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확후 품질변화

Search Result 30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농업기술-저온 저장한 벼의 도정 후 품질변화를 방지하는 기술

  • 김영근
    • 농업기술회보
    • /
    • v.45 no.5
    • /
    • pp.46-46
    • /
    • 2008
  • 우리 쌀의 품질 향상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수확기의 품질을 연중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저장시설의 확충 등 벼 수확 후 품질관리 대책에 따라 미곡종합처리장(RPC)이나 벼 저온 저장시설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저온 저장한 벼를 쌀로 만들기 위하여 도정할 때 관리를 잘못하제 되면 도정 후 쌀의 색깔이 변화되고 벌레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된다. 특히 여름철에 품질변화 현상이 많이 나타나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저온 저장된 벼를 도정한 후에 쌀의 품질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도정기술을 소개한다.

  • PDF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ony Major Varieties on Harvest Stage (수확 단계에 따른 작약 주요 품종의 수확후 품질 특성 변화)

  • Haejo Yang;Ji Hyun Lee;Sooyeon Lim;Ji-Weon Cho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0-60
    • /
    • 2020
  • 본 연구는 수확 단계에 따른 작약 주요 품종의 수확후 품질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별 적정 수확 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절화 작약은 '두체스', '레드참', '보울오브크림' 품종을 사용하였으며, 세 품종 모두 1, 2, 3, 4단계로 구분 지어 수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수확한 작약은 40cm로 재절단하여 chrysal professional III 용액이 담긴 화병에 꽃아 생체중, 증산량, 수분흡수량, 개화 단계 변화 등을 매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수분균형 및 절화 수명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두체스' 품종의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1단계에 수확한 절화의 만개소요일수는 5.5일, 만개유지일수는 2.9일, 총 절화수명은 8.4일로 다른 수확단계보다 1~3일 더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생체중증가율 및 화경 변화 결과를 통해 1단계 수확 시에도 개화는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드참' 품종의 품질 특성 변화 조사 결과, 1단계에 수확한 절화의 만개소요일수는 7.9일, 만개유지일수는 3.3일, 총 절화수명은 11.2일로 다른 수확단계보다 1~4일 더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울오브크림' 품종의 품질 특성 변화 조사 결과, 1단계 수확한 절화는 30% 수준만 만개하여 조기 수확에 따른 문제점이 확인되었지만, 2단계 수확한 절화는 개화와 만개 모두 100% 진행되었으며, 만개소요일수는 6.4일, 만개유지일수는 4.5일, 총 절화수명은 10.9일로 다른 수확단계보다 1~2일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두체스' 와 '레드참' 품종의 적정 수확단계는 1단계, '보울오브크림' 품종의 적정 수확단계는 2단계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ystematic Postharvest Quality Management Technology to Improve Marketability of Fresh Ginseng for Export (수출용 수삼 수확후 품질관리기술 체계화)

  • Ji Hyun Lee;Ji-Weon Choi;Min Sun Chang;Sooyeon Lim;Haejo Yang;Il Sheob Shi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80-80
    • /
    • 2020
  • 인삼(수삼)은 장기 유통할 때 품질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는 잘못된 저장, 세척 등의 기술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포장 기술만으로는 고품질 수삼 유통을 실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출용 인삼 수확후 품질관리 과정을 정리하여 매뉴얼화 하였다. 인삼의 수확후 생리적 특성과 품질저하 요인은 물론 수확에서 저장, 세척·건조, 상품성 향상 포장 방법, 냉장컨테이너 적재, 저온 수송 및 판매 시 주의사항 등을 기술하였다. 수삼의 유통 중 손실율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물러짐과 곰팡이 발생에 의한 부패, 뇌두부위 출아에 의한 상품가치 하락으로 나타났다. 출아는 수확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가을수확 수삼에서는 저장기간 뇌두부위 출아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봄수확 수삼의 경우 수확시기가 늦으면 뇌두 출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패 병원균은 25℃ 운송 시 Fusarium spp.가 15, 5, 1℃ 운송 시 Botrytis spp.가 주를 이루었다. 포장단위를 5kg 대포장과 500g 소포장으로 하였을 때 소포장의 물러짐 현상이 대포장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는 반면 곰팡이 발생에 의한 부패는 대포장보다 낮게 나타났다. 수삼 저장온도에 따라 유통 중 품질이 크게 달라져 온도 -2℃ 이하에 저장한 수삼은 유통 중 손실률이 높고 특품의 비율이 낮아지는 등 품질이 저하되며 저장기간이 길수록 더욱 심화되는 반면 0℃ 저장 수삼은 저장 3개월 후에도 유통 중 품질의 변화가 적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인삼의 전통적인 수확후 관리 방법이 아니라 수출용 인삼의 품질 향상을 위해 개선된 수확후 관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흐름도로 정리하였다.

  • PDF

Treatment Technology for Harvested Tomatoes Using Light Irradiation (광 조사에 의한 토마토의 수확 후 처리기술)

  • 이귀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4 no.6
    • /
    • pp.547-552
    • /
    • 1999
  • 원예 생산물은 수확한 후에도 호흡 등의 생명현상을 지속한다. 즉, 원예 생산물의 수확 후 생명현상의 유지를 위한 주된 생리 및 생화학적 변화는 호흡의 증가, 에틸렌 합성 및 작용, 세포벽 붕괴에 의한 조직의 연화, 색소의 파괴 및 합성, 당과 유기산의 함량 변화, 방향물질의 생산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수확된 원예 생산물은 영양분의 공급이 중단되어 자체내의 저장 양분을 기질로 소모함으로써 품질의 변화를 가져온다. 또한, 원예 생산물은 수확 시기에 에틸렌이 많이 발생하여 숙성과 노화가 촉진된다.(중략)

  • PDF

Changes in Quality Parameters of Tomatoes Harvested at Different Mature Stages during Storage (수확시의 숙도에 따른 저온저장 중 토마토의 품질인자의 변화)

  • Choi, Jeong Hee;Jeong, Moon Cheol;Kim, Dongman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20 no.2
    • /
    • pp.151-15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ure stages on quality of Rafito tomatoe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during storage at low temperature. Tomatoes grown in greenhouse were harvested at three different mature stages (turning, pink, and red), packaged with a 30-${\mu}m$-thick polyethylene film, and then stored at 5 and $10^{\circ}C$, respectively. The changes in firmness, soluble solids content (SSC), titratable acidity (TA), colour, lycopene content, decay, and chilling injury were measured on a weekly basis. After three weeks of storage, chilling injury and decay were found to have individually occurred at 5 and $10^{\circ}C$, respectively. As there was little change in quality at $5^{\circ}C$, it was concluded that red tomatoes could maintain their good quality for two weeks. The normal postharvest ripening was inhibited in the turning and pink tomatoes during storage at $5^{\circ}C$. The turning and pink tomatoes showed improved quality after two-week storage at $10^{\circ}C$. In particular, the turning fruits showed the highest firmnes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Furthermore, the red colour, SSC/TA, and lycopene content of the turning fruits reached the same levels as with the red fruits after two-week storage at $10^{\circ}C$.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 tomatoes should be stored at $5^{\circ}C$ to inhibit decay, and that the optimum temperature for early-harvested tomato (turning and pink) is $10^{\circ}C$ for the ripening process after harvest.

Effect of Mechanical Stress on Postharvest Quality of Baby Leaf Vegetables (재배조건에 따른 어린잎 채소 '다채'의 수확 후 품질변화)

  • Lee, Hye-Eun;Lee, Jung-Soo;Choi, Ji-Weon;Pae, Do-Ham;Do, Kyung-Ran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6 no.5
    • /
    • pp.699-704
    • /
    • 2009
  • Commercially produced 'baby leaves' of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Chinese cabbage)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Baby leaf vegetables were sown on 128 cell plug trays and harvested 30 days after sowing. For mechanical stress experiments, seedlings were thinned to three per cell, selected for uniformity, and watered at the base. Trays were treated with mechanical stress by stroking back and forth 50 times, using a sheet of A4 paper folded to double thickness. Plants were treated between 12:00 and 14:00 daily for 15-20 days. Harvested baby leaf vegetables were packed in MAP salad bags made of P-plus film, $50{\mu}m$ polypropylene (PP) film,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oxes. Fresh weight was well-maintained under P-plus and PP film on storage at $8^{\circ}C$. However, loss of fresh weight occurred quickly in PET boxes, and vegetable quality deteriorated rapidly. Stressed leaves were smaller but thicker, with an increased dry weight ratio. We thus suggest that P-plus or PP film is most appropriate packing for marketing of baby leaf vegetables, which should be stored at $8^{\circ}C$. Our data on baby leaf vegetables also make a significant new contribution in that we demonstrate a positive effect of stress touching on baby leaf processability.

Effect of Pre-wilting Time on the Change of Moisture Content and Its Silage Quality at Different Harvest Stages of Whole Crop Oat (수확시기별 예건시간에 따른 귀리의 수분함량과 사일리지 품질변화)

  • Song, Tae-Hwa;Han, Ouk-Kyu;Yun, Seong-Kun;Park, Tae-Il;Kim, Kyeong-Hoon;Kim, Kee-J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30 no.2
    • /
    • pp.135-142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um pre-wilting time for the high-quality silage production of whole crop oat. Plants were harvested for three time at intervals of 10 days after heading (DAH) and silage production was conducted after the pre-wilting treatment of 0, 4, 8 and 32 hours,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o attain a proper moisture content for profitable silage production, which was an optimal content for making silage, by pre-wilting oat for 4 hours after harvest at either 20 days after heading or harvesting 30 DAH(days after heading). As the feed value of silage, the processing of proper moisture contents showed that crude protein contents were high and the entire feed value showed higher than others. High content of lactic acid and the low content of acetic and butyric acid showed on 60~65% the moisture conditions of silage. There was desired that whole crop oat was pre-wilting on 4 hours and harvested at about 20~30 DAH and after that, even if harvesting at once, it was judged that it could produce good quality si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