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확한계기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stablishment of The Optimal Harvest Limit Time for Wild Vegetable Seed Production (산채류 채종을 위한 적정 생채 수확 한계기 설정)

  • Song Hee Ahn;Jung-Seob Moon;Gue-Saeng Yeom;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42-42
    • /
    • 2021
  • 산채류 종자는 주로 농가의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고 있다. 농가에서는 종자만을 생산하기 위해서 산채를 재배하지 않으며, 대체로 산채를 수확한 후 채종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자생산을 위해서 생채나 나물을 언제까지 수확해야 하는지에 대한 한계기 설정이 불분명하다. 따라서 전북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는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5년생, 곤달비는 3년생 묘목을 이용하여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생채수확 한계기를 설정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 재배포장에서 생채 수확 한계기를 각각 2020년 4월, 5월, 6월까지로 두어 한계기별 생채 수량, 상품 수량 및 상품율과 개화 시기, 개화율 및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개미취의 생채 상품율은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며, 개화 시기는 무처리와 4월까지 수확은 동일하였으나, 5월, 6월까지는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개화율은 대부분 10% 미만이었으며, 5월과 6월까지 생채를 수확한 경우는 추대 및 개화가 거의 되지 않았다. 섬쑥부쟁이는 생채를 6월까지 수확하면 4월까지 수확한 경우보다 약 2배 이상의 생채를 얻을 수 있으나 상품율은 확연히 떨어졌다. 개화 시작은 무처리와 4월까지 수확이 타 처리에 비해 빨랐으나 개화종은 시기에 상관없이 비슷하였다. 또 4월까지 생채를 수확한 경우 무처리보다 개화율, 결실률이 더 높았다. 5월 이후 수확은 생육 부진으로 이어져 개화 및 결실률이 매우 떨어졌다. 곤달비는 개미취와 섬쑥부쟁이에 비해 생채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상품 수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며, 처리 간 추대 시기도 차이는 없었다. 개화율은 5월 수확 이후 낮아졌으며, 결실률은 6월 이후에 급격히 떨어졌다. 따라서 채종을 위해서는 차광재배 시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생채 수확시기를 4월 하순, 곤달비는 5월 하순까지로 한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ies on Combine Harvesting Methods of Barley in Double Cropping Paddy I. Determination of Optimum Harvesting Date Based on Grain Yield and Quality (답리작 맥류 기계수확방법 확립에 관한 연구 제1보 안전 조기수확 한계기 구명에 관하여)

  • 박문수;이강세;신용화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7 no.2
    • /
    • pp.123-129
    • /
    • 1982
  •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ing date with good grain yield and quality, six different harvesting dates were tested from 25 to 50 days heading with five days intervals, using two varieties of Baekdong, naked barley and Olmil, wheat. The dates when grain yield, 1,000 grain weight and grain/whole spike weight ratio were reached to the highest were 35 and 40 days after heading for Baekdong and Olmil, respectively. Various grain qualities such as unhulled grain, plumpness, protein content and whiteness of grain were also very good at that times. One day earlier harvesting before the optimum dates resulted in yield decreases by 3.9% for Baekdong and 4.4% for Olmil. And it might be delayed for each 5 days with Combine harvesting.

  • PDF

Setting the Harvest Period by the Types of Planting of Wild Vegetables (산채류 재배유형별 수확기간 설정)

  • Yeom, Gue-Saeng;Moon, Jung-Seob;Yang, Jin-Ho;Kim, Dong-Won;An, Min 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2-52
    • /
    • 2019
  • 산채는 사람에 의하여 개량 육성되어 논밭에서 재배하고 있는 농작물과 달리 자연 그대로 산야에서 자생하는 식물 중 식용으로 가능한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 산야에는 480종의 식물이 식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하나 현재 전국에서 재배하고 있는 작목은 36종으로 추정되며, 앞으로도 80여 종이 개배 가능한 작물로 추정된다. 산채류의 이용형태별 생산가능시기는 3~5월의 생채 생산과 6~7월의 건채 생산으로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신선 생채의 소비한계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유형별 생채 수량검정을 통해 수확시기 연장 및 재배품목을 다양화 시킬 필요 있다. 이에 본 시험은 산채류 재배유형별 수확기간을 구명하고자 표고 500 m의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5월 말 갯기름나물 등 15 종을 노지와 하우스에 정식하여 각 작물의 생육특성, 수확한계기 등을 조사하였다. 1년차 지상부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참취, 개미취, 섬쑥부쟁이, 질경이, 갯기름나물, 두메부추, 돌단풍, 참당귀의 경우 초장, 엽장 등은 노지보다 하우스에서 높은 편이었고 생존율은 비슷하거나 하우스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우산나물, 단풍취의 생존율은 하우스에서 더 높았으나 생육 초기 엽소현상으로 인해 1년차 생육은 노지, 하우스에서 둘 다 저조하였고 곤달비, 어수리, 곰취, 눈개승마의 경우 노지에서는 7월 중순이후 지상부가 전부 고사하였으나 하우스에서는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여 11월 상순까지 후기 생육을 하였다. 2년차 산채류 출현기 조사한 결과 하우스 재배에서 산마늘이 2월 중순으로 가장 빨랐고 갯기름나물, 곤달비 등 10종이 2월 하순에 출현하였으며 참당귀 3월 상순, 단풍취 및 우산나물 3월 중순, 돌단풍이 가장 늦은 3월 하순에 출연하였다. 생체수확 시기는 갯기름나물, 눈개승마, 산마늘, 두메부추, 섬쑥부쟁이는 3월 중순부터 가능했고 곤달비 등 12개종은 3월 하순, 우산나물은 4월 상순, 돌단풍은 4월 중순으로 가장 늦게 생체수확이 가능했다. 노지 재배의 경우 산마늘과 눈개승마가 3월 중순으로 가장 빨랐고 갯기름나물 등 10종이 3월 하순에 출현하였으며 돌단풍, 참당귀, 단풍취가 4월 상순으로 가장 늦은 출연을 보였다. 생체수확 시기는 눈개승마와 산마늘이 4월 상순으로 가장 빨랐으며 갯기름나물 등 10종이 4월 중순부터 가능했고 돌단풍, 참당귀, 단풍취가 4월 하순으로 가장 늦었다. 수확한계기 조사 결과 눈개승마, 산마늘, 우산나물은 하우스 및 노지재배에서 20일정도로 가장 짧았으며 그 외 작물들은 계속적으로 수확이 가능하였으나 6월 상순 이후에는 품질이 나빠져 생체상품으로서 가치가 없었다.

  • PDF

Functional Package Wild Vegetables Combination and Production Model Productivity Test (기능성 꾸러미 산채류 조합 선발 및 생산모델 생산성 검정)

  • Gue-Saeng Yeom;Jung-Seob Moon;Song-Hee Ahn;Se-Hyun Ki;Dong 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71-71
    • /
    • 2020
  • 산채는 사람에 의하여 개량 육성되어 논밭에서 재배하고 있는 농작물과 달리 자연 그대로 산야에서 자생하는 식물 중 식용으로 가능한 것을 말한다. 산채류의 이용형태별 생산가능시기는 3~5월의 생채 생산과 6~7월의 건채 생산으로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신선 생채의 소비한계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유형별 생채 수량검정을 통해 수확시기 연장 및 재배품목을 다양화 시킬 필요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재배가능한 산채류를 수집하고 기능성 분류를 통한 꾸러미 산채 조합을 구성하였고 조합된 산채류 들에 대한 생산성 검정을 위해 해발 500m의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5월 말 갯기름나물 등 15 종을 정식하여 각 작물의 생육특성, 수확한계기 등을 조사하였다. 기능성 분류 결과 항당뇨, 항고지혈증, 항비만, 항혈전, 항염증 총 5가지 조합을 구성하였다. 산채류별 광합성특성 조사결과 돌단풍, 개미취, 섬쑥부쟁이, 질경이, 갯기름나물, 참취의 적정광량은 600~800 μmole/m2/s이였고 눈개승마, 어수리, 참당귀는 400~500 μmole/m2/s, 곤달비, 곰취, 단풍취는 200~300 μmole/m2/s이였다. 기능성 꾸러미 산채류 지상부 생육특성 결과 갯기름나물, 질경이, 참취, 곤달비 섬쑥부쟁이 등이 생육이 우수하였다. 수량성은 섬쑥부쟁이 1,694.6kg/10a로 가장 높았으며, 갯기름나물 1,673.4kg/10a, 참취 1,521.3kg/10a, 질경이 1,398.3kg/10a, 곤달비 1,300.6kg/10a 등이 높았다. 반면 돌단풍 111.8kg/10a, 단풍취 69.5kg/10a, 우산나물 25.4kg/10a로 아주 낮은 수량성을 보였다. 산채류 출현기는 산마늘이 2월 7일로 가장 빨랐으며 대부분 산채류들이 2월 11일에서 2월 25일에 출현하였고 단풍취, 우산나물이 3월 6일로 늦은 출현기를 보였다. 기능성 꾸러미 생채 수확가능 시기는 3월 상순부터 6월 하순까지 가능하였고 수확기간은 섬쑥부쟁이 117일, 두메부추 109일, 어수리 102일, 참당귀 102일로 길었고 돌단풍, 산마늘, 눈개승마, 우산나물은 생채 수확가능 시기가 짧았다. 건나물 수확기간은 돌단풍, 눈개승마는 3월부터 6월까지 가능하였고, 대부분의 산채류들이 5월부터 10월까지고 산마늘과 우산나물은 건나물을 생산할 수 없었다. 산채류 기능성 꾸러미별 생채 조합 가능 시기는 항당뇨는 3월 중하순, 항고지혈증은 3월 중순, 항비만은 3월 하순, 항혈전 3월 하순, 항염증은 3월 중하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Temperature Data-Based Assessment of the Marginal Heading Dates and the Growth Duration of Rice in the Regions of North Korea (북한 지역의 기온 자료를 활용한 벼 출수 한계기 및 재배 기간 분석)

  • Yang, Woonho;Kang, Shingu;Kim, Sukjin;Choi, Jong-Seo;Park, Jeong-Hwa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0 no.4
    • /
    • pp.284-295
    • /
    • 2018
  • The safe and late marginal heading dates (SMHD, LMHD), cropping probability, and growth duration of rice were assessed using temperature data in the 27 regions of North Korea. The medians of SMHD and LMHD ranged Jul. 16 and Jul. 27 in Hyesan to Aug. 18 and Aug. 28 in Haeju, respectively, except Changjin, Pungsan, and Samjiyon that did not show any of the SMHD and LMHD. The medians of the days from early marginal transplanting date (EMTD) to heading date ranged 51 days in Hyesan to 109 days in Pyongyang for SMHD and those were delayed by 9~15 days for LMHD, compared to SMHD. Nineteen regions (Kaesong, Haeju, Yongyon, Singye, Sariwon, Nampo, Pyongyang, Anju, Kusong, Sinuiju, Changjon, Wonsan, Hamhung, Pyonggang, Yangdok, Huichon, Supung, Sinpo, Kanggye) and additional four regions (Kimchaek, Chongjin, Sonbong, Chunggang) had the rice cropping probability higher than 80% when analyzed based on the SMHD and LMHD, respectively. The representative SMHD ranged Jul. 24 for Pyonggang to Aug. 12 for Haeju. Compared to the days from EMTD to SMHD, those from EMTD to LMHD were delayed by 9~17 days. When applied SMHD, thirteen regions (Yangdok, Kanggye, Huichon, Supung, Yongyon, Kusong, Anju, Sinuiju, Singye, Pyongyang, Kaesong, Nampo, Sariwon) had the appropriate range of cumulative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CT) for grain yield and quality. Sinpo, Hamhung, Pyonggang, Wonsan, Changjon, and Haeju had the CT higher than $1,300^{\circ}C$. It is supposed that rice cropping could be extended to the regions where LMHD-applied cropping probability was higher than 80%. Delaying the heading date than SMHD could be also considered in the regions where the days to SMHD is small but CT is large.

Characteristics and Possible Early Harvesting Time of Early Maturing Soybean Cultivars in Southern Korea (남부지방에서 조생종 콩 품종의 특성과 조기수확 한계기)

  • Kim, Dong-Kwan;Son, Dong-Mo;Chon, Sang-Uk;Lee, Kyung-Dong;Kim, Kyong-Ho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3 no.2
    • /
    • pp.125-130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the growth, seed quality, and yield of major early-maturing soybean cultivars by comparing them in order to utilize the research results in the selection of early-maturing soybean cultivars in multi-cropping farms in the Southern area. This field trial was conducted at Naju region (latitude $35^{\circ}04'N$, longitude $126^{\circ}54'E$), Jeonnam, with planting on June 15. The maturing date for Keunol-kong and Hwaseong-put-kong was found to be around September 12, which was earlier than other cultivars. Thus, there were advantages to introducing a cropping system as well as having good seed quality and high yield. On the other hand, the maturing date for Saeol-kong and Sinrok-kong was found to be around September 20, which was a little bit late; however, the seed quality of the cultivars was good and they had a high yield. Therefore, if we want to sow the following crops of soybeans around mid-September, Keunol-kong and Hwaseong-put-kong are advantageous, while for the seeding around late September, Saeol-kong and Sinrok-kong would be good. This study was also performed to identify the limitation time for early harvesting by reviewing seed quality and yield of major early-maturing soybean cultivars according to early harvesting. When harvesting Keunol-kong on September 6, which was six days earlier than the optimal harvesting time (September 12),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ed weight, yield, or seed quality than those of the harvested at the optimum maturing time. As for Saeol-kong, when harvesting on September 18, which was six days earlier than the optimal harvesting time (September 24),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ed weight, yield, or seed quality than those of the harvested at the optimum maturing time. Therefore, the stable limitation time for early harvesting of Keunol-kong and Saeol-kong was concluded to be six days earlier than the optimal harvesting time.

Dissipation Pattern of a Fungicide Mandipropamid in Korean Cabbage at Different Harvest Time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시설재배 엇갈이배추 중 살균제 Mandipropamid의 수확시기별 잔류 특성)

  • Choung, Myoung-Gun;Ahn, Kyung-Geun;Kim, Gi-Ppeum;Hwang, Young-Sun;Kwon, Chan-Hyeok;Kang, In-Kyu;Lee, Young Deuk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4
    • /
    • pp.644-654
    • /
    • 2016
  • Supervised residue trials for mandipropamid in Korean cabbage(Brassica campestris L.) were conducted to establish its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a criterion to ensure the safety of the terminal pesticide residue during cabbage production. Tissues of Korean cabbage were collected at 0, 1, 3, 5, 7, and 10 days after mandipropamid application and subjected to residue analysis. The analytical method was validated by recoveries ranging from 88.2-92.2% at two levels (0.4 and $2.0mg{\cdot}kg^{-1}$), and a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0.04mg{\cdot}kg^{-1}$. Mandipropamid residues in Korean cabbage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The dissipation rate of the residue would be affected by intrinsic degradation of the compound along with dilution resulting from the fast growth of Korean cabbage. The decay pattern was well fitted by simple first-order kinetics. Biological half-lives of mandipropamid in Korean cabbage ranged from 3.9-4.0 days in two field conditions. Calculated by the regression curve of mandipropamid dissipation, the PHRLs of mandipropamid in Korean cabbage were recommended as 11.07-12.19 and $5.76-6.05mg{\cdot}kg^{-1}$ for 10 and 5 days prior to harvest, respectively.

Effects of Ethephon Treatments on Accelerating of Maturity of Sweet Persimmon 'Nishimurawase' Cultivar (서촌조생 단감의 숙기촉진에 관한 에세폰 효과)

  • Kim, In-Ha;Seo, Kwang-Ki;Ahn, Kwang-Hwan;Yoon, Young-Whang;Kim, Sung-Chul;Shon, Gil-Man;Ro, Chi-Wo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8 no.4
    • /
    • pp.339-343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eatments and adequate concentration of ethephon on coloring promotion of peel of sweet persimmon 'Nishimurawase' cultivar. High concentration(30 and 40㎎/l) of ethephon treatments increased the coloring of peel. but they were unfavorable to marketability due to the decrease of firmness, the increase of softening ratio, and the short of marketing critical period of fruits. Low concentration(20㎎/l) of ethephon treatment maintained higher marketability in terms of coloring of peel, firmness, softening ratio, and marketing critical period of fru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