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숫자

Search Result 1,59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Digit Segmentation in Digit String Image Using CPgraph (CPgraph를 이용한 숫자열 영상에서 숫자 분할)

  • Oh, Jeong-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9
    • /
    • pp.1070-1075
    • /
    • 2019
  • In this paper, I propose an algorithm to generate an input digit image for a digit recognition system by detecting a digit string in an image and segmenting the digits constituting the digit string. The proposed algorithm detects blobbed digit string through blob detection, designates a digit string area and corrects digit string skew using the detected blob information. And the proposed algorithm corrects the digit skew and determines the boundary points for the digit segmentation in the corrected digit sequence using three CPgraphs newly defined in this paper. In digit segmentation experiments using the image group including digit strings printed with a range of the font sizes and the image group including handwritten digit strings, the proposed algorithm successfully segments 100% and 90% of the digits in each image group.

Recognition of Handwritten Numeral Strings Using Touching Numeral Pair Recognizer (접촉 숫자쌍 인식기를 이용한 필기 숫자열 인식)

  • 최순만;오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344-346
    • /
    • 2000
  • 임의 길이 숫자열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우선 숫자열 영상을 인식기가 다룰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야 한다. 만일, 사용하는 인식기가 낱자 단위 인식기라면 낱자 단위로 분할하여야 하는데, 두자 이상의 숫자들이 접촉한 경우 정확한 분할이 어렵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촉 숫자쌍을 분할하지 않고 통째로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필기 숫자열을 인식하기 위해 제안한 방법은 두 개의 인식기를 이용한다. 숫자열에서 분할된 패턴이 낱자인 경우 낱자 인시기가, 접촉 숫자쌍일 경우 접촉 숫자쌍 인식기가 인식한다. NIST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실험 결과 2~10개의 숫자를 포함한 숫자열에 대하여 83.76%의 숫자열 인식률을 보여 접촉 숫자열 패턴을 낱자 단위로 분할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Fuzzy Set bas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Ranks of Fuzzy Numbers (퍼지집합을 이용한 퍼지숫자의 순위 결정 방법)

  • Lee, Jee-Hyong;Lee, Kwang-Hyu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7
    • /
    • pp.723-730
    • /
    • 2000
  • Fuzzy numbers represent fuzzy numeric valu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whether one fuzzy number is larger or smaller than other fuzzy numbers. Thus it is also difficult to determine the rank which a fuzzy number takes, or to select the k-th largest fuzzy number in a given set of fuzzy numb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uzzy set based method to determine the rank of a fuzzy number and the k-th largest fuzzy number. The proposed method uses a given fuzzy greater-than relation which is defined on a set of fuzzy numbers. Our method describes the rank of a fuzzy number with a fuzzy set of ranks that the fuzzy number can take, and the k-th largest fuzzy number with a fuzzy set of fuzzy numbers which can be k-th ranked.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nnected Digit Recognition by Considering Phoneme Variations in Korean Digit. (한국어 숫자음에서의 음운변화를 고려한 연결숫자 인식의 성능향상)

  • Song Myung Gyu;Kim Hyung S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05-108
    • /
    • 2001
  • 한국어 숫자는 각 숫자가 단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속적으로 발음될 때 인접 숫자들의 상호조음현상에 의해 각 숫자의 고유 발음이 변화하고, 또한 그 숫자들의 경계도 모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연속적인 숫자의 발성을 기대하는 인식시스템에 반하여 일부 사용자는 숫자들을 고려시켜서 발성하기도 한다. 이는 연결숫자의 음운현상만을 고려한 인식 시스템에서는 성능저하의 한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연결숫자의 인식성능 향상을 위해서 한국어 숫자들의 음운 변화를 고려하여 변이음군을 정하였으며, 사용자의 여러 가지 발성형태에 따른 다양한 음운 현상의 변화를 흡수 할 수 있도록 인식 네트웍을 구성하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전화망 4연숫자음을 이용한 화자독립 인식실험을 통해서 한국어 숫자에서 자주 오인식 되는 '이', '오', '일' 인식 성능이 각각 $4..2\%$, $4.2\%$, $2.9\%$씩 향상되었으며, 인식속도도 $33\%$의 개선이 있었다

  • PDF

Recognition of numeral stings with broken digits (획의 일부분이 손상된 숫자가 포함된 필기체 숫자 열의 인식)

  • Kim, Kye-Kyung;Kim, Jin-Ho;Cho, Soo-Hyun;Chi, Soo-Young;Chung, Yu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03-50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획의 일부분이 손상된 숫자(broken digit)나 붙은 숫자(touching digits)와 같은 비정형 숫자들이 포함된 필기체 숫자 열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비정형 숫자들은 분류(pre-segmentation) 단계에서 숫자들의 구조적인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정형인 개별 숫자(isolated digit)로부터 획의 일부분이 손상된 숫자 또는 붙은 숫자들로 분류된다. 획의 일부분이 분리된 숫자의 결합 및 붙은 숫자들의 분할 단계를 거쳐 인식을 시도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NIST SDl9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해 보았다.

  • PDF

Segmentation-free Approach to the Recognition of Two Touching Numerals (두자 접촉 숫자열의 분할-자유 인식)

  • 최순만;오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381-383
    • /
    • 1998
  • 숫자열 인식은 문서 자동화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방법들은 숫자열을 낱자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와 분할된 숫자들을 인식하는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방법으로는 접촉 유형의 많은 변형 때문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논문은 두자 접촉 숫자열을 분할-자유 방법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두자 접촉 숫자열을 하나의 패턴으로 간주하여 인식한다. 즉, 인식 대상이 되는 부류가 100개(00, 01, 02, ... , 98, 99)이다. 훈련 데이터는 NIST 데이터베이스에의 낱자 단위 숫자들을 조합하여 합성하였고, 테스트 데이터는 NIST의 숫자열 필드에서 두자 접촉한 숫자열 만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 PDF

Recognition of Unconstrained Handwritten Numerals in Bank Slip (은행전표 항목의 무제약 필기 숫자열 인식)

  • 윤성수;이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375-377
    • /
    • 1998
  •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은행전표에는 많은 숫자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이 항목들에 나타나는 숫자들은 단순히 숫자들의 배열이 아니라 콤마나 하이픈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많은 경우 숫자들끼리 서로 접촉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시중 은행에서 사용되는 전표의 필기 숫자 항목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결과를 보였다. 실험은 크게 숫자분할 알고리즘에 대한 실험과 전체 시스템 성능에 대한 실험으로 나뉜다. 접촉된 두 숫자의 분할 알고리즘 성능 결과는 78.1%의 분할 성공률을 보였고 은행전표의 필기숫자 항목에 적용 결과는 53.5%였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Connected Digit Recognition Using Finite State Network and Demi-Syllable Pair Models (FSN과 반음절쌍 모델을 이용한 연결 숫자음 인식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서은경;최태웅;김순협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212-21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숫자음과 단위음으로 구성된 한국어 연결 단위숫자음 인식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한국어 연결 단위숫자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의 단위숫자음은 숫자음 한음절과 단위음 한음절로 구성된 두음절의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발성으로 나타난다. 숫자음에서의 인식 대상 어휘는 숫자음이라는 제한된 규칙을 갖는 가변 숫자음이다. 따라서 개수, 금액, 단위량, 거래량 등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변 숫자음을 인식하기 위하여 FSN(Finite State Network)을 구성하였다. 음향 모델은 한국어 숫자음과 같이 발성구간이 짧은 어휘의 연결음 (connected word)의 인식에서 효과적인 반음절쌍(demi-syllable pair) 모델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화자 독립적인 가변 숫자음 60문장의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서 문장 인식률 91.0%로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High Precision Numeric Character Recognition using Modified Henon Attractor (수정된 에농 어트랙터를 이용한 고정도 숫자 인식)

  • 손영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14-11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미세한 차이를 식별할 수 있는 Chaos 이론을 숫자 패턴 인식 분야에 응용한다. 먼저, 숫자 영상의 특징 정보들을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한 후, 제안된 수정된 에농 시스템으로부터 숫자 어트랙터를 재구성하고, 어트랙터의 특성 분석을 위해 프랙탈 차원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 차원값을 이용하여 숫자를 인식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함으로써, 특수한 용도로 숫자를 전문적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고정도 숫자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Recognition of Korean Connected Digits in a Natural Spoken Dialog (대화체 음성에서의 한국어 연결 숫자음 인식)

  • 김중철;고종철;이정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377-379
    • /
    • 2000
  • 대화체 음성의 인식을 위해서는 음성 파형에 관한 음향학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인식하려는 언어자체에 대한 언어학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숫자음의 언어학적인 요소를 고려하고, 포만트 주파수를 숫자음 검출과 숫자음 인식에 적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시스템의 입력은 특정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대화체 문장이며, 끝점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고립단어로 분류한 후, 숫자음만을 검출해 내고, 검출된 숫자음을 인식하기 위해 포만트 주파수를 이용한다. 한국어 연결 숫자음 인식은 한국어 숫자음이 단음절로 구성된다는 점과 발음상의 조음효과 등으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숫자음과 발성에 필요한 음소들을 추출하고, 숫자들을 모음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인식의 범위를 좁히고, 포만트 주파수 정보와 음소 HMM 모델에 의한 두 단계에 걸친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연결 숫자음 인식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킨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