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폰중독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2초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 박순주;권민아;백민주;한나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89-297
    • /
    • 2014
  •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와 대인관계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6개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02명이며, 2012년 5월부터 6월 사이에 성인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척도와 대인관계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와 ${\chi}^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SNS 이용자의 스마트폰 중독정도는 중독군이 24.8%, 일반군이 75.2%였다. SNS 이용자 가운데 스마트폰 중독집단과 일반집단의 대인관계능력은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영역 중 자기노출 능력은 중독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하위영역 중 가상세계지향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낮았고,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 하위영역 중 대인갈등 다루기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예방 및 대인관계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 장여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9-129
    • /
    • 2015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S시에 거주하는 미취한 자녀를 둔 어머니 20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중독척도(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1), 양육효능감척도(최형성 정옥분, 2001), 양육태도척도(배문주, 2005)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피어슨 상관분석,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영역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일상생활장애가 전반적인 양육효능감,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지도능력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영역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를 살펴보면 일상생활장애는 거부적 태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상세계지향성은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부모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강조하며 긍정적인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지역 대학생의 스마트 폰 중독사용과 안구건조증, 상지통증 및 우울간의 관계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addictive smart phone use, dry eye syndrome, upper extremity pain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 백경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61-69
    • /
    • 2017
  • 본 연구는 스마트 폰 중독사용과 안구건조증, 상지통증 및 우울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 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 학생 286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Statistics 22.0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x^2-test$, t-test, ANOVA, Scheffe test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로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15%가 스마트 폰 중독사용으로 나타났고 스마트 폰 중독 사용군은 정상 사용군에 비해 안구건조증(t=-4.38, p<.001), 목 통증(t=-2.60, p<.05) 및 우울(t=-4.15, p<.001)이 유의하게 높았다. 스마트 폰 중독사용은 안구건조증(r=.332, p<.001), 목 통증(r=.143, p<.05), 손 통증(r=.138, p<.05) 및 우울(r=.402, p<.001)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올바른 스마트 폰 사용을 위한 정기적인 보건교육의 실시와 스마트 폰 중독사용과 이로 인한 건강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중재 전략을 개발하는데 있어 우울을 감소시키고 목 통증과 안구건조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심리적 마음상태와의 관계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ological mindedness)

  • 백현기;윤지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89-400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리적 마음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주시에 소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한 자료는 SPSS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리적 마음상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심리적 마음상태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청소년들이 바람직한 스마트폰 사용 방향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소년 복지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 김혜순;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17-12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소재 5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640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또래관계의 신뢰에는 영향을 주지는 않았으나, 의사소통, 화(angry) 및 소외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성별과 학년, 일평균 사용시간과 월평균 통신요금은 스마트폰 중독에 다르게 영향을 주었고, 셋째, 성별과 학년, 일평균 사용시간과 통신요금의 차이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에 중독 또는 사용빈도가 지나친 청소년들에게 스마트폰 순기능을 높여 보호요인을 증진시키고, 역기능인 위험요인을 감소시켜 가정과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Social Isola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through Self-regulation and Social Support)

  • 이혁준;임진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82-498
    • /
    • 2019
  • 본 연구는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련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사회적 고립감에 초점을 맞추어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서 거주하는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1:1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04명의 자료를 수거하였으며, 최종 40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 경로를 거쳐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의존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 연구를 제고시킴은 물론, 함의 및 관련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이용자의 자기결정성 이론이 플로우 및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n Flow and Smartphone Addiction by Smartphone User's Self-determination)

  • 김효정;안현숙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5-45
    • /
    • 2015
  • 21세기에 들어 ICT의 발전은 인간의 삶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편리성, 효율성 등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 또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등이 스마트폰 중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조사를 기초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오락성에 근거하여 플로우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은 플로우에 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능감, 관계성, 오락성은 플로우에 정(+)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로우는 스마트폰 중독에 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의 세부항목인 병적몰입, 생활장애, 일상성, 과용 등의 항목들이 플로우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게임 사용자의 효율적인 인증 방법 (An Efficient Authentication Method of User using Smartphone Game)

  • 정윤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7-258
    • /
    • 2013
  • 최근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계층이 다양화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 계층 중 청소년이 다른 계층보다 스마트폰 게임에 쉽게 중독되어 다른 일상 생활이 힘든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게임을 통해 일상 생활이 불가능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게임 사용을 강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은 사용자의 게임 시간과 접속 횟수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사용을 자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게임중독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이 온라인 게임 상에 물품을 구입할 경우 청소년의 부모에게 게임 아이템구입 확인 메시지를 전달하여 게임 사용을 제한한다.

  • PDF

스트레스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학습된 무력감과 지연행동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Mediating Effects of Learned Helplessness and Procrastination)

  • 정구철;조민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75-185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들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과 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성인 231명(남: 114명, 여: 117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7.7세(SD=6.6)였다. 분석결과, 첫째, 스트레스는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을 통해 지연행동을 거치는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다섯째,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을 통해 지연행동을 거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과 지연행동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Mental Health,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55-665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에서 190명의 대학생(남: 95명, 여: 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과 일반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MMPI-2의 임상척도는 건강염려증, 우울증, 반사회성, 강박증, 정신분열증, 내향성이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과 일반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임상척도는 건강염려증, 편집증, 강박증, 정신분열증이었다. 셋째, 임상척도 중 강박증과 내향성이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임상척도 중 강박증만이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의 감소를 위한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