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미터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Network Congestion Control Through Adjustment of Data Transmission Time on Smart Grid Networks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시간 조절을 통한 네트워크혼잡 개선 방법)

  • Park, Se-Young;Kim, Mi-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217-218
    • /
    • 2012
  • 기기간(M2M, Machine-to-Machin) 통신의 한 응용으로서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는 다수의 기기 통신으로 인한 전송 데이터의 방대한 양을 대표적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이에 현재 사용가능한 통신 기술들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병목현상 혹은 네트워크 혼잡 등 네트워크 장애 및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의 상향 트래픽은 시간조절이 가능한 주기적 미터링 데이터와 지연민감한 이벤트 데이터로 나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 트래픽 특성에 따라 트래픽양의 대다수를 이룰 미터링 데이터의 전송시간 조절을 이용한 혼잡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지연민감한 이벤트 데이터의 지연시간 내 전송 보장 확률을 높이고, 트래픽을 분산시킴으로써 전송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 PDF

The Authentication Protocol for secure data transfer in AMI system (AMI 시스템에서 안전한 정보 전송을 위한 인증 프로토콜)

  • Jung, Su-Young;Go, Woong;Kwak,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794-796
    • /
    • 2011
  • 21세기에 들어오면서 기존 전력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IT기술을 접목시켜 신재생에너지 활용과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미터를 이용해 사용 전력량, 요금 등을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IT기술과 접목되어서 기존의 폐쇄망과는 달리 개방적으로 바뀌면서 외부의 공격에 쉽게 노출되어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미터와 이를 통해 수집되어진 정보를 취합하는 AMI Headend사이의 안전한 정보 전송을 위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A Case Study of the Impact of a Cybersecurity Breach on a Smart Grid Based on an AMI Attack Scenario (AMI 공격 시나리오에 기반한 스마트그리드 보안피해비용 산정 사례)

  • Jun, Hyo-Jung;Kim, Tae-S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6 no.3
    • /
    • pp.809-820
    • /
    • 2016
  • The smart grid, a new open platform, is a core application for facilitating a creative economy in the era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is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smart grid and a two-way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between the main utility operator and customer. The smart meter records consumption of electrical energy and communicates that information back to the utility for monitoring and billing.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a cybersecurity attack on the smart meter. We analyze the cost to the smart grid in the case of a smart meter attack by authorized users based on a high risk scenario from NESCOR. Our findings could be used by policy makers and utility operators to create investment decision-making models for smart grid security.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IoT Basis Gas AMI Platform and Smart Metering Services (IoT 기반 가스 원격검침(AMI) 플랫폼과 서비스의 실증 연구)

  • Lee, Seungwoo;Lee, Sangshin;Song, Min-hwan;Kwon, Yo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4 no.3
    • /
    • pp.1-10
    • /
    • 2020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smart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AMI) architecture and services for using smart metering in gas industry. A general gas AMI system is composed of a smart gas meter, IoT network, the AMI platform, and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s. The proposed gas AMI platform supports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smart metering devices and AMI services and is applied by oneM2M standard to support interoperability between various types of metering devices and heterogeneous IoT networks. To demonstrating AMI system with the proposed platform, we installed about 2,900 smart gas meters in real environments and operated AMI systems for one year. We verified that about 94% of gas meters are normally worked and AMI services are stably operated without error or malfunction.

스마트에너지 시대를 이끄는 스마트 디바이스들

  • Park, Byeong-Hwa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6
    • /
    • pp.34-38
    • /
    • 2016
  • 2015년 12월12일 제 21차 파리 기후 변화 협약에 195개국이 참여하여 온실 가스를 현재 배출분의 90%로 감축하기로 약속하였으며, 한국은 2030년 목표 배출량 절감을 37%로 설정하였다. 미국은 전력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거주용 전력과 상업용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다양한 전력 가격 정책을 책정하여, 스마트 미터와 연동되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스마트 온도 조절기와 스마트 가전이 어느정도 에너지 절감효과를 갖는지 알아본다.

Analysis of Energy Savings using In-Home Display(IHD) (소비자 에너지 정보 표시 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 효과의 분석)

  • Choi, Tae-Seop;Ko, Kyung-Rok;Park, Seong-Chan;Im, Sang-Kug;Yoon,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535_536
    • /
    • 2009
  • 에너지 관련 자원 가격의 급등으로 전력 생산 비용이 증가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전력 회사들이 재정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 생산 비용과 판매가격의 왜곡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제안된 여러 방법 중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은 에너지 소비자의 에너지 소비 패턴을 변화시키고 자율적인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 시스템의 보급을 위해 2008년 실효성 검증을 위한 실증 연구 과제를 추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008년 수행한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 실증 과제에서 개발된 한국형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을 소개하고 실증을 통해 에너지 정보 표시 장치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검증한다. 실증 연구는 2008년 12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약 2개월동안 청주와 서울에서 77가구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는 실증을 통해 얻어진 에너지 절감 효과와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의 결과에 대해 소개한다.

  • PDF

Threatening privacy by identifying appliances and the pattern of the usage from electric signal data (스마트 기기 환경에서 전력 신호 분석을 통한 프라이버시 침해 위협)

  • Cho, Jae yeon;Yoon, Ji W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5 no.5
    • /
    • pp.1001-1009
    • /
    • 2015
  • In Smart Grid, smart meter sends our electric signal data to the main server of power supply in real-time. However, the more efficient the management of power loads become, the more likely the user's pattern of usage leaks. This paper points out the threat of privacy and the need of security measures in smart device environment by showing that it's possible to identify the appliances and the specific usage patterns of users from the smart meter's data. Learning algorithm PCA is used to reduce the dimension of the feature space and k-NN Classifier to infer appliances and states of them. Accuracy is validated with 10-fold Cross Validation.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smart meter end-user demand data (스마트미터 데이터 활용 방법에 대한 연구)

  • Park, Geunyeong;Jung, Donghwi;Jun, Sang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0
    • /
    • pp.759-768
    • /
    • 2021
  • This work introduces a new approach that classifies individual household water usag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meter end-user demand data. Here, one of the most well-known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K-means algorithm, is applied to classify water consumptions by each household.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end-user demands are used as main features to determine the households with similar water consumption pattern. The results showed that 21 households are classified into 13 clusters with each cluster having one, two, three, or five houses. The reasoning why multiple households are classified into the same cluster is described in this paper with respect to the collected data and end-user water consumption behavior.

Analysis of water quality smart meter data using dynamic time warping (Dynamic Time Warping을 이용한 수질 스마트미터 데이터 분석)

  • Lim, Soyeon;Jung, Donghw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3-173
    • /
    • 2021
  • 현재까지 상수도관망 내 수질적 거동에 대한 분석은 (1) 네트워크 수질 모델(EPANET 수질모의 등)에 기반한 방법과 (2) 시공간적 저해상도 데이터에 기반한 데이터 분석법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현존 네트워크 수질 모델은 수질 사고의 복잡한 물리·화학적 거동을 상세히 모의하기 어렵다. 반면 계측 및 통신기술의 발달로 고해상도 수질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이 가능해지면서 사고의 사전감지, 발생시 즉각적 탐지 및 대응을 위한 데이터 분석법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서울 문래동, 인천, 포항의 경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수질사고 발생 시 원인물질의 시공간적 이송 또는 전파에 대한 정보는 사고대응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본 연구는, 비정상적인 수질변화의 계통 내 전달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고해상도 수질 스마트 미터 데이터에 기반한 데이터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물공급 하류방향의 수질변화 전달 시간 정량화를 위해 화음탐색법 기반 동적시간워핑(Dynamic time warping; DTW) 기술을 이용하였고, 원데이터의 전처리를 위해 이동평균필터링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분석법은 A시 생산 및 배·급수과정의 감시지점에서 10초 단위로 계측된 다양한 수질변수(pH, 탁도, 잔류염소, 전기전도도, 수온 등)의 공간적 변이 전파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적용되었다. 분석에 활용한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 및 측정 기기에 의한 이상값과 운영상황의 변화에 따라 변동한 값을 처리하기 이전의 데이터이다. 데이터 품질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이상값이 발생하지 않은 기간을 파악한 후, 그 기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계통 내 위계에 따라 두 지점의 측정값의 전파시간을 정량화한 결과, 지점에 따라 전파시간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두 지점에 적용한 결과라도 DTW를 적용하는 기간과 이동평균필터링의 크기에 따라 수질변화 전달 시간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다변량 수질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 방법의 실시간 적용을 통해 동적으로 변화하는 전달시간을 주기적, 공간적으로 갱신하여 관망 수질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 PD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Smart Water Management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

  • Lee, Yoo Kyung;Lee, Se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6-8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 분석을 위하여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등장 배경, 주요 현안 및 연계성을 모색하고 도시재생방안으로서 스마트 물 관리체계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대의 도시재건(Urban Reconstruction)과 1970~80년대의 도시재개발(Urban Renewal, Urban Redevelopment) 등의 정비 사업은 물리적 환경정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1990년대 환경문제가 세계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교외지역 난개발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게 되었고 도시의 물리 환경적, 산업 경제적, 사회 문화적 측면을 부흥시키는 도시재생 접근법이 출현하였다. 한국 정부는 2017년부터 시작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스마트도시 선도국가 도약과 세계적 흐름에 부합하는 도시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1980년대 초 등장한 스마트 기술은 2000년대 들어와 스마트 도시,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그리드 등의 분야로 확대, 진보하였다. 물 분야의 스마트 기술은 2009년 스마트워터그리드 이니셔티브(Smart Water Grid Initiative)의 발족과 함께 IBM, CISCO, Intel 등의 IT 기반 물 관리 워킹그룹 형성, Suez, Veolia, Siemens 등 수처리 기업의 스마트워터그리드 분야 진출 모색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2년 유엔 스마트 물 관리 포커스 그룹(ITU-T SG 5)의 스마트 물 관리 표준화 연구가 착수되었고 한국은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 연구 개발사업 중 하나로 스마트 물 관리 장기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다. 스마트 물 관리는 수자원 및 상하수도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스마트 미터, 센서, 디지털지도제작 등 ICT를 이용한 차세대 물 관리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 분야를 고려한다면 하천수, 우수, 지하수, 하폐수처리수, 해수담수 등 다양한 수자원의 관리, 물의 생산과 수송, 사용한 물의 처리 및 재이용 등 물 관리 전 분야를 포함한다. 그러나 스마트 물 관리의 용어와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미국 등 선진국과 관련기업들은 스마트 물 관리를 '스마트 워터 미터, 센서, 첨단 모델링, 수문 지도제작, 스마트 관개농업, 자동화 로봇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지능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네트워크'로 정의한다. 일찍이 도시재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실시한 영국 및 일본과 달리 한국의 도시재생은 개념, 구성요소, 범위, 사업방식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아직 형성단계에 있다. 또한 한국의 스마트 물 관리 논의는 개념정립 측면에서 심층적 논의가 거의 부재하였다. 기존의 논의들은 수자원 혹은 상하수도서비스 분야에서의 연구결과와 기술개발성과를 기계적으로 적용하고 확대하는 측면만을 부각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 물 관리에 대한 논의는 정보통신기술과 물 관리 서비스를 단편적으로 연결하고 적용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을 분석하고 지금까지 별개로 간주된 두 개념의 장점을 융합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사업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