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폰 악성코드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Forensic Investigation for Mobile Virtualization System (모바일 가상화 플랫폼에서 포렌식 조사 방안)

  • Lim, Kyung-Soo;Kim, JeongNye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857-860
    • /
    • 2013
  • 스마트폰의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은 휴대전화기 시장의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 최근에는 3000만 사용자 수를 넘어서고 있지만, 악성코드와 같은 공격으로 인한 보안 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다. 개방성을 지향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는 스미싱과 같은 신종 공격으로 인해 보안 사고가 최근 크게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존 스마트폰 운영체제와 별도의 도메인을 분리하여 금융거래나 사용자의 중요 정보는 별도의 보안 운영체제에서 처리하는 모바일 가상화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모바일 가상화 기술이 대중화될 경우, 일반적인 포렌식 조사 절차로는 현장에서 확보한 스마트폰의 보안 영역에서는 사건 조사에 필요한 증거 수집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모바일 가상화 기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화 플랫폼 기반 모바일 장비의 포렌식 조사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An Effective Malware Detection Mechanism in Android Environment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악성코드 탐지 메커니즘)

  • Kim, Eui Tak;Ryu, Keun 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4
    • /
    • pp.305-313
    • /
    • 2018
  • With the explosive growth of smart phones and efficiency, the Android of an open mobile operating system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use and the availability. Android systems has proven its availability and stability in the mobile devices, the home appliances's operating systems, the IoT products, and the mechatronics. However, as the usability increases, the malicious code based on Android also increases exponentially. Unlike ordinary PCs, if malicious codes are infiltrated into mobile products, mobile devices can not be used as a lock and can be leaked a large number of personal contacts, and can be lead to unnecessary billing, and can be cause a huge loss of financial services. Therefore, we proposed a method to detect and delete malicious files in real tim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also designed a method to detect and delete malicious codes in a more effective manner through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roid-based applications and signature-based malicious code detection method. The method we proposed and designed can effectively detect malicious code in a limited resource environment, such as mobile environments.

Response Technique for the Vulnerability of Broadcast Intent Security in Android (안드로이드 브로드캐스트 인텐트의 보안 취약성 대응기법)

  • Lim, Jae-Wan;Ryu, Hwang-Bin;Yoon, Chang-Pyo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2 no.6
    • /
    • pp.61-67
    • /
    • 2012
  • Accordingly the number of smart-phone-based malicious codes is also increasing and their techniques for malicio us purpose are getting more clever and evolved. Among them, the malicious codes related to Android take the major portion an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y are based on open source so that the access to the system is easy. Intent is a technique to support the communication between application's components by transmitting message subjects in Android. Intent provides convenience to developers, but it can be utilized as security vulnerability that allows the developer with a malicious purpose to control the system as intended. The vulnerability of intent security is that personal information can be accessed using discretionally its proper function given to application and smart phone's functions can be maliciously controlled. This paper improves with the Intent security vulnerability caused by the smart phone users' discretional use of custom kernel. Lastly, it verifies the malicious behaviors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and suggests a technique to watch the Intent security vulnerability in realtime after its install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text-Aware Authentication Security Service Based on u-Hospital Environments (u-병원 환경 기반에서 상황인식 인증 보안 서비스 설계 및 구현)

  • Jeong, Chang-Won;Choi, Jae-Hyeong;Joo, Su-Cho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3 no.2
    • /
    • pp.51-57
    • /
    • 2012
  • The warming up of the recent competition in the smart phone industry followed by rapid increase of open platforms and app stores have led the mobile terminals to adopt the general purpose operating system. The mobile device utilizing this OS is vulnerable to mobile malignant code which is highly transferable. As a result, the scale of mobile attack and harm increase. However, compared to the malicious code and virus which keep increasing, the elements for security to prevent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 about the Context Aware Service that eliminates the potentially risky elements on the smart phone service, which could threaten the usability of the service including inva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proposed system prevents from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by giving the procedure of information, and realizes the service that is able to change the sequence of identifying the users' information to prepare for emergency.

Tracking Application Behaviors Using User Interactions on Android Smartphones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상호작용을 이용한 앱 행위 추적 기법)

  • Ahn, Woo Hyun;Joun, Young Nam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4 no.4
    • /
    • pp.61-71
    • /
    • 2014
  • In recent years, malwares in Android smartphones are becoming increased explosively. Since a great deal of appsare deployed day after day, detecting the malwares requires commercial anti-virus companies to spend much time and resources. Such a situation causes malwares to be detected after they have become already spread. We propose a scheme called TAU that dynamically tracks application behaviors to specify apps with potential security risks. TAU keeps track of how a user's interactions to smartphones incurs the app installation, the route of app spread, and the behavior of app execution. This tracking specifies apps that have the possibility of attacking the smartphones using the drive-by download and update attack schemes. Moreover, the tracked behaviors are used to decide whether apps are repackaged or not. Therefore, TAU allows anti-virus companies to detect malwares efficiently and rapidly by guiding to preferentially analyze apps with potential security risks.

사이버 환경에서의 보안위협

  • KIm, Ji-Hoon;Cho, Si-Haeng
    • Review of KIISC
    • /
    • v.20 no.4
    • /
    • pp.11-20
    • /
    • 2010
  • 정보시스템과 인터넷의 발전은 모든 정보 자산의 네트워킹이 가능해짐에 따라, IT 인프라를 중심축으로 한 정보사회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최근에는 참여 공유 개방으로 대변되는 웹 2.0 기술과 함께 가히 폭발적인 스마트폰 시장환경이 맞물리면서 "모바일 웹 2.0" 시대로의 빠른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따른 정보사회의 역기능도 만만치 않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는 이미 해킹 및 악성코드로 인한 정보 유출 피해를 비롯하여 서비스 거부 공격으로 인한 비즈니스 연속성 침해에 이르기까지 끊이지 않는 사이버 침해사고를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화하고 있는 악성코드에 대한 최근 동향 분석을 통해 미래 정보 사회를 주도할 소설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보안위협이 어떻게 진화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전쟁의 사례 분석을 통해 사이버 보안 문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인지와 인식이 확립되고 보다 강력하고 안전한 대응 체계를 위한 우리의 노력이 끊임없이 연구되길 기대해 본다.

모바일 난독화 기술 동향

  • Yuxue, Piao;Jeong, Jin-Hyeok;Lee, Jeong-Hy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8
    • /
    • pp.65-71
    • /
    • 2012
  •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기기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이들 기기에 저장된 각종 개인정보에 대한 불법적 접근을 노라는 악성 앱들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들 위변조 앱 출현의 원인 중의 하나는 앱 실행화일의 역컴파일이 쉽기 때문이다. 앱 역컴파일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술 중의 하나가 코드 난독화 기술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일반적인 난독화 기술들을 분류하고, 현존하는 안드로이드, 아이폰, 윈도폰에 적용가능한 난독화 도구들의 기능에 대하여 조사 분석한다.

A Research Trend of Smartphone-based Intrusion Detection Technique (스마트 폰 기반 침입 탐지 기법 연구 동향)

  • Choi, U-Jin;Jeon, Gwang-Ii;Jang, Joon-Hyo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101-103
    • /
    • 2012
  • 스마트 폰의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보안 관련된 다양한 이슈 및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폰 대상의 악성 코드의 침입 경로가 다양화 되고 있으며, 개인 정보 유출 및 불법적 과금 등의 피해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스마트 폰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등의 자원 제약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공격을 탐지하고 보호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탐지 기법들을 그대로 사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 환경에서 침입 탐지 기법의 종류를 분류하고 각 탐지 유형을 분석한다.

User Authentication Mechanism using Smart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 Jeong, Pil-seong;Cho, Yang-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2
    • /
    • pp.301-308
    • /
    • 2017
  • 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many people use smart phones to conduct identity verification procedures. smart phones are easier and faster to authenticate than personal desktop computers. However, as Internet hacking technology and malicious code distribution technology rapidly evolve and attack types become more diverse, authentication methods suitable for mobile environment are required. As authentication methods, there are methods such as possessive-based authentication, knowledge-based authentication, biometric-based authentication, pattern-based authentication, and multi-element authent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er authentication mechanism that uses collected information as authentication factor using smart phone. Using the proposed authentication mechanism, it is possible to use the smart phone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user as a hidden authentication factor, so that the authentic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without being exposed to others. We implemented 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the proposed authentication mechanism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based on applicability, convenience, and security.

A Study of Negative App Detection from Active Pattern Anlysis in Android Platform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활성 패턴 분석을 통한 부정 앱 검출에 관한 연구)

  • Lee, Chang-Soo;Hwang,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835-838
    • /
    • 2012
  • 최근 스마트폰의 폭팔적인 증가와 함께 사용 환경개선도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Wi-Fi 존의 증가와 LTE같은 빠른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중심의 수 많은 앱을 탄생시키고 있다. 안드로이드는 애플의 iOS와는 다른 오픈소스 정책으로 플랫폼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 많은 개발자가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안드로이드는 앱(App) 검증 체계가 미흡하기 때문에 악성코드 등으로 인한 위협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파일 시스템은 임의적 접근제어방식으로 공격자가 취약점을 통해 관리자 권한을 얻어 시스템 자원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위협요소가 다분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앱이 호출하는 시스템 API 및 네트워크 자원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부정 앱을 차단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API호출 빈도 및 자원 사용률이 최소 기준치 이하로 검출된 경우를 제외한 평가대상은 모두 검출하여 보안성 강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