization of Stop Point for Efficiently Computing the Skyline (정지점의 활용을 극대화한 효율적인 스카이라인 계산법)

  • Koh, Chol-Woo;Lee, Yoon-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175-180
    • /
    • 2010
  • 스카이라인 질의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무수히 많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만을 반환한다. 스카이라인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연구 되었지만, 그 중에서도 스카이라인질의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스카이라인을 계산할 수 있는 최적의 알고리즘인 Sort and Limit Skyline Algorithm(SaLSa)이 있다. SaLSa는 정렬된 데이터와 정지점의 활용으로 전체 데이터 중 일부만 읽으며 스카이라인을 구할 수 있다. 정지점을 중간에 계산하는 SaLSa는 정지점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지점을 미리 계산하여 정지점의 제거기능을 최대화시킨 효율적인 스카이라인 알고리즘 Skyline with Transformation(SWT)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SWT가 SaLSa에 비해 데이터 제거 효과 및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속도가 우수함을 검증한다.

  • PDF

An Efficient Processing Method of Top-k(g) Skyline Group Queries for Incomplete Data (불완전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 Top-k(g) 스카이라인 그룹 질의 처리 기법)

  • Park, Mi-Ra;Min, Jun-Ki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7D no.1
    • /
    • pp.17-24
    • /
    • 2010
  •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skyline queries. Most of works for skyline queries assume that the data do not have null value. However, when we input data through the Web or with other different tools, there exist incomplete data with null values. As a result, several skyline processing techniques for incomplete data have been proposed. However, available skyline query techniques for incomplete data do not consider the environments that coexist complete data and incomplete data since these techniques deal with the incomplete data on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skyline group processing technique which evaluates skyline queries for the environments that coexist complete data and incomplete data. To do this, we introduce the top-k(g) skyline group query which searches g skyline groups with respect to the user's dimensional preference. In our experimental study, we show efficiency of our proposed technique.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in Metric Spaces (거리공간에서의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 Lim, Jong-Tae;Park, Yong-Hun;Seo, Dong-Min;Lee, Jin-Ju;Jang, Soo-Min;Yoo, Jae-So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7
    • /
    • pp.809-813
    • /
    • 2010
  • Many studies on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have been done for company oriented services. The existing methods about reverse skyline are reverse skyline based on dynamic skyline. There is no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algorithm based on metric spaces for location-based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scheme that applies for a general skyline and considers distance spaces. The proposed method processes reverse skyline queries in the metric spaces using the existing spatial indexing scheme and considers both Monochromatic and Bichromatic environments.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compare it with the basic skyline query processing scheme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excellent performance was about 5000 times more than conventional method.

Efficient Skyline Computation for Mobile Users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효율적인 스카이라인 계산)

  • Kim, Jihyun;Kim, 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712-714
    • /
    • 2014
  • 스카이라인 계산은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추천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카이라인은 대용량 데이터 집합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사전에 계산해 놓고 사용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계산해 놓은 스카이라인이 사용자의 위치 조건을 반영한 것이 아니므로 부적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조건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최적화된 스카이라인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실험을 통해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A Conjoint Analysis on the Preference Analysis of the Han River Skyline Focus on the Apgujeong Apartment District in the Han River Embankments, Seoul (컨조인트 분석(Conjoint analysis)을 이용한 한강 변 스카이라인 형태 선호도 분석 연구 - 한강 변 압구정 아파트지구를 중심으로 -)

  • Kang, Song-Hee;Jang, Chang-Hee;Lee, Jae-Seung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3 no.2
    • /
    • pp.79-92
    • /
    • 2023
  • With a growing interest in the Han River Skyline, which greatly influences Seoul's image,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skyline form has become crucial in the redevelopment plans for apartment complexes along the Han River. The Seoul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has lifted the height limitations for apartments along the Hang River to cultivate a vibrant skyline. However, traditional skyline analysis often overlooks specific attributes, limiting the provision of precise guidelines for Seoul's unique skyline plans. Despite advancements in Digital Twin technology, only some tools effectively manage urban skylines with preferred shapes. Hence, this study aims to mak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of a Digital Twin 3D modeling program capable of effectively managing urban skylines.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utilisation of Conjoint Analysis, which assesses th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in determining the preferred skyline shape. Focusing on Apgujeong apartment complexes along the Han River currently undergoing redevelopment or planned for redevelopment, the study analyses the preferred skyline shape to propose standards for the Digital Twin 3D modeling program development. It also suggests that Conjoint Analysis can be beneficial in this process.

An Efficient Continuous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Method in Metric Spaces for Location-based Services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거리공간에서의 효율적인 연속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기법)

  • Lim, Jong-Tae;Park, Yong-Hun;Seo, Dong-Min;Yoo, Jae-Soo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7 no.5
    • /
    • pp.250-257
    • /
    • 2010
  • As the variant of skyline query processing, reverse skyline Queries have been studied. However, the existing methods for processing reverse skyline Queries have the limitation of service domains and spend high costs to provide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method that efficiently processes a query with the objects in metric spaces.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 also processes continuous reverse skyline queries efficiently.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compare it with the previous reverse skyline 벼ery processing scheme in various environments.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method.

An Efficient Pre-computing Method for Processing Continuous Skyline Queries in Road Networks (도로망에서 연속적인 스카이라인 절의처리를 위한 효율적인 전처리기법)

  • Jang, Su-Min;Yoo, Jae-Soo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6 no.4
    • /
    • pp.314-320
    • /
    • 2009
  • Skyline queries have recently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searching services. The skyline contains interesting objects that are not dominated by any other objects on all dimensions. Many related works have processed a skyline on static data or on moving objects in Euclidean space. However, this paper assumes that the point of a skyline query continuously moves in road networks.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efficiently processes continuous skyline queries in road networks through pre-computed shortest range data of objects.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bout 100 times faster than previous methods in terms of query processing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