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팩토리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9초

스마트 팩토리 품질요인이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 및 스마트 팩토리 성과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the Quality Factor of Smart Factory on the Intention to accept Advance Smart Factor: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and Smart Factory Performance)

  • 이상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67-38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 팩토리 도입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 품질(시스템 품질, 정보품질, 서비스 품질)에 대해 지각된 가치 및 성과를 통하여 현 수준보다 개선된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 및 확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가치에는 정보품질, 서비스 품질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팩토리 성과에는 시스템 품질, 정보품질 및 서비스 품질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가치는 스마트 팩토리 성과에, 지각된 가치와 스마트 팩토리 성과는 모두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스템 품질과 정보품질은 지각된 가치와 스마트 팩토리 성과를 통해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서비스 품질은 지각된 가치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지각된 가치, 그리고 스마트 팩토리 성과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격적으로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팩토리 품질요인을 기반으로 스마트 팩토리 수준을 고도화할 수 있는 하나의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중소기업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Smart Factory for Small Companies)

  • 박상기;이명래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1권6호
    • /
    • pp.39-47
    • /
    • 2016
  • 스마트팩토리의 세계시장 규모가 2015년 약 177조에서 2020년 약 437조까지 년 평균 20%씩 성장할 것으로 한 보고서는 예측하였다. 한국은 스마트팩토리 보급을 위해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을 1만개까지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스마트팩토리의 핵심기술은 IoT와 사이버물리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 CPS)으로 구성되고 이에 필요한 핵심 하드웨어는 센서소자/모듈, 무선 센서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중소기업을 위한 스마트팩토리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통신구조를 논의한다. 그리고 일부 구성요소를 세 기업에 지원한 사례를 알아보고 스마트팩토리를 중소기업에 적용하는 방안 및 문제점을 논의한다.

  • PDF

히트맵 기반 스마트팩토리 보안위협 데이터 시각화 모델 (Visualization Model for Security Threat Data in Smart Factory based on Heatmap)

  • 정인수;김의진;곽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84-287
    • /
    • 2021
  •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제조산업에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같은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의 제조 공정 자동화 및 장치 고도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제조 공정 자동화를 위해 스마트팩토리의 각 계층별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 가능한 보안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에서는 SIEM 등의 장비가 보안위협 데이터를 수집·분석·시각화하여 대응하고 있다. 보안위협 데이터 시각화에는 그리드 뷰, 피벗 뷰, 그래프, 차트, 테이블을 활용한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스마트팩토리 전 계층의 보안위협 데이터 확인에 대한 가시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팩토리 보안위협 데이터를 CVSS 점수 기반의 Likelihood와 보안위협 데이터 기반의 Impact를 활용하여 위험도를 도출하고, 히트맵 기반 스마트팩토리 보안위협 데이터 시각화 모델을 제안한다.

고 신뢰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자율컴퓨팅 기술

  • 박정민;고동범;김정준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11호
    • /
    • pp.16-22
    • /
    • 2016
  • 지능형 공장은 전통적인 제조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이버-물리시스템, 사물인터넷과 같은 기반 기술들의 발전으로 지능형공장을 추구하는 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분야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로 인해 복잡성이 매우 크고, 문제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제조설비의 고신뢰 자율컴퓨팅 기술에 대하여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1)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통신미들웨어 기술동향, 2) 전통적인 자율컴퓨팅 기술동향 3) 고 신뢰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자율컴퓨팅 요소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팩토리 보안 사고 유형 분석 및 대안 프레임 제시 (Analysis of Security Attacks and Design of Defense Strategies Found in Smart Factory)

  • 김현진;김진영;백주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161-164
    • /
    • 2018
  • 최근 제조업의 근로 시간 단축 및 전문 노동력의 감소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가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생산품의 불량률을 줄이고, 숙련공 없이 비숙련공만으로 현장 가동이 가능하다는 점 등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팩토리는 높은 설비 도입 비용, 업무 시스템 재설계 등의 문제점이 등이 있으며, 특히 보안의 취약성이 심각하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기업이 현실에서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팩토리의 다양한 보안 사고를 유형 및 정형화시키고 여러 보안 사고를 유발하는 취약한 부분을 구체화하여 스마트 팩토리의 보안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팩토리의 주요 보안요인 연구: AHP를 활용한 우선순위 분석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Key Security Factors in Smart Factory: Focusing on Priority Analysis Using AHP Method)

  • 허진;이애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185-203
    • /
    • 2020
  • 4차 산업혁명과 함께 ICT(정보통신기술)와 제조업이 융합된 스마트 제조업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제조업은 생산효율 증진을 위한 단순 목적으로 공업적인 기술 혁신을 추구했다면, 스마트 제조업에서는 ICT와 융합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통해 제조 공정과 서비스 형태가 융·복합 플랫폼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구현 기업들은 ICT의 장점을 활용한 이점과 함께, 개방화/융합화/정보화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보안 이슈를 동시에 접하게 된다. 스마트팩토리에서는 ICT를 기반으로 모든 기계와 설비 등이 연결되어 기존에 생각하지 못했던 융·복합적 보안 위협요인에 노출되고 상시적으로 다양한 사이버 위협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보안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보안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스마트팩토리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ICT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산업 현장의 특성을 감안하여 우선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주요 보안요인들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팩토리 구축 시 적용해야 할 보안요인들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단말/네트워크/플랫폼·서비스 범주를 포괄한 '스마트팩토리 보안요인의 계층적 분류 모델'을 제시하고, 스마트팩토리 및 보안 관련 전문가 그룹(기술위원, 사업전문가, 보안전문가)을 대상으로 중요도 평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HP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보안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스마트팩토리 구현에 필요한 보안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팩토리 보안요인간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더욱 확산될 스마트팩토리가 보다 안전하게 구축·운용될 수 있도록 스마트 제조업 시대에 필요한 정보보안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팩토리와 연관된 생산제조기술 동향

  • 박형욱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1호
    • /
    • pp.24-29
    • /
    • 2015
  • 최근 주요 선진국에서의 기존의 생산제조기술들과 ICT 기술 사이에 융합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스마트 팩토리 관련 연구 개발에 정부 연구비를 막대하게 투자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민관 협력 강화된 체계 구축을 통해서 자국의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는 중이다. 또한, 한국의 경우도 민관의 협력을 기반으로 해서 제조업 성장성 확보와 더불어 스마트 팩토리 관련 연관 산업의 육성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스마트 팩토리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을 제고 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요즈음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스마트 팩토리 관련 개념 및 연구 개발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특히, 제조업 중흥을 위한 주요 선진국의 스마트 팩토리 관련 정책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부가적으로 스마트 팩토리의 기반 기술들이 되는 ICT기술과 융합이 가능한 생산제조기술들에 연구 동향에 대해서 살펴 봄으로써 향후, 스마트 팩로리 관련 연구 개발 방향 및 정책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요인이 활용에 미치는 영향 - 조직변화 수용성의 조절효과검증 - (Influence of Smart Factory Construction Factors on Utilization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Companies : Moderating Effects of Tissue change receptivity)

  • 김형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49-5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의 구축요인에 따른 활용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팩토리를 기존의 목표와 취지에 맞게 활용하기 위해서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따른 중소 제조기업의 구축요인에 대한 사전에 기업의 특성에 맞는 전략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직 내 구성원들이 스마트팩토리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이고 수용하느냐 따라 활용의 정도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중소 제조기업 뿐 만 아니라 많은 기업은 조직 내 구성원들이 스마트팩토리에 따른 변화의 불안감을 갖지 않고,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스마트팩토리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업역량이 스마트 팩토리 수용의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역특성을 조절변수로- (The Effect of Corporate Competency on Smart Factory Acceptance Inten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 김상문;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125-133
    • /
    • 2020
  • 본 연구는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관련 대표 및 직원역량과 스마트 팩토리 수용의도 그리고 경영성과 사이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도입과 관련한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중소 제조기업 중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310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확정된 연구 모형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SEM)분석으로 연구가설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표 및 직원역량은 스마트 팩토리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직원역량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다. 수용의도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역특성은 대표역량, 수용의도 및 경영성과 사이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역량은 스마트 팩토리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며, 지역특성은 대표역량과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도 그리고 경영성과 간의 경로에 유의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중소 제조기업 스마트 팩토리 수준별 연구와 업종, 규모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도입기업의 특성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