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기술 적용 요소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Suggestion and Evaluation of Planning Element in Smart Green Multi Complex (스마트 그린 복합단지 계획요소 도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Park, Cheon-B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8
    • /
    • pp.4039-4047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a development direction of planning element for smart green multi complexes through suggestion and evaluation focused on carbon mitigation and adaptation. For the researc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are reviewed as a theoretical study and planning elements are surveyed based on the former research regarding low carbon green growth. The effects of individual planning elements are evaluated focused on its impact, easiness, cost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s based on priority of planning element for smart green multi complexes are suggested.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frame for the practical ways of the multi complex construction and the systematic formulations of its operation and management focused on smart gree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mart Education Space (스마트교육 공간의 물리특성)

  • Kim, Hyoung-Jun;Yi, Yong-Ky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7
    • /
    • pp.3247-3252
    • /
    • 2013
  • The convergence of ICT and cloud computing is treated as a main issue all over the fields including education. This development leads to change from e-learning to u-learning and smart education. Therefore, we need to study in term of the systematic and a long-term viewpoint how smart education environment have an influence on the practical space. And we need a concrete study for smart education space based on property of space. Under these critical mind, this study understands the smart education space in terms of the convergence of computing space and physical space. As a Result, smart education space have major property such as flexibility, communication, polyvalence.

User Authentication Mechanism using Smart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 Jeong, Pil-seong;Cho, Yang-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2
    • /
    • pp.301-308
    • /
    • 2017
  • 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many people use smart phones to conduct identity verification procedures. smart phones are easier and faster to authenticate than personal desktop computers. However, as Internet hacking technology and malicious code distribution technology rapidly evolve and attack types become more diverse, authentication methods suitable for mobile environment are required. As authentication methods, there are methods such as possessive-based authentication, knowledge-based authentication, biometric-based authentication, pattern-based authentication, and multi-element authent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er authentication mechanism that uses collected information as authentication factor using smart phone. Using the proposed authentication mechanism, it is possible to use the smart phone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user as a hidden authentication factor, so that the authentic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without being exposed to others. We implemented 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the proposed authentication mechanism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based on applicability, convenience, and security.

Analysis of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Technologies for Smart River Management (스마트 하천관리를 위한 요소기술의 현황과 특성 분석)

  • Eum, Tae Soo;Shin, Eun Taek;Song, Chang G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5 no.1
    • /
    • pp.13-21
    • /
    • 2022
  • In accordance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field is also making efforts to introduce and adva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re technologies to hydrological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sectors, but the river management and operation fields are relatively inferior in technology. Although various smart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for the analysis and operation of phenomena occurring in riv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to effectively apply them in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core technologies for smart river management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level of on-site smart technology in the SOC field an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 technologies for river management, and future technologies were suggested.

Smart Car Network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Trends (스마트카 네트워크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Yun, H.J.;Song, Y.S.;Choi, J.D.;Sohn, J.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5
    • /
    • pp.39-48
    • /
    • 2015
  • 최근 스마트카 기술은 안전운전지원 센서 기반의 단독형 시스템에서 도로 인프라와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ICT와 연계하여 교통흐름을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협력형 자율주행 서비스 개발로 발전하고 있다. 협력형 자율주행 서비스를 실현하거나, IoT 환경과 스마트카의 융합을 위해서는 스마트카에서 커넥티비티 역량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한 요소기술로 차량용 이더넷, V2X(Vehicle to Everything) 네트워킹, 네트워크 보안기술을 꼽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카에 적용되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 및 게이트웨이, V2X 네트워킹 및 보안에 관한 최근 표준 기술동향 및 이슈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Technology Trends in the Smart Cars and the IoV (스마트차량과 자동차 사물인터넷(IoV) 기술동향 분석)

  • Han, T.M.;Cho, S.I.;Chun, H.W.;Huh, J.D.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5
    • /
    • pp.11-21
    • /
    • 2015
  • 최근 IT기술과 산업 간 융합이 활발한 가운데 자동차에도 각종 첨단 IT기술이 접목되면서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이 향상된 스마트카(smart car)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 스마트카의 도움으로 운전자가 전방주시 의무에서 자유롭게 될 수 있게 되면, 운행 중에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정보접근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컴퓨팅 환경인 자동차 사물인터넷(Internet of Vehicles, Automotive IoT)이 중요하게 대두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사물인터넷의 개념이 아직은 명확히 잡혀있지 않지만, 대체로 모바일 연결성(mobile connectivity)을 중심으로, 교통안전 혼잡해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을 의미한다. 즉, 운전자와 자동차, 자동차와 주변환경 및 교통인프라, 그리고 일상생활의 모든 요소가 자동차를 매개로 해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컴퓨팅 환경을 의미하며, 가까운 미래에 이런 컴퓨팅 환경을 지원하는 자동차가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망을 반영하여 자동차 사물인터넷 환경의 스마트카에 적용될 주요 기술과 서비스를 분석하고, 스마트카와 자율주행의 핵심기술인 인포테인먼트 플랫폼의 주요 동항 및 이슈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Smart Water Management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

  • Lee, Yoo Kyung;Lee, Se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6-8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 분석을 위하여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등장 배경, 주요 현안 및 연계성을 모색하고 도시재생방안으로서 스마트 물 관리체계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대의 도시재건(Urban Reconstruction)과 1970~80년대의 도시재개발(Urban Renewal, Urban Redevelopment) 등의 정비 사업은 물리적 환경정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1990년대 환경문제가 세계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교외지역 난개발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게 되었고 도시의 물리 환경적, 산업 경제적, 사회 문화적 측면을 부흥시키는 도시재생 접근법이 출현하였다. 한국 정부는 2017년부터 시작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스마트도시 선도국가 도약과 세계적 흐름에 부합하는 도시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1980년대 초 등장한 스마트 기술은 2000년대 들어와 스마트 도시,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그리드 등의 분야로 확대, 진보하였다. 물 분야의 스마트 기술은 2009년 스마트워터그리드 이니셔티브(Smart Water Grid Initiative)의 발족과 함께 IBM, CISCO, Intel 등의 IT 기반 물 관리 워킹그룹 형성, Suez, Veolia, Siemens 등 수처리 기업의 스마트워터그리드 분야 진출 모색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2년 유엔 스마트 물 관리 포커스 그룹(ITU-T SG 5)의 스마트 물 관리 표준화 연구가 착수되었고 한국은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 연구 개발사업 중 하나로 스마트 물 관리 장기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다. 스마트 물 관리는 수자원 및 상하수도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스마트 미터, 센서, 디지털지도제작 등 ICT를 이용한 차세대 물 관리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 분야를 고려한다면 하천수, 우수, 지하수, 하폐수처리수, 해수담수 등 다양한 수자원의 관리, 물의 생산과 수송, 사용한 물의 처리 및 재이용 등 물 관리 전 분야를 포함한다. 그러나 스마트 물 관리의 용어와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미국 등 선진국과 관련기업들은 스마트 물 관리를 '스마트 워터 미터, 센서, 첨단 모델링, 수문 지도제작, 스마트 관개농업, 자동화 로봇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지능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네트워크'로 정의한다. 일찍이 도시재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실시한 영국 및 일본과 달리 한국의 도시재생은 개념, 구성요소, 범위, 사업방식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아직 형성단계에 있다. 또한 한국의 스마트 물 관리 논의는 개념정립 측면에서 심층적 논의가 거의 부재하였다. 기존의 논의들은 수자원 혹은 상하수도서비스 분야에서의 연구결과와 기술개발성과를 기계적으로 적용하고 확대하는 측면만을 부각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 물 관리에 대한 논의는 정보통신기술과 물 관리 서비스를 단편적으로 연결하고 적용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을 분석하고 지금까지 별개로 간주된 두 개념의 장점을 융합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사업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Mobile Healthcare System Based on ISO/IEEE11073, HL7 (ISO/IEEE11073, HL7 기반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

  • Jeon, Jae-Hwan;Kang, Sung-In;Kim, Gwan-Hyung;Choi, Sung-Wook;Oh, Am-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247-24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최근 IT 기술의 집약체인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국제표준인 ISO/IEEE11073, HL7을 준용하여 다양한 PHD(Personal Health Device)들과의 연결성을 지원하는 모바일 게이트웨이 플랫폼을 구축을 통하여 홈&모바일 헬스케어 분야에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한다. 아울러 핵심 기술 요소인 ISO/IEEE11073, HL7 적용을 통해 홈 헬스케어용 센서 기기에 대한 각종 기술을 축적 하고 최근에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헬스케어 플랫폼 적용으로 우수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PDF

A Conceptual Model of Smart Education Conside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교육 개념모델)

  • Jo, Jae-Choon;Lim, Heui-Se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4
    • /
    • pp.41-49
    • /
    • 2012
  • Advanced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s change our culture as well as our life style and it has changed the way of learning in education area. There have been some researches to make effective smart education systems based on ICT but few of them were designed by a solid concept of smart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developing a conceptual model for sm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for smart education: CTLA(Creation,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model. It includes activities of smart creation, smart teaching, smart learning, and smart assessment considering ICT environment for edu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natives.

  • PDF

Smart Plant Safety Framework based on Reliable-Secure USN (USN기반의 스마트 플랜트안전 프레임워크 기술)

  • Choi, Suk-Won;Song, Byung-Hoon;Jung, Ji-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436-439
    • /
    • 2010
  • 최근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은 시범사업 수준의 테스트 환경을 벗어나 산업 현장 전반에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의 USN 기술은 신뢰성 및 보안성이 취학하여 대규모 플랜트와 같은 난환경 산업 현장에의 적용이 어려운 현실이다. 또한 표준화된 기술의 부재로 인해 사용되는 USN 관련 장치들의 상호호환이 어려우며 기존 설비와의 호환이 어려워 산업 현장에 설치 규제가 심한 상태이. 다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플랜트와 같은 고위험 시설물의 경우 설비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관련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SN 기술을 기반으로 에너지플랜트와 같은 고위험 시설물을 위한 고도화되고 지능화된 안전 인프라를 구축하여, 다양한 사고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 플랜트안전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에서는 플랜트를 위한 고위험 시설물의 감시에 필수적인 요소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통합하기 위한 프래임워크 구조를 제시하여 향후 관련 기술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