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주거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4초

Aging in Place 지원을 위한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Home Service System Design to Support Aging in Place)

  • 심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249-254
    • /
    • 2019
  • 최근 네트워크 환경이 확장되면서 스마트 기기 보급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웨어러블 등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을 통해 스마트기술과 IT융합 기술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스마트기술의 발전은 4차산업 기술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4차산업 혁명은 IT융합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주거, 산업, 생산 환경에 지능적 요소를 추가하여 새로운 서비스 기반 산업을 확장 시켰다. 스마트 홈,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팜, 스마트 헬스케어 등 스마트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홈은 사물인터넷 기기의 보급 확산과 센서 기술, 컨트롤 기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성장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다. 스마트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홈 서비스는 거주자에게 편리하고, 유익한 서비스 및 환경 제공이 가능하다. 스마트 홈 서비스는 기존 홈 네트워크 서비스 문제점을 보완했지만 여전히 미비한 점이 많이 있다. 즉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과 공급자 위주의 서비스 개발 및 서비스 연동은 사용자 환경과 사용자 상태를 고려한 서비스 제공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선 고령자 상황을 고려한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기존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고령자 상황과 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서비스 지원 확장을 통해 지역 서비스 및 외부 서비스를 적절하게 지원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아파트 거주자의 요구를 토대로 본 디지털 홈의 디자인 방향 - 부산지역 국민주택 규모 아파트를 중심으로 - (Design Direction of Digital Home Identified by the Residents' Housing Needs - Focused on the $85m^2$-sized Housing Units in the Apartment Complex in Busan -)

  • 오찬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79-87
    • /
    • 2005
  • The digitalization of our society has brought on the digitalization of housing design and human life. Thus, the concerns for developing digital home have increased. However, most of them has focused on digital technology, not human.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sidents' housing needs for digital home and to suggest the design guidelines of digital home. The subjects were 400 housewives who lived and used internet in $85m^2$-sized housing unit in the new apartment complex, Busan. The important aspects in digital home design, the residents' needs for digital home design, and the needs for digital system in digital home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relatively young in their ages. Also, they had relatively high educational level and middle income. On the base of their housing needs for digital home, the design of digital home like as followings would be desirable: 1) the safe and secure design and digital system, 2) the design to improve residents' health and encourge family interaction, 3) human, warm, and soft interior mood, 4) space composition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신노년세대의 시니어 주거에 대한 선호조사와 미래 방향 고찰 (Surveying the preferences of new generation of seniors for retirement housing and exploring future directions)

  • 권순정;박화옥;임정원;윤극한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21-2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ferences for future senior hous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 of seniors an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future senior housing. Methods: Data from an online survey of a new generation of older adults and group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and baby boomers wer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and interview have been using quantitative analysed method. Literature surveys also have been carried out.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future senior housing requires a change in perception through conceptual expansion from the Aging in Place (AIP) to the Aging in Community (AIC) paradigm. The preferences of the new generation of seniors for future senior housing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ir preferences for location, facility size and type, unit floor plans and services, and living costs. Implications: The direction of senior housing services and architectual plans for seniors aged 55 to 65 years old were discussed.

일본 대규모 노후주거단지의 재생 정책: 타마 뉴타운과 쿄호쿠 뉴타운을 중심으로 (Aging issues and revitalization policy in Japan's New Towns: Tama New Town and Kohoku New Town)

  • 이원경
    • 토지주택연구
    • /
    • 제10권2호
    • /
    • pp.15-28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rban regeneration policies in Japan especially focusing "New Town" regeneration. New Town projects were launched in major Japanese cities, aiming to form a designed urban housing area and a mass supply of quality housing,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housing and urban sprawl which became a serious issue due to the over-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industries in the city during the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Tama New Town and Kohoku New Town are well-known development projects in 1970s and 80s; They attract wide attention again as urban regeneration policies focusing on a Smart city as well as Private-Public Partnership.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스마트홈 서비스 침해위협 분석 및 보안 대책 연구 (Analysis and Study on Invasion Threat and Security Measures for Smart Home Services in IoT Environment)

  • 이명렬;박재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7-32
    • /
    • 2016
  • IoT(Internet of Things)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시스템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 등을 지칭 한다. 이러한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 홈은 개인주거에 필요한 일상용품/기기에 사물인터넷을 융합하는 것으로 개인의 생활 영역 대부분이 포함되는 융합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 생활과 가장 밀접한 가정내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홈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기도 하지만 보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스마트홈 서비스는 개인 생활의 큰 재앙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는 스마트홈 서비스 초기 단계이지만 서비스가 발전 할수록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한 빅브라더 등장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서비스 이상 및 정보의 유출에 따른 다양한 보안 위협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홈 서비스 형태를 알아보고, 스마트홈 서비스가 가지는 보안 위협을 도출하고 대응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1인 가구를 위한 단독주택의 스마트홈서비스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tached House Smart Home Service for One-person Households)

  • 전진배;안세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80-191
    • /
    • 2020
  • 현대사회의 1인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또한 1인 가구의 주거형태는 단독주택이 가장 많았으며 1인 가구의 생활은 자유로운 생활, 개인여가시간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인 가구는 외로움, 건강문제, 안전·위험, 식사해결 등의 걱정요인이 있고 단독주택은 생활문제, 유지·관리, 안전·위험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미래의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단독주택에 스마트홈서비스를 적용하여 1인 가구의 걱정요인과 단독주택의 문제점을 개선할 방안에 대한 연구로 다음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인 가구의 걱정요인과 고충에 대한 조사와 단독주택의 문제점에 대한 선행연구사례를 통해 종합하였고 스마트홈서비스의 최근 기술 동향과 현재 개발 및 시판된 기술을 선행연구사례와 문헌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1인 가구의 걱정요인과 단독주택의 문제점을 스마트홈서비스에 적용 시 문제점을 보완해줄 스마트홈서비스의 리스트와 적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임베디드 전력 모니터링 보안 모듈 설계 (Embedded-based Power Monitoring Security Module Design)

  • 윤찬호;김광준;장창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485-1490
    • /
    • 2013
  • 스마트 그리드용 전력망이 구축시범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스마트 디지털가전 AV기술, 냉난방 습도 공기 자동관리를 위한 복합에너지 관리기능을 담당하는 스마트 홈 에너지관리기술, 노약자와 장애인을 위한 주거설계와 가족 구성원에 대한 개인별 바이오정보 측정을 담당하게 될 헬스케어 기술, 생체인식 보안과 동작감지센서 등을 다루는 스마트 홈 시큐리티 기술 등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공격에 취약한 외부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스마트미터기에 대응되는 암호기술을 분석하고 단말기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수 있는 스마트 미터기 단말기용 보안시스템 설계를 제안하였다.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동적 상태변환 알고리즘 (A Dynamic state transi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the 3-axis accelerometer sensor)

  • 장유나;박성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99-102
    • /
    • 2010
  • 스마트폰의 도입으로 인하여 증강현실이 널리 알려짐에 따라 대중들의 관심은 이에 집중되고 있으며 휴대성으로 인하여 모바일 기기에서의 증강현실 연구가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기존의 증강 현실 관련 응용 기술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지만 실제 게임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공 지능과 결합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의 기능중 하나인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환경에서 3D 에이전트의 상태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인공지능이 적용된 에이전트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 주거나 이를 인식하는데 마커를 사용하여 해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 현실 구현을 위해 마커리스 추적 기술을 사용하였고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에이전트의 상태를 변환하도록 하였다.

  • PDF

주거침입 범죄 예방을 위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설계와 구현 (Smart Door Lock System Design for Housing Crime Prevention)

  • 강현민;박서현;차경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48-1151
    • /
    • 2017
  • 본 설계의 목적은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를 파손하여 침입하는 1차원적인 외부침입자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은 아웃바디와 인바디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도어락을 제어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아웃바디를 파손하면 인바디의 제어기능이 손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웃바디와 인바디를 독립적으로 배치하고 상호간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이것은 아웃바디를 파손하여도 인바디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도어락의 아웃바디를 파손하여도 침입이 불가능한 구조의 스마트 도어락을 구현할 수 있었다.

환경 데이터를 활용한 공간 식별 방안 연구 (A study of Spatial Identification Method through Environmental Data)

  • 오윤석;최정인;서승현;김주한;강유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66-1168
    • /
    • 2017
  • 환경 데이터는 현재까지 농업, 해양, 주거 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 및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히 환경 모니터링과 제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비용 센서 모듈로 각각 다른 실내 공간을 식별하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홈 및 스마트빌딩 분야에서 환경 변화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