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확 전

검색결과 687건 처리시간 0.025초

결구 배추의 부위별 Chlorantraniliprole 및 Ethaboxam의 잔류수준과 배추 겉잎의 수세 및 열처리에 의한 잔류량 감소 (Residue Levels of Chlorantraniliprole and Ethaboxam in Different Parts of a Head-type Korean Cabbage and Reduction of Residues in Outer Leaves by Water Washing and Heat-treatment)

  • 김준영;이미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0-335
    • /
    • 2014
  • 본 연구는 chlorantraniliprole과 ethaboxam 성분에 대해 결구 배추 속과 겉잎 중 잔류수준을 비교하고 겉잎의 수세, 데치기 및 가열조리에 의한 농약 잔류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Chlorantraniliprole은 3회 살포(수확 전 30일)한 배추 속과 겉잎(포기의 바깥 4장)에서 각각 <0.01 mg/kg, 0.076 mg/kg으로, 4회 살포(수확 전 10일)한 배추 속과 겉잎에서 각각 <0.01 mg/kg, 1.2 mg/kg 수준으로 잔류하였다. Ethaboxam은 3회 살포(수확 전 30일)한 배추 속과 겉잎에서 각각 <0.05 mg/kg, 0.22 mg/kg으로, 4회 살포(수확 전 10일)한 배추 속과 겉잎에서 각각 <0.05 mg/kg, 1.2 mg/kg 수준으로 잔류하였다. 실험한 두 성분은 배추 속에서는 검출되지 않지만 겉잎에 10-100배 높은 수준으로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배추 속을 재료로 하는 배추김치는 농약에 대한 안전성에 대해 우려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약 잔류실험에서 배추 시료 수확시 겉잎의 제거정도에 대해 주의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우거지에서는 두 성분의 잔류농도가 배추 겉잎의 10% 미만으로, 가열처리까지 하게 되면 5% 미만으로 낮아져 수세 및 데치기와 같은 우거지 제조과정에서 상당량의 농약이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lusulfamide입제에 의한 배추무사마귀병의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Flusulfamide GR on Chinese Cabbage Clubroot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 장현철;이선욱;김점순;윤여순;최근숙;김학기;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43-47
    • /
    • 2005
  • Flisulfamide 입제의 포장에서 방제효과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강릉신의 배추 뿌리혹병에 오염된 고랭지 포장에서 본 시험을 진행하였다. Flisulfamide 입제는 84.6% 의 방제가로 무처리구와 기타 대조약제에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면포자의 감소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포장의 모든 처리구의 각 반복당 임의의 5개 지점에서 약제 처리 전 토양과 약제 처리 후 토양을 채집하여, 토양내의 휴면포자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처리 전 시험 포자으이 휴면포자 밀도는 균일하지 않았으므로 포장 시험시 처리전 휴면포자 밀도의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휴면포자의 감소율을 조사한 결과, flisulfamide 분제와 입제를 처리한 후 휴면포자 밀도는 처리전에 비하여 63.7% 와 64.2% 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방제효과와 휴면포자의 감소율간에는 유효적인 상관관계가 있게 나타났다. 그리고 약제 처리에 의한 수확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약제 처리 45일 후, 각 처리구에서 20주의 배추를 수확하여 지상부 무게를 측정하였다. Flisulfamide 분제, fluazinam 분재와 flisulfamide 입제의 처리구에서 수확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14.3%, 13.8%와 13.0% 의 수확량 증가율을 나타냈고, trifloxystrobin 액상수화제의 처리구에서 수확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3.8%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대조구를 포함한 각 처리평균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lisulfamide 입제가 배추 뿌리혹병의 방제에 있어서 우수한 방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휴면포자의 밀도를 감소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벼 수확량 및 곡물 수분함량의 공간변이 해석 (Spatial Variability Analysis of Rice Yield and Grain Moisture Contents)

  • 정지훈;이호진;이승훈;이창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03-209
    • /
    • 2009
  •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은 미국에서부터 시작되어 점차 발전되어 왔으며, 현 시점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정밀농업 기술 중 하나이다.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과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 수확량 정보의 공간변이성 해석이다. 본 실험은 논 포장에서의 수확량의 공간변이성과 한계수확량 및 수분함량이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며 수행되었다. 2002년 10월 서울대학교 부속 실험농장 소재의 두 기계 이앙 재배 답작 포장(0.2 ha)과, 전북 김제 만경평야 소재의 두 직파재배 포장(0.4 ha)에서 구획별 수확량 정보를 획득한후 각 포장별로 통계분석을 통해서 포장 내의 수량변이를 조사 및 해석하였다. 그리고 각 포장의 수확작업 시 구획별로 샘플을 획득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한 후 수분함량 보정전과 보정후의 수량을 비교 분석하고, 수분함량과 수확량에 대한 비교 분석과, 수분함량 지도를 작성하여 수확량 지도와의 비교를 통해 수분함량과 수확량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정확한 수확량 지도 작성을 위해서는 샘플링 간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나 콤바인의 예취 폭과 포장면적을 고려하여 조절해야 할 것이다. 수확량 정보를 얻을 때 한 구획의 넓이는 포장 면적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겠지만 가로 세로 길이로 봤을 때 5 m이상 15 m이하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변량시비 처리가 실시된 포장의 경우 같은 조건에서 일반시비로 재배된 포장에 비해서 수량은 비슷하나 변이는 적게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각 포장내의 변이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평균 수확량의 절반이상의 편차를 보이고 있으므로 포장내의 지점별 수획량의 변이는 상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Sensor를 이용한 수확량 측정에서는 위에서 나타난 값으로 보았을 때 최소 300 kg/10a 이하에서 최대 1000 kg/10a 이상까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수분함량은 한 포장 내에서의 변이가 큰 편은 아니었고 공간의존성도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포장간의 변이는 수확 전의 기상상황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수분함량 자체의 포장 내 변이가 크지 않으므로 수확량의 공간의존도에 대한 변화는 크지 않았다.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 처리가 '감홍' 사과의 저온저장 중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Sprayable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on Fruit Quality Attributes in Cold Stored 'Gamhong' Apples)

  • 유진기;김대현;이진욱;최동근;한증술;권순일;권헌중;강인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9-283
    • /
    • 2013
  • 본 연구는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Harvista) 처리가 국내 육성품종인 '감홍' 사과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수체살포용 1-MCP 처리 후 수확시에 과실의 산 함량은 1-MCP 수확 10일전 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높았으나 다른 과실품질 요인들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저장동안 '감홍' 사과의 품질변화를 보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1-MCP 처리 과실들의 경도와 산 함량이 무처리 과실보다 높게 유지되었으나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내생 에틸렌 발생량은 수확시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이 낮은 에틸렌발생을 보였으나 무처리 과실들은 저장 180일에는 $58.3{\mu}L{\cdot}L^{-1}$로 급격히 증가한 반면 1-MCP 처리 과실들은 $18.24{\sim}25.03{\mu}L{\cdot}L^{-1}$로 현저히 낮은 발생량을 보였다. 따라서 '감홍' 사과에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 처리가 저장기간동안 과실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대두재배 농가포장 토양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cultivated field soils)

  • 유순호;노희명;이상호;김찬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5-280
    • /
    • 1990
  • 대두의 안전증수를 위하여 합리적인 비배관리 및 토양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일반 농가의 대두재배 포장을 대상으로 대두엽과 토양을 채취 분석하였다. 본조사에서는 경기도 13개, 충청남도 5개 및 충청북도 6개 포장 등 24개 대두재배 포장에서 대두 생육기(파종 50~60일 후, 1988년 7월)에 토양과 대두엽을, 수확 직후 (1988년 10월)와 이듬해 파종 전(1989년 4월)에 토양을 채취하였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pH는 4.8~6.8범위였으며, 수확기의 pH는 평균 5.4로서 생육기의 5.7에 비하여 낮았다. 2. 토양중 교환성과 활성 Al함량은 토양의 pH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토양의 pH가 낮을수록 교환성과 활성 Al함량은 높았으며, pH 5.8이상에서 교환성 Al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3. 수확기의 토양의 전질소와 유효인산 함량은 생육기에 비하여 낮았다. 특히, 유효인산은 생육기와 수확기는 물론 파종기에 채취한 토양에서도 상당히 높았다. 4. 토양중 교환성 Ca과 Mg함량은 수확기와 생육기간에 별 차가 없었으나, 교환성 K함량은 수확기의 경우 생육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5. 대두엽중 질소함량은 토양중 전질소함량과는 상관이 없었으나 대두엽중 K함량과는 상관이 높았다. 대두엽중 Mg함량 역시 대두엽중 Ca함량과 상관이 높았으며, 다른 성분과는 달리 토양중 Mg함량과도 상관이 높았다.

  • PDF

작물건조제 Diquat의 벼 수확전처리 건조효과 및 이용성 (Effect of Application Time and Rate of Diquat on Preharvest Field Drying of Rice)

  • 권용웅;신진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7-156
    • /
    • 1981
  • 벼를 곡립함수율(습양기준) 28~20%인 시기에 예취하고 논에서 곡립함수율 17% 정도까지 일시 건조한 후에 탈곡하고 정조를 곡립함수율 14~15%까지 재건조한 후 유통 또는 저장하는 일반적인 우리나라 관행 수확조제체계에서는 정조 수확손실이 크고 완전미수율이 떨어지기 쉬워 그 개선이 요구되는 바, 국내에서 최근에 작물 수확전 처리 건조제로 등록 사용허가된 diquat의 효용성과 문제점을 밝히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인.일형 품종 수원 26004와 밀양2003, 일본형 품종 진흥이었고, diquat의 처리시기와 처리량이 곡립함수율, 정조천발중, 벼알탈입성, 제책율 및 정백률과 동할미율, 수미율, 심복백미율, 청미율, 색택 및 냄새 등 품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Diquat의 수확전처리 벼 건조효과는 인.일형품종들에서는 뚜렷하나 일본형 품종에서는 무처리구와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2. 인.일형 품종들에 대한 처리적기는 벼의 생리적, 성숙기 2일전~3일후의 기간이었고, 처리기량은 diquation 336g/ha (diquat dibromide 20% 함유한 상품 Region 액제 300cc/10a) 수준이었으며, 처리적기에 적량을 살포할 경우 수확기의 곡입을 함수율은 15~16%로써 무처리구 20~24%에 비하여 5~8%의 건조효과가 있었고 예취와 탈곡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수분조건이었다. 3. Diquat을 처리하면 벼알의 탈립성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10~15% 정도 감소되었다. 4. Diquat을 적기에 철포하면 정조수량, 제해율 및 정백률에 영향하지 않았다. 5. Diquat 처리는 동할미, 수미 및 심복백미율에는 영향하지 않고 청미율은 현저히 감소시켜 품종을 향상시켰다.

  • PDF

수확시기 및 가공전 보관기간이 신선 편이가공 양송이의 갈변에 미치는 영향 (Browning of Minimally Processed Mushrooms (Agaricus bisporus Sing.) as Affected by Picking Season and Postharvest Holding Time)

  • 임정호;최정희;홍석인;정문철;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3-318
    • /
    • 2004
  • 원료 양송이의 수확시기 및 보관 기간에 따른 신선편이 가공적성을 비교키 위하여 계절별로 수확한 양송이를 각각2$^{\circ}C$ 에 보관하면서 주기적으로 일정량씩을 취하여 각각 절단한 후 5$^{\circ}C$ 에 방치하면서 표면의 갈변진행정도와 총 페놀화합물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원료 양송이의 호흡률은 여름철 및 가을철에 수확한 것이 9.55$\~$10.47 mLCO$_{2}$kg$\cdot$hr로 봄철 및 겨울철에 수확한 것에 비해 낮았고, 중량감소율은 봄에 수확한 양송이가 가장 낮았다. 원료상태로 보관한 양송이의 표면색은 여름철 양송이가 가장 빨리 변하였으며 봄, 가을 및 겨울철에 수확한 양송이는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절단 처리시 여름철 수확한 양송이가 다른 계절양송이에 비해 표면색 변화가 가장 심하였으며, 7일 이상 보관한 원형 양송이는 절단처리 전 표면색 열화 및 절단처리 후 빠른 갈변으로 인하여 가공적성이 낮았다.

알배추 생산시스템별 생육과 수확후 포장법에 따른 선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Freshness according to Crop Production System and Post-Harvest Packaging Method on Korean Head Cabbage (Brassica rapa L.))

  • 이정수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7-120
    • /
    • 2024
  • 봄철에 이용되는 알배추의 생산시스템 별 수확 후 포장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최소가공으로 신선편이와 같이 이용되는 알배추를 봄철에 생산에서부터 유통되는 현황과 수확 후 특성을 파악하였다. 알배추는 작형과 재배 방법이 다른 생산시스템의 월동배추인 '청남'과 봄배추인 '고향 쌈배추'를 이용하여 최소가공 후 저온(10oC)으로 저장하면서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봄철 알배추 생산은 김치 제조를 위한 배추 유통과 유사하였다. 알배추 생산시스템에 따른 생육 특성은 측정 항목에 따라 차이를 보여, 월동배추에서 생체중 등의 생육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알배추의 수확 후 가용성 고형물 함량(SSC), 경도, DPPH 등은 생산시스템에 따라 차이를 보여, 월동배추를 이용한 알배추가 봄배추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중 포장 방법에 따라서 효과를 보이기도 하였다. 알배추 생체중량 변화는 포장 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서, PP필름의 유·무공 포장에서 변화 정도가 적었다. 알배추의 저장 동안에 선도는 감소하지만 외관 변화가 수확 전·후 요인의 영향이 뚜렷하지 않았으나, 수확 후 필름 포장을 통해 다소 외관이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봄철에 이용되는 월동배추와 봄배추의 생산시스템과 포장 별 차이에 따른 수확 전·후 요인이 알배추를 최소가공 이용 시 품질과 수확 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농산업분야에서 알배추를 이해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수도작에 있어서 비료의 변량살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ble-Rate Fertilizer Application for Paddy Field)

  • 류찬석;우메다미키오;카호토시카즈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6-91
    • /
    • 2002
  • 이상의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비량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된 실제 비료의 투입예정량은 균일시비구획은 86.74kg, 변량 시비구획은 80.84kg이였고, 실제 변량시비구획에 살포된 비료의 양은 68.76kg로서 투입 예상량의 -14.94%로 나타났다. 2. 실제 투입된 비료의 양이 적은 것은 74번에서 78번사이의 구획에서 호퍼의 출구에 덩어리진 비료에 의해 막혀 비료가 살포되지 않았던 것과 28번 구획에서 호퍼안의 비료가 바닥나서 비료가 살포되지 않았던 것이 주된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3. 벼의 질소보유량으로 계산된 예상 시비량과 실제 모터의 회전수에 의해 계산된 실제 시비량과의 관계는 Y=-0.063+0.912X라는 회기직선으로 나타났고, r값은 0.965로서 변량살포 작업은 74번∼78번, 28번 구획을 제외하고는 잘 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수확량과 CV값은 전 구획에서 7.04t/ha, 7.71%로서 균일시비구획에서는 7.13t/ha, 4.84%, 변량시비구획에서는 6.96t/ha, 9.77%로 나타났다. 변량시비구획에서 수확량이 적고 CV값이 크게 나타난 이유는 x9구획의 생육상태가 좋지 않았기 때문이며 변량시비구획에서 x9구획의 데이터를 제외한 결과는 수확량이 7.16t/ha, CV값은 7.91%로 나타났다. 5. 변량시비를 적용하여 시비량을 15% 줄이더라도 수확량에는 커다란 변동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좀더 정확한 생육진단과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각 구획에서 수확량의 변동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 PDF

원목표고 수확시기별 기능성성분 함량 비교

  • 임승빈;김경제;진성우;고영우;하늘이;정희경;윤경원;최유진;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7-117
    • /
    • 2022
  • 표고(Lentinula edodes (Berk.))는 담자균강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잣버섯속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봄에서 가을에 걸쳐 주로 재배하며, 예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져 왔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의 동남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미국, 캐나다 및 네덜란드 등의 서구 나라에서도 관심이 높으며,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용 버섯으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 표고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의 감소, 항당뇨, 혈압조절, 면역증강, 간 보호 및 비만 억제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밝혀져 있어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수요가 더욱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버섯의 생육은 크게 균사의 생장과 자실체의 생육으로 구분되는데, 표고 균사의 배양 기간이 86~123일 정도 소요되며, 자실체의 생육 기간은 10~20일 정도로, 균사의 배양 기간이 훨씬 긴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의 생육 단계에서 영양, 생식, 생장은 모두 수분으로부터 비롯되며, 생육 조건, 조도, 환기 정도 등에 따라 버섯의 품질은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봄에 수확한 표고는 대가 짧고 단단하며 감칠맛이 풍부하며, 가을에 수확한 표고는 대가 길고 육질이 부드럽고 비교적 강수량이 높아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은 표고의 수확 시기에 따라 기후, 온도, 강수량 등의 차이가 이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봄과 가을에 각각 표고를 수확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성분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가을에 수확한 표고가 봄에 수확한 표고에 비해 수분, β-glucan, ergosterol 그리고 ergothioneine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소재 개발 시에 경제적 경쟁력을 고려했을 때 가을에 수확한 표고 활용이 유리할 것으로 고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