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폰 원격 제어

Search Result 15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SmartPhone based Loading and Unloading Equiment Remote System (스마트폰을 이용한 항만 하역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개발)

  • Park, Geun-Hong;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8-299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의 수요증가와 대중화로 인하여 스마트폰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이중 항만 물류 하역 시스템에도 스마트폰과 관련된 관심이 높아져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프로젝트도 진행 중에 있다. 항만 물류 시스템은 중앙관리실에서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이중 하역장비 운용은 관리자가 중앙 관리실에서 원격으로 제어 하고 있다. 이는 관리자가 자리에 위치해 있어야만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관리자의 이동성을 보장 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으로 하역장비를 원격제어 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의 이동성을 보장하고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테스트 해보기 위해 항만 하역장비 원격제어 시스템을 Lego_NXT를 이용하여 프로토타입으로 제시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Preventing Smartphone Lost (스마트폰 분실 방지를 위한 보안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Jae Yong;Park, Ji Soo;Park, Jo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979-981
    • /
    • 2011
  • 전체 모바일 시장에서의 스마트폰의 시장점유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 보안 이슈에 대한 관심도 같이 증가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분실 및 도난으로 인한 피해의 대응책이 필요하다. 스마트폰의 특성상 휴대성 때문에 분실 및 도난시에 개인정보 유출 등의 2차적 피해가 커질 수 있다. 이러한 피해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격 동기화, 개인정보 접근 차단, 위치정보 송/수신, 원격 카메라 제어, 이벤트 로그 전송 등의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 내부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분실 및 도난된 스마트폰의 재습득 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마트폰의 분실 및 도난에 대비하는 보안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을 제안, 설계하고 구현한다.

Energy saving Fan improving user convenience by Smartphone and ultrasonic sensor (스마트폰과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절전형 선풍기)

  • Lee, Jae-Gil;Kim, Won-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327-328
    • /
    • 2013
  • 선풍기를 켜둔 채 잠시 자리를 비우거나 선풍기의 속도를 조절하고 싶은 경우가 자주 있다. 이 경우 선풍기가 가까이에 위치하는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벽걸이 형 선풍기 또는 선풍기가 사람 가까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선풍기의 속도 조절 또는 ON/OFF 제어를 위해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많다. 원격 제어장치가 추가로 제공되는 선풍기도 있지만 이 경우 원격제어장치를 가까이에 휴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그러나 스마트폰은 일반적으로 늘 가까이에 두고 있으므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한다면 이런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최근 많이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쉽게 속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유무를 판단하여 선풍기의 ON/OFF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절전도 할 수 있도록 장치와 스마트폰용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장치는 사용자 편의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전기도 절약되는 장점을 가진다.

  • PDF

A Home Automation system based on Smart phone (스마트 폰 기반 홈 자동제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 Jang, Yun-Jae;Park, Kyoung-Wook;Lee, Sung-K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6 no.4
    • /
    • pp.589-594
    • /
    • 2011
  • Smart Home or Home Network technology is one that continuously creates added value, making a better life. This paper designed and developed a smart home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This proposed smart home system consists of home server control system, remote smart application system and home node structure. Home node structure, in detail, is composed of intrusion detection, gas leakage or gas valve control, door lock, automatic curtain, ventilation control and On/Off control modules and these modules are controlled at home server. Home server makes it easy to control home automatic control system anytime, anywhere as it provides remote interface that enables control via smartphone and user interface in itself.

A Research on Smartphone-based Friendly Mobile Robot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친화형 이동로봇 연구)

  • Jo, Jae-hyuk;Kim, Yu-ri;Kim, Hye-ji;Ro, Kw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038-104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개인 서비스 로봇에서 한 단계 더 발전시켜 사용자와 소통이 가능한 로봇을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동반자와 같은 개인 친화적 로봇을 개발하고자 한다. 스마트 벗(Smart Bot)은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로봇의 움직임 및 커뮤니케이션을 제어하며, 현재 사용중인 스마트폰과 다른 스마트폰 두 대의 스마트폰만 있으면 누구나 사용가능 하다. 스마트 벗에 스마트폰을 도킹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로봇에 부착된 아두이노와 스마트폰이 시리얼 통신을 하게 된다. 그러면 각 쓰레드가 시작되어 영상전송서버, 원격제어, 얼굴인식, 음성인식을 멀티 쓰레드로 동작시킨다. 각 기능의 쓰레드 간의 통신과 쓰레드 주기설정은 메인 쓰레드의 Handler 객체의 Message로 통신 및 제어를 하며, 원격제어 및 영상전송의 경우 다른 스마트폰의 Remote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로봇에 접속하게 된다. 이 때, 해당 영상 및 제어 전송/수신 통신은 스마트폰의 WIFI 기능을 통한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수신된다. 로봇에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결합하여 스마트폰 보유자라면 누구나 로봇을 이용할 수 있고, 연령층과 성별의 구분 없이 각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로봇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mote Vehicle control system by using the Smart Phone (스마트폰 기반 차량 원격제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Song, Jong-Gun;Kim, Tae-Yong;Jang,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233-23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기반의 차량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마트폰에는 G센서가 탑재되어 모션을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G센서는 X, Y, Z축으로 되어 있어 여러 방향과 속도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G센서는 Wi-Fi통신과 블루투스 모듈의 RS232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여러 분야의 모바일 단말기에 응용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G센서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iPhone을 사용하여 영상으로 차량원격제어시스템을 구현 및 개발하여 운전자들이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시간 영상으로 좀 더 편하게 차량을 원격제어, 관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 PDF

Remote control CCTV using waste smartphone. (폐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제어 CCTV)

  • Lee, Hongrae;Yang, Heeseok;Shin, Jeonghun;Choi, Seunghak;Moon, Mi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89-9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폐 스마트폰을 활용하기 위한 원격제어 CCTV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시스템은 폐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과 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독, 그리고 사용자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폐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독을 제어할 수 있고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독은 온도, 습도, 적외선 센서와 서보모터가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용 애플리케이션은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독의 센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늘어나는 폐 스마트폰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적은 비용으로 실내 CCTV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DF

The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using Bluetooth (블루투스 기반의 LED 조명제어)

  • Kim, Wan-Sik;Shin, Dong-Suk;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86-87
    • /
    • 2012
  • 현대에 들어서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많아지고 있다. 최근 블루투스 기능을 활용하여 실내 LED 조명과 실외 LED 조명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LED 조명의 제어는 색온도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능적인 기능을 구현하여 보다 감성 조명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블루투스 모듈이 부착되어있는 LED 조명을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제어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또한 하나의 서버를 개설하여 원격지 PC의 서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LED 조명을 제어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개인 사용자 단말기인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LED 조명에 대한 색온도를 제어하는 지능적인 LED 조명 제어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개인용 탑승시스템 제어를 위한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설계

  • Kim, Yeon-Gyun;Kim, Dong-Heon
    • ICROS
    • /
    • v.22 no.1
    • /
    • pp.17-23
    • /
    • 2016
  • 본 기술 특집호에서는 개인용 탑승시스템(PMS, Personal Mobility System) 혹은 이동로봇을 무선 원격 제어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지자기센서 기반형, 조그셔틀형)들을 소개하고, 사용자 편리성 제어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방식을 분석한다. 지자기센서 기반의 절대방향 제어는 자기북극을 기준으로 한 지자기센서의 측정값인 방향각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방향각에 탑승시스템의 방향각을 같도록 탑승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다. 탑승시스템에 서있는 탑승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탑승시스템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제어할 때에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어진 시작 버튼에 손가락을 놓고, 원하는 방향으로 스마트폰을 좌 우로 회전시키면 탑승시스템은 그 방향으로 회전을 하며 주행한다. 터치기반의 조그셔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탑승시스템에 서있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어진 조그셔틀 스위치에 손가락을 놓고, 원하는 방향대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하여 탑승시스템을 주행 할 수 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ehicle Control and Management in Smart Phone (스마트폰 기반하의 차량 원격제어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설계 및 구현)

  • Lee, D.Y.;Lee, H.C.;Jung, Y.W.;Kim, Hyun-Soo;Kim, S.G.;Choi, I.J.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7-1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을 원격시동 제어 및 관리하는 원격시동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고가의 차량을 관리 및 제어하는 시스템인 만큼 작동의 신뢰성을 중요시 한다. 그래서 기존의 소형 리모콘 방식의 차량 원격시동 제어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시스템 작동의 신뢰도를 높였으며, 기존의 소형 리모콘 제어 환경에서 스마트폰으로 옮겨옴으로써, 기존의 입력 및 제어의 불편함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기존 존재하는 블루투스와 CDMA를 사용하는 차량 원격시동 제어 관리 시스템의 거리 및 속도, 비용 등의 문제점도 개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