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환적

Search Result 5,807,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Case study for effective water cycle system design (효율적 물순환시스템 구축을 위한 선진 설계사례 조사)

  • Kim, Young-Jin;Park, Dong-Jin;Kim, Ji-Hun;Yu, Dong-Bae;Koo, Bo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20-320
    • /
    • 2012
  • 수문학적 의미의 일반적인 물순환은 증발, 응결, 강수 등 태양에너지와 중력에 의해 전지구적으로 반복되는 물의 재생산과정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토목분야에서 언급되기 시작한 물순환시스템은 수문학적인 물수지(water balance)에 저류, 공급, 처리, 재이용 등 인공적인 요소를 감안하여 대상지역의 적절한 수요, 공급을 유지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생활에서 물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지역의 수문학적 특성과 문화, 경제적 여건을 고려한 효율적인 물순환시스템의 구축은 지역발전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물산업 선진국인 영국과 미국의 지역 물순환시스템 설계사례를 조사하고 초기단계인 국내사례와 비교하여 향후 설계지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선진사례 조사는 2009년 이후 미국과 영국에서 수행된 세 건의 물순환 현황조사(water cycle study)와 미국에서 개발된 설계최적화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국내사례로는 파주운정지구와 광교신도시 개발 시 수행된 물순환시스템 구축사례를 조사하였다. 해외 선진국 사례조사 결과, 물순환시스템 구축은 공통적으로 물순환망 현황조사, 물순환 계획수립, 지역현황 조사, 적용가능 기술조사, 설계 등 5단계를 거쳐 수행되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단계는 지역의 물수지와 가용 물 수요 및 공급 시스템을 조사하는 물순환망 현황조사로, 지역의 needs를 정확히 파악하고 양적, 질적 공급목표를 적절하게 선정하여 가장 효율적인 물순환망 계획을 수립하는 바탕이 되었다. 지역현황은 지역 법규 및 투자계획, 사회변화 예측 등 사회적 요소를 고려하는 단계로, 물순환 설계 선진사의 설계 최적화 프로그램의 경우 이러한 지역현황과 사회적 변화 예측의 반영에서 차별성을 갖고 있었다. 적용가능 기술조사의 경우 친환경, 저에너지 기술이 부각되던 추세에서 최근에는 지속가능성이 주요 고려사항 이었다. 국내사업 사례의 경우 규모가 작아 직접적인 비교가 불가하였으나, 5단계의 복잡한 최적화단계가 아닌 물순환망 분석결과와 이해당사자(stakeholders)의 needs를 바탕으로 치수안정성, 친수환경 보장 등의 목표를 수립하였다. 국내에서도 향 후 유역규모(watershed scale)의 대형 물순환기반 복합개발사업이나 대규모 해외사업 참여 시 필요한 기술력 축적의 차원에서 단계별 check list를 포함한 한차원 높은 물순환 설계지침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 PDF

Assessment of the Water Circulation Plan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West Nakdong River (서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물순환 방안 분석)

  • Lee, Sanguk;Hur, Young Teck;Kim, Youngsung;Kang, B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59-459
    • /
    • 2018
  • 서낙동강은 당초 낙동강 본류였으나 1934년 김해평야 일원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하여 건설된 대저수문과 녹산수문의 완공 이후 현재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서낙동강은 대저수문을 통한 유입과 녹산수문, 녹산배수펌프장을 통한 방류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운영은 외해 조위조건에 따라 간헐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수체의 정체로 인한 오염도가 높은 실정이다. 또한, 서낙동강 유역은 에코델타시티 등 다양한 개발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수질관리를 위한 여건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개발에 따른 다양한 수질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이를 위한 물순환 개선과 유역에서의 오염부하 저감 등 다양한 수질개선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서낙동강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던 연구결과와 현재 시행중인 물순환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고, 이를 정량화하기 위한 2차원 수리 수질모형(CE-QUAL-W2)을 구축 활용하여 현행 물순환 방안의 운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당초 환경영향평가시 제시되었던 대저수문과 맥도수문을 통한 유입과 맥도배수펌프장을 통한 유출로 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의 수질을 개선하고자 했던 물순환 계획은 여러 가지 여건으로 인해 시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는 매주 강서구청에서 맥도배수펌프장을 이용하여 평강천과 맥도강의 수위를 저하시킨 이후 서낙동강의 하천수를 유입시키는 형태로 물순환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현행 물순환 방안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 구간에 대하여 2차원 수리 수질모형(CE-QUAL-W2)을 이용하여 모의한 결과 현재의 물순환 방법으로는 물순환 유량이 증가하더라도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낙동강에 낙동강 하천수가 대저수문을 통하여 유입된 이후 장기간 체류함에 따라 유역에서의 오염물질 유입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평강천과 맥도강에 유입되는 경우 수질개선이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현재 서낙동강 대비 상대적으로 수질이 양호한 낙동강 본류의 하천수를 신규 수문 등의 시설물을 통하여 유입시키는 조건에 대한 분석 결과 현행 물순환 대비 효과가 크며 당초 예상했던 환경영향평가시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보다 상세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fficient Graph Cycle Detection Technique based on Pregel (프리겔 기반의 효율적인 그래프 순환 검출 기법)

  • Kim, Taeyeon;Kim, Hyunwook;Park, Kisung;Lee, You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52-154
    • /
    • 2013
  • 페타 바이트 이상의 규모의 빅 데이터 분석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XML 등과 같은 구조적인 정보를 갖는 대용량의 그래프들을 분석하는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의 그래프를 분석하기 위한 연산중의 하나로 순환 그래프가 사용되고 있다. 대용량의 그래프 환경에서 순환을 검출하는 연산은 단일 컴퓨팅 시스템에서 처리가 불가능하거나 많은 시간 비용이 발생하여 분산처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처리에 효율적인 프리겔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순환을 검출하고, 중복 순환을 제거하기 위해 정규 순환 코드를 제안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이 대용량 그래프에서 효율적으로 순환을 찾을 수 있음을 보인다.

Analysis of water circulation in agricultural watershed based on SWMM model (SWMM 모델 기반 농업유역 물순환 특성 분석)

  • Kim, Ha-Young;Nam, Won-Ho;Mun, Young-Sik;Kim, Jonggun;Shin,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95-195
    • /
    • 2021
  • 최근 기후변화, 과도한 지하수 이용 등으로 유역 환경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하천의 건천화, 지표유출량 증가, 증발산량 감소 등 물순환 구조가 왜곡되고 있다. 물순환 과정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모의 요소와 해석 기법도 다르다. 따라서 지속가능하고 건전화된 물순환을 위해 해당 유역의 물순환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유역은 논, 용·배수로, 농업용 저수지가 존재하며, 종합적인 농촌용수 물순환 해석을 위해 농촌용수 요소별 해석 기술 및 모듈 개발, 모델링 기법 등을 이용하여 농촌수자원의 체계적·과학적 해석 및 관리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흥업저수지를 대상으로 농촌용수의 물순환 과정을 정립하였으며, 저수지 시점부·말단부, 농업용 저수지, 저수지 유역으로 구분하여 물순환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순환 모의 요소로 저수지 수위, 유역 유출량, 수로부 공급량 및 배수량, 회귀수량 등으로 선정하였으며, 수로 네트워크 기반의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농촌용수 물순환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물순환 해석 기법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 모의 요소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SWMM 모형과 모니터링을 비교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농촌지역 특성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촌수자원의 안정적인 공급과 국가 청정 수자원 확보를 위한 통합 물관리 정책을 실현하는데 기초 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Single Buffer types of ATM Switches Applied for Circulated Priority Algorithm (단일형 버퍼형태의 순환적 순위 알고리즘이 적용된 ATM 스위치)

  • Park Byoung-Soo;Cho Tae-kyurl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11a
    • /
    • pp.214-217
    • /
    • 2004
  • 본 논문은 제안된 스위치가 하드웨어로 구현된 ATM 셀의 출력포트에 따라 ATM 셀을 정렬하는 프로시져를 수행하도록 순환적 순위 알고리즘이 적용된 단일형태의 버퍼 구조로 물리적인 단일 큐의 시퀀서 갖고 논리적으로 다중 큐의 형태로 구성된 ATM 스위치를 제안한다. 제안된 구조는 물리적으로 단일 버퍼를 갖지만 논리적으로는 순환적으로 순위를 결정하여 출력포트에서의 상충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설계된 다중 큐의 기능을 하고 있다. 향후 이러한 형태의 구조는 다양한 구조의 라우팅을 위한 스위치로 응용되고, 시스템 구성의 확장성에 있어서도 큰 장점을 지니고 있어, 전송 효율적인 면에서도 훌륭한 구조로 평가된다.

  • PDF

Investigation on Failure Behavior of Varying Ratios of Recycled Aggregate (순환골재 치환률에 따른 압축강도 비교분석)

  • Jang, Hoon;Chung, Wonseok;An, Zu-O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0-160
    • /
    • 2011
  • 현대의 건설기술은 자원절약과 환경보전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 자원순환과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설기술 개발은 차세대 연구분야로써, 연구가 시급한 분야가 되었다. 최근에는 골재 수급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자원순환을 위한 방안으로서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된 순환골재를 콘크리트용 천연골재의 대체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속가능형 건설기술을 국내 독자 기술로 확립하고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순환시스템을 확고하게 구축하여 순환자원에 의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순환골재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여 강도 및 강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실험방법으로 순환굵은골재의 치환 비율을 0%에서 100%까지 변화시킨 공시체를 제작하고 각 공시체의 정적 극한강도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하중은 공시체가 파괴가 발생 할 때까지 변위제어 방식으로 재하 하였으며 이 때 공시체의 파괴거동은 설치된 계측센서들을 이용하여 계측 및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순환굵은골재 치환률이 25% 미만일 경우 일반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95% 이상의 구조성능을 갖지만, 순환굵은골재 치환률이 100%인 경우, 일반콘크리트 압축강도의 85% 수준의 구조성능을 나타냈다. 강성은 FRP 부재의 순환골재 치환률에 따라 최대 14%의 강성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순환골재 치환률이 높을수록 순환골재 표면의 폐모르타르와 이물질의 영향으로 재료간의 부착강도가 감소되어 강도와 강성이 저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Integrating Concept Mapping and the Learning Cycle to Teach Genetics and Reproduction to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들의 생물학습에서 개념도와 순환학습을 통합한 수업의 효과)

  • Chung, Young-Lan;Lee, Eun-P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3 no.6
    • /
    • pp.617-626
    • /
    • 2003
  • Although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mapping and the learning cycle, in Korea none have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mapping and the learning cycle combined.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mapping, the learning cycle, and a combination of concept mapping/learning cycle(CL) in high school biology class.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the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was measu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cept mapping, the learning cycle, and CL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 in science achievement(p< .05). However, the three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among different learnings in high and average-ability students. But, concept mapping was the most effective in low-ability students. For the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y, CL and learning cycle were more effective than concept mapping and traditional learn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among different learnings in high-ability students. CL and learning cycle were more effective than concept mapping and traditional learning in average and low-ability students. For the students' science related attitudes, concept mapping, the learning cycle, and CL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learn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se three group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Recycled Sand (순환잔골재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Jung-Ho;Sung, Jong-Hyun;Lee, Seung-Yeop;Kwon, Gu-Hyuk;Lee, Sea-Hyun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5 no.4
    • /
    • pp.359-365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concret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fine aggregates, which suits the KS F 2573 concrete recycled aggregate standard. As physical properties, slump, air content, changes in the elapse of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studi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on of recycled fine aggregate recycling.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recycled fine aggregate concrete, the increase in the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aggregates led to the increase in slump and air content. Also, when the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fine aggregates was 30%,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 constructability. When the replacement ratio was 30%, recycled fine aggregate concrete had a similar tendency to natural aggregate concrete at a compressive strength of 24MPa. When the replacement ratio was 30%, at a target strength of 24MPa, recycled fine aggregate concrete had the same physical characteristics as natural aggregate concrete. This means that a replacement ratio of 30% is appropriate for replacement of recycled fine aggregates. In future, there will be a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recycled fine aggregates for activating the use of recycled fine aggregates and further research will have to evaluate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fine aggregate concrete using improved recycled fine aggregates.

Circuits Detection Algorithms Using Strongly Connected Components in Web Contents (웹 컨텐츠에서 강결합요소를 이용한 순환 탐색 알고리즘)

  • Lee, Woo-Key;Lee, Ja-Mes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641-651
    • /
    • 2006
  • 거대한 웹 컨텐츠 안에는 수많은 링크들로 인한 순환들이 존재하게 된다. 그 순환들은 강하게 뭉쳐있는 실타래 처럼, 강하게 결합한 순환들의 덩어리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웹 컨텐츠는 흔히 방향그래프로 표현되는데, 즉 웹 컨텐츠에서 나타나는 수많은 링크둘을 방향그래프에서 강결합요소를 이용하면 모든 순환을 효율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결합요소를 이용하여 거대한 그래프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모든 순환을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the healthy urban water cycle (건전한 도시물순환의 정의에 대한 연구)

  • Kim, Hyeonju;Khatatbeh, Arwa;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6-476
    • /
    • 2021
  •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율 증가는 자연 물순환을 왜곡시켜 표면 유출량 증가, 침투량 감소, 증발량 감소 등을 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도시화로 인한 인구밀도 집중은 배출오염물질의 평균 농도와 물 사용량을 증가시켜 인공 물순환의 왜곡을 초래한다. 왜곡된 물순환의 회복을 위해 건전한 도시 물순환의 정의를 정립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물순환과 관련된 문헌조사와 평가 분석 방법을 검토하여, 건전한 도시 물순환을 지속가능성, 공평성, 안전성, 효율성 측면에서 시간, 공간, 이해관계자들이 균형을 이루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과거와 현재 상태, 그리고 미래 기후변화시나리오 적용 시 어떤 변화가 있으며, 이에 따른 물순환 관리체계가 확보될 수 있는 모습, 공간적 측면에서 물의 수평적·수직적 이동이 치우침이 없는 모습, 수요자 입장에서 가뭄이나 홍수로 인한 재산·인명 피해가 최소화된 모습, 공급자 입장에서 수량·수질 관리체계가 확보된 모습을 각각 지속가능성, 공평성, 안전성, 효율성으로 정의 내렸다. 도시 물순환의 적절한 상태를 제안하기 위해서 도시 물순환의 지표로 증발산율, 지표수유출률, 지하수유출률, 침투율로 선정하였다. 앞서 언급한 네 가지 측면(지속가능성, 안전성, 공평성, 효율성)에서의 모습과 네 개의 지표 상태를 비교하여 균형 잡힌 도시 물순환의 상태를 제안하고자 한다. 정의에 제시된 네 가지 측면에 대한 하위 항목은 WAMIS, KOSTAT 등을 통해 조사하고 국내 주요 도시와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 정책 설립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수문학적 관점에서 건전한 도시화의 방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