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스토어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droid Device Controller using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컨트롤러)

  • Jin, Kyo-Seon;Kang, Jung-Hee;Kim, Jin-Kyu;Seo, Kyung-Bin;Park, Ne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61-164
    • /
    • 2011
  • 무선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이 유비쿼터스 시대를 앞당기고 있다. 스마트 TV와 스마트 에어컨 등 네트워크 기반의 가전 기기들이 등장 하면서 모든 제품들을 네트워크 환경으로 묶어 사용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들이 등장함과 동시에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유비쿼터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들도 많이 등장하였다. PC를 제어하거나 스마트 TV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애플 스토어에서 킬러 앱으로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아직은 많이 보급되지 않았다. 아직도 각 가정에서는 스마트 TV가 아닌 보통 TV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에어컨의 경우 수명이 더 길어 스마트 에어컨 등이 보급되기 까지는 더욱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과 적외선 모듈을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 포함되지 못한 디바이스들을 스마트 폰으로 제어할 수 있는 AR Remote System을 제안한다.

Smart TV Hybrid Media Service based on HTML5 (HTML5 기반 스마트TV 하이브리드 미디어서비스)

  • Lee, S.Y.;Joe, J.M.;You, J.J.;Park, S.T.;Hong, J.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3
    • /
    • pp.11-16
    • /
    • 2014
  •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면서 새로운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서비스만 보고서는 방송서비스인지 통신서비스인지 분간이 힘든 기술들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TV가 방송, 통신, 컴퓨팅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부각되면서 멀티플랫폼 연동의 하이브리드 미디어서비스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통신 융합서비스에 대해서 두 매체 간의 연관여부에 따라 2가지로 서비스를 분류하고 각 분류된 방식에 따른 다양한 하이브리드 미디어서비스의 실제 구현사례를 소개한다. 소개되는 서비스에는 개인형 홈스크린, 앱스토어, 콘텐츠 검색 및 추천, 패밀리톡, 대면 통신을 포함하는 스마트TV 홈스크린 기반 미디어 융합서비스와 하이브리드광고 서비스, 멀티앵글뷰 서비스, 멀티오디오 서비스를 포함하는 스마트TV 하이브리드 미디어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서비스가 HTML5 기반의 웹브라우저에서 동작하도록 구현하였다.

  • PDF

Smartphone Threats and Security Technology (스마트폰 보안 위협 및 대응 기술)

  • Kang, D.H.;Han, J.H.;Lee, Y.K.;Cho, Y.S.;Han, S.W.;Kim, J.N.;Cho,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3
    • /
    • pp.72-80
    • /
    • 2010
  • 스마트폰 시장 경쟁 본격화에 따른 개방형 플랫폼 증가와 앱스토어의 등장으로 인하여 범용 OS를 채택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악성코드의 제작을 용이하게 만들고 제작된 모바일 악성코드는 범용 OS로 인해 이식성이 높기 때문에 모바일 공격의 및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더욱 지능화되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악의적 행위에 의한 정보 유출, 불법 과금, 부정 사용 등과 같은 보안 위협 서비스 환경에 안전성, 무결성, 가용성,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폰 보안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폰 보안 위협요소와 모바일 악성코드 동향을 살펴보고 이들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단말 및 모바일 보안 인프라 기술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an Android Application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he Latest User Reviews (최신 사용자 평가를 바탕으로 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의 개발)

  • Cheon, Junseok;Woo, 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03-505
    • /
    • 2017
  • 최근 길거리나 지하철 등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대부분 iOS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앱들은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에서 받아서 사용한다. 하지만, 필요한 앱을 검색해도 비슷한 앱이 많아서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지 망설이는 경우가 발생한다. 사용자 평점을 기준으로 앱을 선택한다 하더라도 총 누적 평점이기 때문에 현재 버전의 앱이 실제로 어떨지는 알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검색한 단어를 바탕으로 구글 플레이 상의 앱을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 시스템은 검색된 최신 버전의 앱에 대한 평점과 사용자 평가를 종합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Trends in Device and SoC for Digital Media Hubs (디지털미디어허브 디바이스 및 SoC 동향)

  • Park, S.C.;Kim, T.J.;Nam, H.S.;Cho, H.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5
    • /
    • pp.145-155
    • /
    • 2013
  • 현대인의 집밖 스마트 ICT 디바이스의 요구성능은 휴대 용이성, 끊김 없는 통신채널 확보, 저전력 소모, 편리한 UI, 다양한 기능의 통합제공, 필요한 기능의 손쉬운 추가 및 삭제 등이며, 이런 요구에 충족하기 위해서 HW는 경박단소, 고성능 및 저전력 소모 등으로, SW는 개방형 앱 스토어를 통한 기능추가로 진화하였고,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로는 스마트폰, 테블릿 PC가 대표적이다. 집안의 스마트 ICT 디바이스의 요구성능은 집밖 ICT 디바이스 성능을 포함하면서, 어떤 디바이스에서든 끊김없는 콘텐츠 및 데이터 수집과 이동성, 그리고 아직 정의되지 않은 미래 추가기능의 실행 가능성 등이며 이를 위해 STB(Set Top Box), IPTV, 미디어허브, SmarTV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혁신적인 변모를 준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집안 ICT 디바이스 혁신의 결과물을 디지털 미디어 허브라 명명하고, 이를 지향하고 있는 후보군 디바이스 들의 동향을 살펴보며, 디지털 미디어 허브로의 신속한 변모를 위해 필요한 연구 개발 방안으로 플랫폼기반의 SW-SoC(System On a Chip) 개발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Tic-tack-toe Game Application using Bluetooth for iPhones (블루투스를 활용한 틱택토 2 인대전 게임 개발)

  • Yang, W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871-874
    • /
    • 2010
  • 요즘 다양한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스마트폰에서 활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주목 받고 있다. 그 중에 가장 활발히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등록되어 있는 아이폰의 앱스토어는 개인 개발자들이 자발적으로 앱 개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Xcode 라는 생소한 개발 툴을 이용하여 MacOS 라는 운영체제에서 개발을 하다 보니, 많은 기존 윈도우 기반의 스마트폰 개발자들이 아이폰 앱을 개발하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는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이폰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2 인용 대전 게임인 틱택토(Tick-tac-toe)를 C++기반으로 개발하여 그 내용을 소개한다.

A Study on Access Control Mechanism for 3rd Party Applications Process on Smart Digital TV (스마트 디지털 TV에서의 제3자 개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보안 요구사항 분석)

  • Park, Seon-Ho;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820-823
    • /
    • 2010
  •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적 확산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증대되고 있으며, 제3자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들을 개발하여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앱스토어와 같은 제3자 애플리케이션 마켓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3자 개발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기기에 설치되어 동작할 때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 및 이에 대한 대응 기술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의 디지털 TV 환경에서 제3자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 필요한 보안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제3자 개발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생명 주기를 고려한 보안 정책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HTML5 기반 스마트 TV 플랫폼 표준과 적합성 시험 환경

  • Lee, Dong-Hun;Kim, Ho-Nyeon;Park, Dong-Yeong;Lee, Eun-Hya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7
    • /
    • pp.15-23
    • /
    • 2014
  • "HTML5 기반 스마트 TV 플랫폼" 표준은 TV 제조사와 플랫폼 사업자 중심으로 파편화된 스마트 TV 앱 생태계 한계를 극복하고 표준 기반의 공통 플랫폼 기술을 통해 앱 생태계를 활성화 촉진시키기 위해 제정된 개방형 TV 플랫폼 기술 표준이다. 본 고에서는 이 표준 기술을 소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표준에 정의된 HTML5 기반의 앱 실행환경, TV 디바이스 환경을 고려한 앱 모델, 채널 프로그램과 같은 방송 자원을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앱 스토어를 통한 앱 다운로드 및 실행을 위한 패키징 규칙, 멀티스크린 적응형 스트리밍 등 다양한 스마트 TV 플랫폼 관련 기술들을 설명한다. 또한, 스마트 TV 앱이 표준 기반으로 개발된 다양한 수신기에 동일하게 실행됨을 보장하기 위해 수신기에 대한 표준 구현 적합성 검증이 필요함을 제기하면서, 이를 위한 시험 기준을 정의한 "HTML5 기반 스마트 TV 플랫폼 수신기 적합성 시험" 표준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이 표준은 수신기 기능 검증을 위한 테스트 케이스를 정의하고 시험 절차 및 판정 기준 등을 규정한다. 마지막으로, 본 고는 TTA에서 실제로 이 시험 표준을 기반으로 구축한 적합성 시험 환경을 소개한다. 수신기의 표준 기술 검증용으로 시험표준에 따라 개발된 테스트 케이스와 이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수집 관리하기 위해서 구성한 웹 서버, 방송 송출 서버, 적합성 시험 관리 시스템 등의 환경 구성 요소 및 그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Study of the Terrestrial Broadcaster's Media Strategy with the view of the Platform Business (플랫폼 관점의 지상파 매체전략 연구 - 'pooq'을 중심으로 -)

  • Kim, won;Lim, D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165-166
    • /
    • 2013
  • 스마트 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미디어 환경은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 마켓, 카카오톡 등의 성공신화를 통해, 플랫폼 시대의 도래를 알리고 있다. 플랫폼 중심의 관점에서 지상파 방송사의 매체전략 변화를 개괄하고, 최근 'pooq'으로 대변되는 지상파 방송사의 플랫폼 전략을 분석해봄과 동시에 전략의 성공조건과 바람직한 플랫폼 생태계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ndroid Time Manipulation Vulnerabilities and Security Issues (안드로이드 시간 조작 취약점과 보안 문제)

  • Gun-Hee Cho;Yeonjo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183-184
    • /
    • 2023
  • 스마트폰에서의 시간 조작이 JVM 과 앱에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여 세 가지 유형의 공격을 식별했다. 구글플레이 스토어의 990 개의 앱을 대상으로 앱의 취약성 분포를 정량화했으며 앱 개발자들에게 권장사항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