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위변화지수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udy of Reconstruction Priorities of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저수지 재개발 우선순위결정 고찰)

  • Kim, Hae-Do;Lee, Kwang-Ya;Kim, Su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13-619
    • /
    • 2009
  • 과거의 용수개발은 단위시설 또는 단위사업별 중심의 양적 확대개발 위주로 추진하여 수리시설간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용수공급체계가 미흡하였다. 수리시설의 양적 확대개발 위주의 추진결과 '03년도 총 수리시설수인 68,018개소 중 관개면적 50ha이상의 주 수원공은 1,888개소로서 전체수리시설의 2.8%를 차지하여 비합리적인 공급불균형 현상이 발생하여 체계적인 급수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의 공급체계는 논 용수중심에서 식생활 변화로 인한 밭작물 수요증가로 용수이용 패턴이 변하고 있다. 더욱이 농촌지역의 생활환경 개선이 요구됨에 따라 생활용수, 공업용수, 환경용수 등 농촌지역에 과거와는 다른 형태의 용수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농촌지역의 수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환경파괴 및 적지부족 등의 이유로 신규 수자원개발이 불가능한 사회여건이 지속되어 있어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어 균형적인 농촌발전과 건전한 농촌지역조성을 위해서는 새로운 대안이 제시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농업용저수지 재개발에 대하여 사업의 우선순위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 문헌을 고찰하면 개발우선순위는 과학적 논리보다는 정치적, 사회적 논리가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의사결정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정책결정자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논리에 따라 사업개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개발 의사결정에 필요한 지형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지수화 하는 방법을 고찰하였고, 우선순위를 산정에 필요한 수치지도, 저수지 관련 자료의 작성과 지형정보(GIS)를 구축하였다. 우선순위 대상저수지의 선정은 기존문헌과 수계 및 용량 등을 고찰하여 79개로 우선 선별하였다.

  • PDF

Rank transformation analysis for 4 $\times$ 4 balanced incomplete block design (4 $\times$ 4 균형불완전블럭모형의 순위변환분석)

  • Choi, Young-Hu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1 no.2
    • /
    • pp.231-240
    • /
    • 2010
  • If only fixed effects exist in a 4 $\times$ 4 balanced incomplete block design, powers of FR statistic for testing a main effect show the highest level with a few replications. Under the exponential and double exponential distributions, FR statistic shows relatively high powers with big differences as compared with the F statistic. Further in a traditional balanced incomplete block design, powers of FR statistic having a fixed main effect and a random block effect show superior preference for all situations without regard to the effect size of a main effect, the parameter size and the type of population distributions of a block effect. Powers of FR statistic increase in a high speed as replications increase. Overall power preference of FR statistic for testing a main effect is caused by unique characteristic of a balanced incomplete block design having one main and block effect with missing observations, which sensitively responds to small increase of main effect and sample size.

Measuring Impact of Scholarly Digital Archives : Analyses on Citation Indicators of PMC Journals (학술 디지털 아카이브의 영향력 측정에 관한 연구 : PMC 학술지의 인용지수 분석을 중심으로)

  • Shin, Eun-Ja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6 no.3
    • /
    • pp.51-70
    • /
    • 2005
  • It is meaningful to develop the scholarly digital archives in a respect that it could preserve the research papers using digital media. The scholarly digital archives provide scientists with the information source with which scientists could actively accomplish research. This study measured based on the citation analysis to what extent PMC, which is life science scholarly digital archives, has an effect on the scholarly communication in the same subject fiel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citation indicators, impact factor, immediacy index, and half-life, have no remarkable difference in between pre and post-digital archives era. Second, there were more cases that the major citation indicators increased rather than ones decreas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scholarly digital archives, as a result of ranking the scholarly journals after classifying according to subjects.

Analysis of Korea Science Citation Database's effect on JCR (한국과학기술인용 DB를 반영한 JCR 분석연구)

  • Lee, Jong-Wook;Yang, Ki-Duk;Kim, Byung-Kyu;You, Beom-Jong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3 no.3
    • /
    • pp.23-41
    • /
    • 2012
  • Citation analysis studies have reported many problems associated with data coverage problems common to popular citation databases such as Web of Science(WoS). In addition, the studies that analyzed citation patterns of Korean publications found that up to 75% of references in Korean publications were to international publications. As a first step in investigating the international coverage of WoS databa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ding citation data from Korea Science Citation Database(KSCD) to the impact factors and journal rankings of the journals listed in Journal Citation Reports. Specifically, the study mined the reference data from top 5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KLIS) journals to recompute the impact factors reported in JCR 2009. Since the resulting journal ranking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JCR 2009 rankings except for minor ranking changes, we analyzed additional citation data from 45 computer science and electrical engineering journals. Although the overall ranking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e of the ranking partitions showed significant change. Such study findings despite its limited data sample suggest the potential impact of non-Western citation databases such as KSCD to bibliometric indicators provided by popular citation databases like WoS.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based on the Integrated Water Resources Index (수자원통합지수를 이용한 수자원 관리)

  • Choi, Si-Jung;Lee, Dong-Ryul;Moon, Jang-Won;Kang, Seong-Kyu;Seo,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65-869
    • /
    • 2010
  • 건전한 물순환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물이용, 치수, 하천환경 등 각 분야별 평가뿐만 아니라 수자원 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통합지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외국의 사례에서도 찾아볼 수 있듯이 현재 국외에서는 지표 및 지수개발을 통해 수자원 관련 현황과 정책의 방향성 및 사업의 성과 등을 평가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국제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이를 지표 및 지수화하여 각국의 순위를 매김으로써 각 나라의 현주소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최근 들어 국제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물 관련 현황에 대한 자료 및 통계치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수자원 관련 자료를 조사, 수집하고 분석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자원 현황과 사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물이용의 취약정도를 평가하는 물이용 취약지수와 홍수 위험도를 평가하는 홍수위험지수 및 하천환경 취약정도를 평가하는 하천환경취약지수로 구성된 물행복지수(Water Happiness Index : WHI)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물행복지수를 통해 각 중권역에 대해 지수 값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자원 현황을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물행복지수는 여러 가지 기초정보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수자원 현황 및 변화를 하나의 수치로 판단할 수 있는 척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연도별 분석을 통해 수자원 현황 및 특성 변화를 파악할 수 있어 수자원 관련 정책 수립 시 각 지역의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연도별 수자원 특성을 반영한 대책을 세우는 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가 수자원 정책과 사업성과에 대한 평가가 가능할 것이며 수자원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한 기반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sessment of future rural water requirements using GCMs by extreme climate indices (극한기후지수를 이용한 다중 GCM 분류에 따른 미래 농어촌용수 필요수량 평가)

  • Kim, Yongwon;Kim, Jinuk;Woo, Soyoung;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2-62
    • /
    • 2020
  •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과 강수량 등 기상조건의 변화로 인하여 기상·자연재해뿐만 아니라 작물의 수확량 감소, 병해충 및 잡초 발생의 증가, 흙과 물의 부족, 재배 적지의 변화와 같은 농업인프라 또한 기후변화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농업수자원 측면에서, 농어촌용수는 자연적으로 내리는 강우를 직접 작물성장에 사용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특히 민감하다. 또한 기온의 변화는 농업용 저수지의 증발량 및 유입량의 변화를 일으키며 이러한 변화는 곧 저수위 및 저수량의 변화를 유발하여 농업·농촌 수자원 관리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따라 예상되는 대규모 자연재해를 대비하고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기상·기후 정보의 활용이 중요하며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 기상재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미래 기상·기후의 변화에 대한 경향성 분석 및 예측을 통한 영향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국 농어촌용수구역 517개 용수구역 중 접경·도시·도서지역을 제외한 511개 용수구역을 대상으로 증발산량 산정이 가능한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 9개를 지역별로 상대적인 기후사상의 크기와 빈도 및 강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STARDEX 극한지수를 적용하여 시나리오의 미래 기상전망을 실시하였다. 기상전망 결과를 이용하여 Kendall-Tau 검정을 통해 시나리오의 순위를 적용하여 각 시나리오의 미래기후변화의 상대적인 정도를 평가하였고, 9개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DIROM(Daily Irrigation Reservoir Operation Model) 모형에 적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높은 불확실성을 고려한 미래 농어촌용수구역의 농어촌용수 필요수량 변화를 지역적으로 분석하고 미래 농어촌용수량의 최대·최소 변화 범위를 제시하였다.

  • PDF

Vulnerability Index for Workplace Spot Inspection (취약지수를 이용한 사업장 근로감독과 지방노동관서 평가)

  • Kim, Sung Tai;Park, Wonju;Jeon, Yongil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4 no.3
    • /
    • pp.29-58
    • /
    • 2011
  • Using careful background research and methodology, we proposed a revised sectoral index of vulnerability that is directly applied to two central labor examples: working hours and minimum wages. The valued calculated by each specific index represent the degree of weakness in corresponding conditions at the level of workplace units. Our proposed vulnerability index promises to be applicable to all business units under labor spot inspection. Also, it can be easily updated as the business environment evolves. The index is useful in selecting certain groups of business units and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each regional government office.

  • PDF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Ambient Levels of Air Polluta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대기오염도의 공간적 분포 변화 분석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 Kwon, Oh Sang;An, Donghwan;Kim, Wonhee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3 no.1
    • /
    • pp.83-117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ambient levels of air pollutants ($SO_2$, $NO_2$, $O_3$, CO, and PM)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the data obtained by the air pollution observation stations. This study estimated a non-parametric kernel density function and two types of inequality indices, Gini and Entropy. Our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inequality in spatial distribution of air pollution, in general, tends to be stable or slightly decreasing for the period of 1990~2001.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ynamics of air pollution levels in terms of spatial ranking.

  • PDF

Analysis of Regional Water Resources Characteristics Through Applying the Water Poverty Index and the Climate Variability Index (물 빈곤지수와 기후 변동성지수의 국내 적용을 통한 지역별 수자원 특성 분석)

  • Hong, Seung-Jin;Choi, Si-Jung;Baeck, Seung-Hyub;Kang, Seong-Kyu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3
    • /
    • pp.427-441
    • /
    • 2011
  • This study developed the Climate Variability Index (CVI) to assess the water resources through adding detail indicators into the existing regional Water Poverty Index (WPI) to consider climate variability and flood damage. This study aims at selecting indicators of WPI focused on water availability and regional climate variability, assessing regional variability of the indices during 1998-2007,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help determining the priority of water sector policies, investment, and applications. The WPI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welfare and the water use. Considered with flood management and climate variability, CVI added by regional characteristics may be used in water resources management as well as flood mitigation for coping with climate change.

An Analysis for Urban Competitiveness of Global Cities & 7 Metropolitan Korean Cities using Oxford Economics Data (우리나라 7대 광역시와 세계 770개 도시 경쟁력 비교분석 - Oxford Economics 자료에 근거한 도시경쟁력 -)

  • Cho, Jae Ho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3 no.4
    • /
    • pp.3-17
    • /
    • 2017
  • This study ranks by developing an urban competitiveness index of major global cities, including seven citie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Global Cities Forecast (2013) provided by Oxford Economics. The City competitiveness index is selected from 18 indicators including scale index, ratio index, growth rate index while Gini coefficient is used for distribution index.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itiveness index and the distribution index, we use the LOGIT panel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the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Gini coefficien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conomic growth rate in 5-year time lag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have compiled global rankings of 770 city competitiveness based upon 19 indicators by combining the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and the distribution index. The trend of rank shows that 7 Metropolitan Korean Cities are expected to decline substantially over the period. In particular, Seoul ranked $59^{th}$ in 2010 and $74^{th}$ in 2015. Its ranking is expected to be decline to $185^{th}$ in 2030. The declining competitiveness of Korean cities is expected to lead to a weakening of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long run. Accordingly, it is imperative to identify problems and seek strategic plans to secure global urban competi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