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건설기술

Search Result 38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Activate Field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건설안전 기술의 현장의 스마트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연구)

  • Choi, J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73-174
    • /
    • 2022
  • 최근 건설업계의 높은 사고율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며, 일부 제도적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선기관의 효과를 파악하고, 스마트 안전기술의 현장적용 확산을 위한 개선의견을 추가로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건설산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건설현장에서 스마트 안전기술 확산을 위한 제도개선 인식 및 추가요건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스마트건설 안전기술의 현장 적용에 대한 높은 관심이 확인되었으며, 안전관리비, 현장 안전서류 중복 등 일부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의견은 건설현장에 스마트건설 안전기술 도입 및 확산을 위한 향후 제도개선 기준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스마트건설기술의 적용을 위한 건설안전 제도개선 연구)

  • Park, Kyungsoo;Im, Seokbeen;Kim, Sehoon;Koo,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Safety
    • /
    • v.3 no.1
    • /
    • pp.9-1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legal improvements needed for extended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ies in construction site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t first, a literature review is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 of construction safety. Secondly, the statistics of construction accidents are assessed and systems and policies for construction safety in developed countries are then analyzed. Also, the applicability of smart safety technologies in the field is examined through recent application cases of construction & related industries. Finally, institutional issu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y are assessed and policy improvement directions are then introduced. As a result, additional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ies for small construction sites and continuous policy supports are required.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eline data for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related to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for domestic construction sites.

건설IT융합기술 : 스마트빌딩 기술 개발 사례

  • Baek, Yun-Cheol;Kim, Hyeong-S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0
    • /
    • pp.25-31
    • /
    • 2013
  • 본고에서는 건설기술과 IT기술이 융합된 건설IT융합기술에서 스마트 빌딩과 관련하여 안전, 건강, 편의, 에너지를 위한 기술들로 분류하여 사례와 함께 서술한다. 고층 빌딩의 안전성을 위한 건축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기술, 빌딩 실내 또는 지하 주차장에서 쾌적한 공기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스마트 환기제어 시스템 기술, 빌딩 정보의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한 빌딩정보모델링 기반의 센서와 영상 인터페이스, 스마트 빌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소개한다. 또한, 에너지 절감을 위한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냉난방, 조명, 환기설비, 전력모니터링 관련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기술들을 적용한 스마트 빌딩은 유무선통신, 스마트디바이스와 같은 IT기술을 건축공학 및 빌딩자동제어, 설비 기술에 적용하여 빌딩 사용자에게는 안전 및 최적 환경을 제공하고 빌딩 소유주나 관리자에게는 관리비용 절감, 관리 편의, 빌딩가치 상승 등을 제공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Use of BIM-based VR for Smart Safety Technology Simulation (스마트 안전기술 시뮬레이션을 위한 BIM기반 VR 활용방안 연구)

  • Lee, Hye-Jin;Jung, Sa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59-260
    • /
    • 2023
  • This study aims to build VR using BIM at our actual site, simulate it in a realistic background, and simulate new safety-related technologies being developed by our company rather than safety education contents to review optimal use plans for each field type so that the new technology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the field.

  • PDF

A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Activate Field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의 현장 적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연구)

  • Jeong, Deokhwa;Kim, Sehoon;Im, Seokbee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Safety
    • /
    • v.4 no.1
    • /
    • pp.16-21
    • /
    • 2021
  • Recently, as part of an effort to reduce the high accident ra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is being introduced, and some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being made simultaneously.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such an improved institution and to draw additional opinions for improvement to spread the field applica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y. A survey was conducted for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awareness of the improved institution and additional requirements for spreading smart safety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sit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high interest in the field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has been confirmed, and some issues such as safety management costs and duplication of on-site safety paperwork have been raised. The opinions deriv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future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site.

IT건설융합 스마트빌딩 기술

  • Kim, Hyeong-S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5
    • /
    • pp.15-20
    • /
    • 2011
  • 본고에서는 IT기술과 건설기술의 융합 기술로서 스마트빌딩 기술에 대해 서술한다. 고층 빌딩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건물구조 건전도 모니터링 기술, 빌딩 실내에 쾌적한 공기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스마트 공기질/환기제어시스템 기술, 빌딩 설계부터 빌딩 사용단계까지 빌딩정보의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한 빌딩정보 모델링 기술과 빌딩 운영관리 인터페이스 기술 등에 대하여 소개한다. 또한, 세종대학교에서 개발한 프로토타입으로 빌딩에 설치하여 시험 중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