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사이니지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ntent Types and Interactions Suitable for Digital Signage at Seoul Subway Stations as a Communication Platform for Citizens (시민들의 소통 플랫폼으로서 서울시 지하철 디지털 사이니지에 적합한 콘텐츠 및 인터랙션 연구)

  • Kang, Minjeong;Eune, Ju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
    • /
    • pp.337-350
    • /
    • 2017
  • As interactive digital signages with computer network have been increasingly popular in public space, the needs for studying content types and interactions suitable for the digital signages are emerging. In this study, we aim to find out what contents are preferred to share and how to interact in the digital signage installed in Seoul subway stations. We conduct a case study, a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In the case study, we collect content types which have been communicated in public space. Among these content types, we conduct a survey to find out the preferred contents of Seoul citizens. We observe that the preferred contents differ by the age of the citizens. Specifically, 20's prefer the subjects about personal interests, 40's choose public interests and 30's prefer both types. In addition, we observe that the subjects about personal interest are relatively less preferred when people read, whereas the subjects are preferred when people write. Lastly, regarding interaction type, we find that Seoul citizens prefer touching the screen directly to using smart phone to express their empathy. The contents that people write and the number of likes will be archived as big data and analyzed so that Seoul city officers and citizens will know what people think based on age, location, and subjects.

Reference Architecture for Supporting Resource Management and Interoperability in Smart Street (스마트 스트리트의 자원관리 및 상호운용성 지원을 위한 참조 아키텍처)

  • Nam, Tae-Woo;Cha, Min-Jae;Lee, Dong-Woo;Yeom, Geun-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497-499
    • /
    • 2016
  • 스마트 스트리트란 공공장소나 상업공간과 같은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과 첨단 IT 인프라로 구성되어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특정 구역을 말한다. 하지만 스마트 환경을 위한 표준은 정의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와 콘텐츠가 존재하는 스마트 스트리트 생태계에서 자원들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마트 스트리트 환경에서의 콘텐츠를 관리하고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플랫폼에 제약 없이 콘텐츠를 전송받고 메시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참조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Smart Advertising Digital Signage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이용한 스마트 광고 디지털 사이니즈)

  • Kim, Ki-Tae;Choi, Jae-Hyuk;Cho, Seung-Bin;Kang, Seong-Gu;Lee, S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53-25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과 OpenCV를 이용해서 사람의 얼굴에서 나이 성별을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야외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광고를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광고를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Untouched Interactive Digital Signage Control using Kinect (키넥트를 사용한 터치 없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기의 구현)

  • Kim, Jiyoung;Lee, Youngkyung;Baek, Wookjin;An, Beongku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4 no.4
    • /
    • pp.127-132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gital signage method that can control the contents of the screen and download the desired files to individual smart terminal with no touch of digital signage screen by using Kinect. The main features and contributions of the proposed method are as follows. First, can solve the problems such as the risk of bacterial infection, not cleanliness on the screen as well as maximize advertising effectiveness. Second, can support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with computer while we touch only wanted advertisements. The performance evaluation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Especially, we can see that the proposed system operat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user's actions when the cursor is within the scope of a certain coordinate and the file transfer time to download inform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C performance and the version of personal smart device.

The Effect of Art Infusion Interactive Advertising on Smart Signage (명화를 활용한 인터렉티브 스마트 사이니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

  • Han, Kwang-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2
    • /
    • pp.101-107
    • /
    • 2020
  • This study is based on Art Infusion type (modification vs. re-interprete and interactivity level (high vs. low) ar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roduct-Related Memory (PRM)' and 'Image Related Memory (IRM)',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empirically through Two-Way MANOVA analysis with advertising attitude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first, in the case of the modified advertisement, when the interactivity is low, the advertisement image-related memory information (IRM) is more memorized and affects the judgment. Second, in the case of reinterpreted advertising, the memory information related to product attributes is stored at low level regardless of the level of interactivity. Third,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for famous paintings was positive when the level of interactivity was low.

Trends of Smart Media Advertising Services and Technologies (스마트미디어 광고 서비스 및 관련 기술 동향)

  • Chol, C.H.;Chung, I.G.;Ryu, Wo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3
    • /
    • pp.52-63
    • /
    • 2015
  •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의 보급 확산은 다양한 미디어 소비 채널을 양산하였고, 정보취득 및 소비 형태의 다양화를 유도하였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가 확산되고 스마트TV, 디지털사이니지와 같은 새로운 매체가 등장함에 따라 이들을 통해서 제공되는 광고가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양방향 매체의 확산에 힘입어 광고 소비 매체의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맞춤형광고, 리워드광고, 네이티브광고, 커머스 연계 광고 등 새로운 유형의 광고 상품 및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광고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새로운 스마트미디어를 이용한 광고산업 활성화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차세대 광고플랫폼, 다양한 광고 효과 측정 및 분석기술 등에 대한 개발 및 기반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주요 매체별 광고 유형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양한 스마트미디어 광고 서비스 유형 및 사례, 광고효과 측정관련 이슈 및 기술동향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 PDF

Analysis of Standardization Trend and Marketability with Tele-screen Service Platform for Smart City Foundation (스마트 시티 구축을 위한 텔레스크린 서비스플랫폼 표준화동향 및 시장성 분석)

  • Park, Sehwan;Choi, Yongs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 no.2
    • /
    • pp.71-75
    • /
    • 2015
  • Smart City for establishing mutual communication for next-generation digital signage technology attracting attention in the tele screen service is being spread. In recent years, the state of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of the user-to-user information such as situation-base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possible interactive tele-screen services. This study suggests the value of smart city services platform, standardization trends,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ability analysis information. Tele-screen service technology is able to be a high-level administrative services, and further domestic e-government technology can be spread all over the world.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with Smart Platform (스마트 플랫폼을 이용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 Park, Jung Ho;Choi, EunYou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3 no.1
    • /
    • pp.127-143
    • /
    • 2023
  • Currently, the domestic traditional market has not escaped the swamp of stagnation that began in the early 2000s despite various projects promoted by many related players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faced by the traditional market, various R&Ds have recently been conducted on how to build a smart traditional market that combin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This study analyzes various previous studies, users of traditional markets, and application cases of ICT technology in foreign traditional markets since 2012 and proposes a model to build a smart traditional market using ICT technology based on the analysis.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ncludes building a traditional market metaverse that can interact with visitors, certifying visits to traditional markets through digital signage with NFC technology, improving accuracy of fire detection functions using IoT and AI technology, developing smartphone apps for market launch information and event notification, and an e-commerce system. If a smart traditional market platform is implemented and operated based on the smart traditional market platform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t will not only draw interest in the traditional market to MZ generation and foreigners, but also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market in the future.

상황인지형 인터랙티브 텔레스크린 기술

  • Lee, Hyeon-Jin;Eom, Tae-Won;Jo, Gi-Seong;Lee, Hyeon-U;Ryu, 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8
    • /
    • pp.69-75
    • /
    • 2013
  • 공공 장소에서 주변 상황 정보와 연계하여 각종 정보 및 광고를 인터랙티브하게 제공하는 차세대 디지털 사이니지인 텔레스크린은 구석기 시대의 벽화에서 시작한 상호 의사 소통 방법의 하나이다. 텔레스크린은 초기에 단방향 광고 또는 단순 정보 전달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카메라, 센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스마트 폰 등을 활용하거나, 양방향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 얼굴 인식 기술과 연동하여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주변 상황과 사용자의 상태 정보 등을 수집, 분석함으로써 상황인지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텔레스크린으로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3D 기술과 사람의 반응을 감지하는 인지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기에, 멀지 않은 미래에는 사용자의 감성에 반응하는 텔레스크린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1]. 그리하여,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주변 상황과 더불어 사용자의 감성에 기반하여 가장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맞춤형 정보에 자연스럽게 노출되게 될 것이다.

A Research on Personalized Advertising using a Smartphone connected to Multimedia Digital Devices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기와 연결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광고 연구)

  • Kang, MinGu;Kim, ByungJoo;Kim, HyunIl;Jung, Minjae;Lee, Seokkee;Ro, Kw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331-33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을 통한 개인 맞춤형 광고에 대해 연구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TV, 인터넷, 디지털 사이니지 등 광고를 적용 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지만, 광고를 대처하는 방법은 광고에 나오는 정보를 검색해서 구매하는 방식을 넘어서는 크게 발전하지 않았다. 이러한 발전의 제약을 해소하고자 광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기에서 보여주는 광고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정보를 전달해주고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에서 받은 정보를 자신의 선호도 및 필요정도에 따라 저장 및 구매까지 바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향후 와이파이 통신 연결 개발을 통해 1:1 통신이 아닌 1:다(多)인 연결로 광고 정보를 전달하여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광고에 대한 정보를 활용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