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그리드

Search Result 76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별 보안 표준화 동향

  • Lee, Gunhee
    • Review of KIISC
    • /
    • v.26 no.4
    • /
    • pp.47-54
    • /
    • 2016
  •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 해결의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 스마트그리드 구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를 통해서 신재생 에너지원을 사용하고, 전기 사용의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마트그리드는 다양한 최신 정보통신 기술을 사용하므로 현재 인터넷 및 사물인터넷 등에서 지닌 사이버 보안 문제를 동일하게 가지게 되며, 피해 발생 시 파급효과는 일반 인터넷 서비스와는 비교를 할 수 없다. 이에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보안 강화 방안에 대한 고민은 연구개발, 정책, 표준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그리드 보안기술에 대한 국내 외 표준화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스마트그리드 구축 시 참조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향후 국내 스마트그리드에도 표준화된 보안 기술이 적용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Review on Integration of Smart Grid into Smart City (스마트 그리드(스마트 에너지)의 스마트 시티에의 통합에 대한 문헌 연구)

  • Sim, Min Kyu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5 no.1
    • /
    • pp.35-43
    • /
    • 2020
  • Smart grid aims to achieve efficient energy-related operations. Smart grid will become a central component of Smart city that aims to improve citizens' quality of life. This paper validates that smart grid at matured state is the state where smart grid is naturally integrated into smart grid. Also, this paper describes smart grid as an essential element of smart city. This paper discusses necessary social infrastructure and investigates necessary technological features.

The Design of Remote Digital Evidence Acquisition System for Incident Response of Smart Grid Devices (스마트그리드 기기 보안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원격 증거 수집 시스템 설계)

  • Kang, SeongKu;Kim, Sinky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5 no.1
    • /
    • pp.49-60
    • /
    • 2015
  • Smart Grid devices are the major components of the Smart Grid. They collect and process a variety informations relating power services and support intelligent power services by exchanging informations with other SG devices or systems. However, If a SG device is attacked, the device can provide attack route to attacker and attacker can attack other SG devices or systems using the route. It may cause problem in power services. So, when cyber incident is happened, we need to acquire and examine digital evidence of SG device quickly to secure availability of SG. In this paper, we designed remote evidence acquisition system to acquire digital evidences from SG devices to response quickly to incidents of SG devices. To achieve this, we analyzed operating environment of SG devices and thought remote digital evidence acquisition system of SG devices will be more effective than remote digital evidence acquisition system targeted general IT devices. So, we introduce design method for SG devices remote evidence acquisition system considered operating environment of SG devices.

A Study on the Smart Grid Operation Model (스마트그리드 운영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 Oh, Do-Eun;Kim, Young-Jun;Kang, Sin-Jae;Choi,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940-1941
    • /
    • 2011
  • 스마트미터의 보급에 따른 양방향 통신에 의한 소비자들의 참여, 풍력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의 계통 연계, 전기자동차 충천 인프라의 보급 등 스마트그리드 기술 개발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들의 출현은 현재의 전력시스템 운영에 새로운 변화를 요구한다. 향후 이러한 새로운 스마트그리드 인프라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의 등장은 전력시스템 운영의 변화를 더욱 가속화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스마트그리드 기술개발에 따른 스마트그리드 운영모델과 단계별 운영모델의 진화에 대하여 기술한다. 다양한 스마트그리드 기술들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합한 운영모델을 통해 스마트그리드 구현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소비자 도메인 스마트그리드 ICT 기술

  • Park, Wan-Gi;Lee, Il-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2
    • /
    • pp.51-58
    • /
    • 2013
  • 글로벌 기후변화 및 에너지 고갈 문제가 전(全) 지구적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다양한 그린 에너지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기존 주력 기술분야와 정보통신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기술은 이러한 패러다임에서 탄생한 기술 분야이며, 녹색 기술의 대표적인 기술 사례로 분류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개념이 국내에 도입된 이후 기술 개발 성과 실증과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자 시작되었던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 사업도 금년 5월을 기점으로 완료될 예정이다.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을 통해 소비자 도메인에서의 다양한 에너지관리 솔루션 구축 방법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기회도 되었으나 표준화 기반의 상호운용성이 확보되지 않아 컨소시엄 간의 시스템 연동이 어려운 문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그리드는 보다 강건하고 신뢰성 있는 전력시스템의 현대화 및 지능화를 위하여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전력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의 양방향 전력 및 정보의 실시간 교환 특성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11년 9/15 순환정전 사태는 전력공급 정책과 더불어 전력 소비자에 대한 관리 기능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크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을 가지는 소비자 분야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그리드 ICT 기술에 대하여 일부 주요 사항을 발췌하여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그리드의 전체적인 현황, 소비자 도메인에서의 스마트그리드 요소기술 및 ICT 기술의 핵심이 되는 소비자 도메인에서 사용되는 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소비자 도메인 ICT 기술에 대하여 정리해 보고자 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mart Water Grid Key Performance Index for the Implementation of Smart City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워터그리드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Jung, Seung Kwon;Jun, Kye 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3 no.1
    • /
    • pp.25-39
    • /
    • 2020
  • Despite the global promotion of Smart City, there is currently no standard for smart water grid development, and it is not possible to judge the success of Smart City. There is a clear need to establish the requirements and goals of the Smart Water Grid and accurately diagnose and improv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Smart Water Grid. For this purpose, it is very important to use the index suitable for Smart Water Grid goals. In this study, we developed Smart Water Grid Index whic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target measurement and attainment of Smart Water Grid and can be utilized based on the implementation plan for Smart Water Grid in the fut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Water Grid Key Performance Index (SWG KPI), we will lay the groundwork for continuous capacity evaluation of the Smart Water Grid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Index.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epare and evaluate a Challenge Evaluation Card for the planned Smart Water Grid by providing an evaluation table for grid competency evaluation.

A Security Design for a Smart Power Grid Field Test based-on Power IT Systems (전력 IT 기반스마트 파워그리드 실증 보안 체계 설계)

  • Lee, Myung-Hoon;Bae, Si-Hwa;Son, Sung-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11
    • /
    • pp.2497-2506
    • /
    • 2010
  • Smart power grid is targeting to improve grid operation by integrating existing power IT technologies in the jeju smart grid field test. Real-time two-way communication and interoperability in power grid are essential to smart power grid. Adopting smart grid will increase security vulnerabilities in power gri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wireless sensors and the chances of the external exposure of communication networks. In addition, hackers can cause chaos in the power grid system with eavesdropping and forgery attacks in communication networks. Smart power gri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ystems in deploying smart grid, and it is important to design security system systematically since smart grid can be seriously damaged when problem occurs. In this paper, local and global smart grid security standard and security vulnerabilities in power grid are reviewed, and 2 level smart grid service model is proposed.

스마트 그리드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 Park, Nam-Je;Ahn, Gil-Joon
    • Review of KIISC
    • /
    • v.20 no.3
    • /
    • pp.62-78
    • /
    • 2010
  • 최근 그린 IT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저탄소 녹색성장의 완성을 위해 지능형 전력망으로 불리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기술을 도입하여 빠른 환경 변화에 한발 앞서가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를 통해 전력망이 진화하고 있지만 사이버 공격과 비고의적인 위험노출에 대한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력망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서로 연결됨에 따라 유틸리티 공급업체의 사이버 보안 위협을 위한 노력이 점차로 중요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개인정보보호 필요성과 침해 유형들을 살펴보고, 스마트 그리드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고려사항과 보호 제공방안을 고찰하도록 한다.

A Study on Information Protection Technique for Secure Smart Grid Environment (안전한 스마트그리드 환경을 위한 정보보호 기법 연구)

  • Cho, Do-Eun;Kim, S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77-378
    • /
    • 2013
  • 스마트 그리드의 현대화에 따라 가용한 개인 정보의 상세 수준뿐만 아니라 개인정보의 수립 사례, 사용 및 유출의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스마트 그리드 환경을 위하여 사용자와 정보 관리자, 정보공유자 사이의 개인정보 공유와 보호를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은 안전한 스마트 그리드의 서비스 제공과 함께 스마트 그리드 추진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스마트그리드 통신과 게임이론의 응용

  • Bae, Seong-Hwan;Kim, Hong-S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2
    • /
    • pp.76-82
    • /
    • 2013
  • 본 고에서는 전력시스템의 효율화를 위한 스마트그리드(Smart-grid) 통신 기술을 소개하고, 스마트그리드 통신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게임이론(Game theory)의 응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스마트그리드는 에너지 ICT융합기술로써 전력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기에 기존의 단방향 전력 시스템과 비교해서 에너지 효율적이고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전통적인 전력시스템과는 달리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는 다수의 분산전원 공급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전력의 소비자 또한 전력시장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공급자와 소비자로 이루어진 합리적인 경제주체들이 어떤 의사결정을 하는가에 대하여 게임이론을 통해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에서는 특별히 스마트그리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요관리(DSM: Demand Side Management)및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를 소개하고 게임이론과 접목시킨 연구들을 살펴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