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진단

Search Result 43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스마트형 진공 배기 진단 제어 시스템 개발(3 세부과제)

  • Jeong, Wan-Seop;Im, Jong-Yeon;Im, Seong-Gyu;Lee, Su-Ga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94-94
    • /
    • 2011
  • 본 논문은 "차세대 반도체용 진공공정의 실시간 측정/진단/제어 기술개발"과제의 제 3 세부과제 "스마트형 진공 배기 진단 제어 시스템 개발"의 주요 연구 실적을 소개한다. 본 세부과제는 (1)진공펌프 및 배기 시스템의 다중 상태변수 측정 장치 개발, (2)공정별 펌프 상태 및 공정 조건 data base 구축 및 진단 알고리즘 개발(e-Diagnostics Level 2 FDC 수준), (3)공정별 펌프 상태 변수 측정을 통한 자기 진단 기술 개발(e-Diagnostics Level 2 FDC 수준), 그리고 (4)측정/통신 PMS (Pump Monitoring System) 개발(통신속도 56k bps 이상, e-Diagnostics Level 0~1)을 최종 목표로 추진되어 왔다. 첫 번째 주요실적은 진공배기시스템의 다중 상태변수 측정 및 평가 장치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장치는 현장에서 진공펌프의 배기속도를 3% 이내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소닉 노즐을 이용한 배기속도 측정 장치 및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 완료하였다. 그리고 측정 가능한 상태변수는 20종에 달하며 이들을 이용하여 진공펌프의 성능인자 15종과 특성치 9종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 두 번째 주요실적은 공정별 진공배기시스템의 자기진단 및 예지보수 기수 개발이다. 연구에서 개발된 적응형 인자모델을 이용한 상태진단 기술은 이미 학회 논문으로 소개되었으며 본 기법은 기존의 시계열 상태변수를 이용한 기존의 상태진단 기법보다 메모리 소요량을 100배로 줄였으며 그리고 연산양은 10% 이하로 줄인 획기적인 기법이라 할 수 있다. 세 번째 주요실적은 상태변수 측정, 통신, 제어 및 공정적응 기능 통합형(smart) PMS(pumper monitoring system) 개발이다. 본 장치는 CAN통신 기법을 새로이 채택하였으며 한 대의 PC로 64대의 단위 진공펌프들의 운전 상태변수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운전 중인 개별 진공펌프들의 운전 상태진단은 적응형 인자모델을 이용한 상태진단 기술을 응적용함으로써 매우 정확한 상태진단을 매 batch마다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Lift Safety Inspection System using Android Smart Phone (안드로이드기반 스마트폰을 이용한 승강기 안전진단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hoi, Sung-Hyun;Kim, Jong-Soo;Kim, Tai-S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
    • /
    • pp.113-118
    • /
    • 2012
  • This thesis suggests how to design and implement an Android smart phone application which can perform self check or safety inspection of lifts effectively. The safety checks of lifts go in the way that inspectors check the lifts' conditions generally and record manually following a form at the moment. This thesis analyses lift maintenance industry and introduces how to design a system to proceed effective self check using a smart phone with Android OS. By using a smart phone to check lifts, we can have advantage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lf check and maintain careers establishing information database about safety items.

A Method for Generating Rule-based Fault Diagnosis Knowledge on Smart Home Environment (스마트 홈 환경에서 규칙 기반의 오류 진단 지식 생성 방법)

  • Ryu, Dong-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10
    • /
    • pp.2741-2749
    • /
    • 2009
  •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to detect and recover from faults on smart home environment, because these faults should lower its reliability. while, most of these researches have addressed functional defects of devices or software malfunction,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al with faults which may occur due to the inter relationships among devices. In this paper, we define the relationships among devices as rules, and propose a method for generating fault diagnosis knowledge which defines the symptoms and causes of faults. We classify the contexts of devices into two sets, depending on whether it satisfies the rules or not. when this method is applied to smart home environment, it is feasible not only to detect faults that may occur due to the relationships among devices but to identify their causes at real time.

The Mobile Security Diagnostic System against Smart-phone Threat (스마트폰 악성코드 대응을 위한 모바일 보안 진단 시스템)

  • Cheon, Woo-Bong;Lee, Jung-Hee;Park, Won-Hyung;Chung, Tai-M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2 no.3
    • /
    • pp.537-544
    • /
    • 2012
  • With 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is remarkably increasing in the world and the amounts of damage due to the smart-phone malwares are also raised. Many security solutions for wireless network have come into the market but these solutions are for companies or large enterprises, therefore, the public users of smart-phone don't feel easy to select as their solutions and it is difficult to detect unknown malwar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obile security diagnostic system for public smart-phone users, which provides functions like smart-phone system check, comparison with blacklist of applications and collecting malwares.

Kalman Filter-based Data Recovery in Wireless Smart Sensor Network for Infrastructure Monitoring (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스마트 센서 네트워크의 칼만 필터 기반 데이터 복구)

  • Kim, Eun-Jin;Park, Jong-Woong;Sim, Sung-H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0 no.3
    • /
    • pp.42-48
    • /
    • 2016
  • Extensive research effort has been made during the last decade to utilize wireless smart sensors for evaluating and monitoring structural integrity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The wireless smart sensor commonly has sensing and embedded computation capabilities as well as wireless communication that provide strong potential to overcom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wired sensor systems such as high equipment and installation cost. However, sensor malfunctioning particularly in case of long-term monitoring and unreliable wireless communication in harsh environment are the critical issues that should be properly tackled for a wider adoption of wireless smart sensors in practice. This study presents a wireless smart sensor network(WSSN) that can estimate unmeasured responses for the purpose of data recovery at unresponsive sensor nodes. A software program that runs on WSSN is developed to estimate the unmeasured responses from the measured using the Kalman filter.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network software is experimentally verified by estimating unmeasured acceleration responses using a simply-supported beam.

Type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f Side Effects of using Smart Phone (스마트폰 이용의 부작용 유형 분석 및 대응 방안)

  • Kim, Tae-Hee;Kang, Moon-S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2
    • /
    • pp.2984-2994
    • /
    • 2013
  • The emergence of smart phones has brought about a revolution in introducing a computer into the palm of a hand, and this revolution has lead to a smart society that offers comfort and joy in life; however, some side effects including a smart phone syndrome have been identified on a wider and more varied scale compared with any other IT devices of the past. This paper deduced side effect types and key issues according to type focusing on risk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use of smart phones, and diagnosed social effects based on them. In addition, based on the diagnosed results, the study proposed solutions to minimize side effects in order to produce social understanding and sympathy concerning the desirable utilization of smart phones. The proposed solutions should be able to cope with visible and potential side effects systematically by helping people to utilize smart phones, which are a platform of creativity, cooperation, communications, and entertainments, in a desirable way.

Gait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based Classification Model using Smart Insole for Alzheimer's Disease Severity Classification (스마트인솔 기반 알츠하이머 중증도 분류를 위한 보행 분석 및 기계학습 기반 분류 모델)

  • Jeon, YoungHoon;Ho, Thi Kieu Khanh;Gwak, Jeonghwan;Song, J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17-320
    • /
    • 2021
  • 본 연구는 주기적인 알츠하이머 병의 중증도 모니터링을 위해 스마트 인솔을 통한 보행 특징 추출과 머신러닝 기반 중증도 분류의 성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최근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추세에 있어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필요한 치료 비용 및 노력이 급증하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최선의 치료 전략으로 보여진다. 환자 친화적이고 저비용의 관성 측정 장치가 내장된 스마트 인솔만을 사용하여 다양한 보행 실험 패러다임에서 환자의 보행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알츠하이머 병의 중증도 진단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분류기를 훈련시켜 성능을 평가한 결과, 숫자세기와 같이 뇌에 부하를 주는 하위 작업이 포함된 복합 보행을 측정한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훈련된 분류 모델이 일반 걷기 데이터셋을 사용한 모델보다 성능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안전하고 환경적 제약이 적은 방법을 사용하여 시기 적절한 진단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중증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Switchgear Panel (수배전반 종합 감시 시스템 개발)

  • Park, Hyun-Soo;Kim, Dae-Bok;Wi, Kwan-Bok;Lee, Dong-Zoon;Kim, Ki-Ho;Kim, Lee-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081-2082
    • /
    • 2011
  • 사회의 발달에 따라 전기 전자 통신설비에 대한 중요성 및 이용률이 커짐에 따라 전기사고 발생 시 파급되는 인적, 물적 피해 또한 급증하여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배전반 전기사고 사전 예방을 위해 전기 관리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력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축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수배전반 종합 감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수배전반 종합 감시 시스템은 크게 전력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감시부분, 설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력설비의 상태를 미리 예측하고 이상을 진단하는 진단부분, 그리고 승인된 관리자만 접속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안부분으로 구성하였다. 향후 스마트폰을 이용한 수배전반 종합 감시 시스템의 활용은 수배전반 전기 사고의 감소와 관리 효율 증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Atrial Fibrillation Detection between Clinical Study and Automatic Diagnosis using a Smartphone Camera in Koreans (한국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진단과 임상실험 간의 심방세동 검출에 대한 비교 연구)

  • Kong, Youngsun;Jung, Jaehong;Choi, Hyungoh;Moon, Chanki;Nam, Y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541-543
    • /
    • 2015
  • 최근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심방세동을 진단하기 위해 PPG를 이용하여 Pulse Peak 사이의 간격을 구하고 RMSSD와 섀넌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불규칙 정도를 계산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심방세동 환자와 정상인을 포함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방세동 검출을 실험하고 정확률을 계산하였다. 심방세동 환자를 포함한 한국인 29명을 대상으로 PPG 신호를 수집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에서 정확률 85.18%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