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조명 제어시스템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5초

USN기반 참여형 조명에너지 관리시스템 (Management System of USN-based Collaborative Lighting Energy)

  • 김삼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7-53
    • /
    • 2013
  • 현재 조명의 효율화 및 제어시스템 개선을 통해 에너지절감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조명자체의 고효율화와 조명제어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통해 에너지 절감을 추구하는 노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조명시스템에서 LED를 광원으로 사용할 경우 기존 대비 약 50% 이상의 고효율 조명 구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LED 디지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USN을 활용해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 디머 와 스마트 스위치를 적용한 LEMS(Lighting Energy Management System)를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킹 장치 및 시스템 S/W를 통해 실내외 조명 및 경관 조명을 포함한 특수 목적 등을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게 제어 한다. 본 시스템은 LED조명의 Digital System Lighting을 통한 USN 원격통합제어기능 및 에너지 효율성을 증대하여 실내외의 조명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 하고, 웹 또는 스위치를 통해 조명 에너지 사용량을 사용자가 측정하여 조명 사용량을 피드백 할 수 있게 하는 참여형 시스템이다.

식물공장을 위한 인공광 회전형 스마트 조명 제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Rotational Smart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Artificial Light for Plant Factory)

  • 이원섭;김성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474-1479
    • /
    • 2012
  • 회전형 스마트 조명 제어시스템은 작물 재식판에 위치한 작물들에게 필요한 광을 회전하며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기존 식물공장은 무수히 많이 설치되는 LED와 형광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따라 고가의 초기 조명 시스템 설치비용이 발생 된다. 이에 본 논문은 비교적 적은 양으로 설치된 조명장치를 회전시키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식물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광량과 광속, 광양자속 밀도(PPFD)를 계산하였다. 조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Relux와 시제품을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조명 모듈의 각도 변화와 블레이드의 회전속도 변화에 따른 측정 영역에서의 광량의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장애환경설정 기반의 에너지절약 지능형 조명시스템 구현 (Energy Saving Smart Illuminating System Implementation Based on Obstacle Environment Presetting)

  • 김영빈;류광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786-2791
    • /
    • 2014
  • 본 논문은 사용자의 장애 환경에 맞추어 장애 환경설정을 이용함으로서 조명 이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절약을 위한 지능형 조명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장애 환경은 조명의 점등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원격제어 방식이 요구된다. 원격제어 방식은 스마트폰, 움직임 센서, 타이머를 이용하여 조명을 점등 한다. 스마트폰과 움직임 센서는 이벤트를 감지하였을 때 원격에서 조명 시스템으로 이벤트 발생을 전송하고 이벤트를 수신한 조명 시스템은 램프를 전등한다. 조명 사용자의 설정 환경에 맞추어 조명을 제어함으로서 사용시간을 조절하고 점등 조작을 감소하여 에너지 절약을 실현한다. 제안 기법을 적용하여 조명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여 실험 결과 편의성이 향상 되었고 최적화된 점등으로 약 13.5w/h 정도 에너지가 절감된다.

협력제어센서기반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nergy-saving lighting system based on cooperative control of sensors)

  • 이현재;이상원;배성현;정종혁;우동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357-35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조도센서와 마이크로웨이브센서 기반의 협력제어를 통하여 기존대비 35%P 전력절감이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LED 조명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센서모듈과 LED조명, 무선전송 모듈이 분리된 형태로 인지기반 조명 제어를 통하여 ESCO 사업에 적합한 에너지 절감형 융합 조명 시스템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재실자의 수면-각성 주기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 파장제어 LED 조명시스템 (Smartphone-based Wavelength Control LE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leep-Wake Cycle of Occupants)

  • 김양수;권숙연;황준;임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5-45
    • /
    • 2016
  • 인간의 생체리듬 조절에 관여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은 빛의 특정 단파장 비율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한다. 단파장 비율이 고정된 기존 조명 빛은 재실자 생체리듬 교란 및 수면장애 현상을 초래한다. 특히 교대근무자의 경우, 일정치 않은 근무시간과 항시 동일한 빛 환경으로 인해 생활패턴이 불규칙적으로 변화하여 집중력 저하로 사고 발생의 위험도가 높아지거나 퇴근 이후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등 건강한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대근무자를 대상으로 근무 또는 퇴근 시점에 따라 각성 및 수면에 적합한 조명 빛을 손쉽게 계측 및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파장 제어 가능한 LED 조명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LED 조명을 대상으로 조광제어비율에 따라 변화하는 조명 빛 특성을 스마트폰에 내장된 컬러센서 및 외부에 연동된 소형 스펙트로미터(Mini-Spectrometer)를 통해 계측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광 특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측 모듈과 조명제어모듈을 구현한다. 교대근무자를 대상으로 시스템 처리 절차에 따라 '근무' 시간대에는 각성이 필요한 시점으로 파악하여 작업유형에 따라 분류한 목표조도를 고려하여 단파장 비율이 최대치인 제어비율로 서비스하고, '퇴근' 무렵에는 자연스럽게 수면 상태에 진입할 수 있도록 단파장 비율이 최소치인 제어비율로 조명 빛을 가변화한다.

식물공장용 스마트 조명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Smart Lighting Control System for Plant Factory)

  • 이원섭;김성관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2부
    • /
    • pp.425-428
    • /
    • 2011
  • 회전식 스마트 조명 시스템은 기존 식물공장에 무수히 많이 설치되는 LED와 형광등을 대신하여 비교적 적은 양으로 설치된 LED와 형광등을 회전시키는 시스템으로써 작물 재식판의 작물들에게 필요한 광을 회전하며 공급하는 방법이다. 이로 인하여 식물공장에 조명 시스템을 설치할 때 방생되는 고가의 초기 설치비용을 해결하고자 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식물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광량과 광속, 광양자속 밀도를 계산하고 블레이드에 설치되는 LED의 개수를 설정하였으며, 조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Relux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가 회전함에 따라 조명장치의 중심과 바깥쪽에 생기는 광량의 차이를 확인 하였다.

  • PDF

Bluetooth 무선 통신과 전류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고전력 LED 등기구의 무선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ireless Control System for High Power LED Luminaire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urrent Control System)

  • 이완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6-72
    • /
    • 2016
  •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은 LED 조명의 효율적인 관리와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IT 기술과 LED 조명을 결합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luetooth 무선통신, 센서 기술 및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LED 등기구 상태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LED 조명 제어 회로는 퍼지 정전류 제어 회로에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Bluetooth 모듈을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LED 방열판의 발열 온도 $70^{\circ}C$를 기준으로 LED 등기구 공급 전류를 최적화하여 LED 손상 방지 및 수명을 연장하고 LED 등기구 주위의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ON/OFF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Bluetooth 무선통신과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을 개발하여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LED 등기구 상태 확인 및 디밍제어등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조명 제어를 위한 스마트 상황 센서 (Smart Moment Sensor for Light Control)

  • 이창준;박영채;김혜지;정은기;황광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39-841
    • /
    • 2022
  • 단순한 기능만을 갖고 있던 조명 시장에 전원과 밝기, 색상 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된 스마트 전구 제품들이 출시되어 사용자들에게 편리함과 새로운 경험을 제공해주고 있지만, 여전히 사용자의 수동 제어를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 스마트 상황 센서 LightMe는 이에 AI 기술을 접목해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실내 채광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Smart Home System with Indoor Lighting Control)

  • 김태선;조인호;김원영;최우영;최수인;김도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17-418
    • /
    • 2023
  • 최근 사용되는 스마트 홈 시스템은 다양한 환경의 효율성, 편안함, 기능성을 추구한다. 하지만 기존 스마트 홈 시스템에는 실내 채광 조절이 블라인드나 커튼과 같이 사람의 관리가 필요로 한 부분이 적용된다. 본 논문은 이를 보완하고자 현재 자동차 및 항공기에 사용되는 스마트 윈도우처럼 주변 조명 조건에 따라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글라스나 필름 사용을 제안한다. 기존 별도의 관리가 필요한 블라인드, 커튼 등과 달리 창문 자체적으로 외부 채광을 조절하고 실내 조명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실내의 환경을 변화시킨다면 사용자의 경제성과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것이다.

  • PDF

스마트폰 기반의 LED 학습 조명 시스템 개발 (SmartPhone based LED Learning Lighting System Development)

  • 최효현;조대현;김진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1호
    • /
    • pp.135-13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무선 랜(Wi-Fi)을 통하여 학습 환경 구축을 위해 LED 조명 색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 하고, LED 조명을 위한 Android App 개발 과정을 설명한다. 스마트폰과 LED 조명은 Wi-Fi를 통해 통신하며, JAVA언어로 개발한 Android App을 이용하여 학습 주제에 따른 색온도(Color Tempeaure)로 제어하게 되면 LED 조명 색온도가 변경되어 학습 환경 구축이 완료되어, 집중력 향상으로 인한 학습 능률이 증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