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확율

Search Result 1,00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Grain Losses Uncurred During Different Post-Harvest Rice Systems (벼의 여러 수확후 작업기술체계에서 발생하는 곡립손실)

  • 이종호;정창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3 no.2
    • /
    • pp.69-87
    • /
    • 1978
  • 우리나라 벼 수확작업에 적용되고 있거나 적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관행건탈곡 및 생탈곡수확체계, 바인다 건탈곡 및 생탈곡체계 와 콤바인 수확체계등 5 종의 수확작업체계에 대해 일본품종인 아끼바레 품종과 통일계품종인 수원 251호를 공시하여 수확시의 곡물함수율에 다른 수확손실량을 분석하여 수확시의 곡물함수율에 따른 수확손실량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수확작업체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끼바레 품종의 수확손실은 5 종의 체계 가운데 콤바인체계에서 가장 큰 값을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곡물함수율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관행건탈곡 및 생탈곡, 바인다 건탈곡 및 생탈곡과 콤바인 체계에서의 평균 총손실율은 0.80, 0.59. 0.68, 0.69, 및 1.51% 였으며 통계분석결과 손실량은 곡물함수율, 수확체계 및 이 두 처리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수원 251 호품종의 경우 관행건탈곡, 관행생탈곡 및 콤바인 수확체계에 있어서의 평균손실율은 각각 2.72, 0.91 및 2.64%로서 아끼바레 품종의 경우와는 약간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3. 바인다의 건탈곡 및 생탈곡체계에서의 방출손실은 각각의 총손실율의 27-40% 및 40-64%였다. 이러한 손실율은 각체계에 있어서 충분히 고려해야 할 량이며 , 바인다를 수확작업에 이용하기 위하여서는 볏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줄일 수 있도록 바인다의 방출장치개선이 요망된다. 4. 생탈곡 체계에서는 건탈곡 체계에서보다 손실량이 많았는데 이것은 재래의 탈곡기의 선별장치가 생탈곡에서는 적합치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5. 관행건탈곡 체계에서 발생하는 손실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관행탈곡체계 또는 바인다 탈곡체계로의 기술적 전환이 강력히 요망된다. 수확적기내에 수확작업이 완료된다고 가정할 경우, 관행생탈곡체계에서는 관행건탈곡체계에서 발생하는 손실량을 55-63% 정도 줄일 수있으며 바인다 생탈곡체계에서는 관행 건탈곡체계에서 발생하는 손실량의 10-17%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ablishment of The Optimal Harvest Limit Time for Wild Vegetable Seed Production (산채류 채종을 위한 적정 생채 수확 한계기 설정)

  • Song Hee Ahn;Jung-Seob Moon;Gue-Saeng Yeom;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42-42
    • /
    • 2021
  • 산채류 종자는 주로 농가의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고 있다. 농가에서는 종자만을 생산하기 위해서 산채를 재배하지 않으며, 대체로 산채를 수확한 후 채종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자생산을 위해서 생채나 나물을 언제까지 수확해야 하는지에 대한 한계기 설정이 불분명하다. 따라서 전북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는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5년생, 곤달비는 3년생 묘목을 이용하여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생채수확 한계기를 설정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 재배포장에서 생채 수확 한계기를 각각 2020년 4월, 5월, 6월까지로 두어 한계기별 생채 수량, 상품 수량 및 상품율과 개화 시기, 개화율 및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개미취의 생채 상품율은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며, 개화 시기는 무처리와 4월까지 수확은 동일하였으나, 5월, 6월까지는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개화율은 대부분 10% 미만이었으며, 5월과 6월까지 생채를 수확한 경우는 추대 및 개화가 거의 되지 않았다. 섬쑥부쟁이는 생채를 6월까지 수확하면 4월까지 수확한 경우보다 약 2배 이상의 생채를 얻을 수 있으나 상품율은 확연히 떨어졌다. 개화 시작은 무처리와 4월까지 수확이 타 처리에 비해 빨랐으나 개화종은 시기에 상관없이 비슷하였다. 또 4월까지 생채를 수확한 경우 무처리보다 개화율, 결실률이 더 높았다. 5월 이후 수확은 생육 부진으로 이어져 개화 및 결실률이 매우 떨어졌다. 곤달비는 개미취와 섬쑥부쟁이에 비해 생채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상품 수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며, 처리 간 추대 시기도 차이는 없었다. 개화율은 5월 수확 이후 낮아졌으며, 결실률은 6월 이후에 급격히 떨어졌다. 따라서 채종을 위해서는 차광재배 시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생채 수확시기를 4월 하순, 곤달비는 5월 하순까지로 한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농업기술: 고품질 맥주보리 생산비결

  • Jo, Sang-Gyun
    • 농업기술회보
    • /
    • v.48 no.4
    • /
    • pp.39-40
    • /
    • 2011
  • 맥주보리는 수확시기와 수확 후 관리방법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매우 크다. 특히 맥주보리는 제맥(보리를 발아시켜 건조)이라는 과정을 거쳐 맥주를 만들기 때문에 발아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맥주보리의 수매제도가 색택 위주의 외관을 보고 품질등급을 정한다. 따라서 농가에서는 완숙 이전에 수확하여 고온에 건조시켜 출하하기 때문에 발아율이 저하되는 등 맥주보리 원맥의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맥주보리의 알맞은 수확시기와 수확 후 관리방법을 소개하여 양질의 원액생산에 도움을 드리고자 한다.

  • PDF

Mechanical harvest efficiency to rhizomes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 (지황의 기계수확 효율비교)

  • 남상영;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5 no.1
    • /
    • pp.72-76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n effective mechanical harvester for rhizomes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 Labor-saving efficiency showed 69∼76% by using tillage operations with power tiller, digger attached to power tiller, and digger attached to tractor compared with manual harvest. Loss percentage of rhizomes by mechanical harvesters was 3.1∼ 9.3% higher, and fresh rhizome yield was 2∼6% lower than that by manual harvest, respectively. Although it showed higher loss percentage of rhizomes and lower fresh rhizome yield compared with manual harvest, mechanical harvest using digger attached to power tiller or digger attached to tractor was effective in labor-saving for rhizomes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

Yield and Seed Quality Changes According to Delayed Harvest with Rainfall Treatment in Soybean (Glycine max L.) (강우처리 및 수확 지연에 따른 콩 종실 특성 및 수량성 변화)

  • Lee, Inhye;Seo, Min-Jung;Park, Myoung Ryoul;Kim, Nam-Geol;Yi, Gibum;Lee, Yu-young;Kim, Mihyang;Lee, Byong Won;Yun, Hong-Tae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5 no.4
    • /
    • pp.353-364
    • /
    • 2020
  • Recently in Korea, soybean harvesting has been delayed due to rainfall during the harvesting season, resulting in a reduction in yield and seed qu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yield and seed quality during delayed harvest with rainfall treatment using different harvesting methods, including field harvesting and polyethylene film covering after cutting fully-matured soybean plants (PE covering after cutting), with two major Korean soybean cultivars (Glycine max L), Pungsannamulkong and Daewonkong. The shattering rate of Pungsannamulkong,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Daewonkong, increased up to 41.8% when the harvest was delayed for 40 days without rainfall treatment by harvesting with PE covering after cutting. The weight of 100 seeds tended to decrease slightly as harvesting was delayed. When Daewonkong was harvested using the PE covering after cutting method with rainfall treatment, the yield decreased to the lowest level with a 0.8 kg ha-1 daily reduction rate. Pungsannamulkong showed the lowest yield when harvested using PE covering after cutting without rainfall treatment with a 3.4 kg ha-1 daily reduction rate. The infected seed rate increased according to the harvest delay in both cultiva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rainfall treatment and harvesting method. The germination rate was maintained above 95% even after 40 days of delayed harvest if there was no rainfall treatment. However, with rainfall treatment, the germination rate was significantly lowered as harvesting time was delayed. In the field harvesting with rainfall treatment, the germination rate decreased to 77.2% for Daewonkong and 76.5% for Pungsannamulkong after 40 days of harvest delay. For the 100-seed weight, effects of individual treatments and interactions between treatments were not observed. In contrast, the effect of interactions between treatments on the shattering rate was significant in both cultivars, indicating that the shattering rate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yield changes during delayed harvest.

Effect of Harvesting System on Labor-saving in Sweetpotato Cultivation (고구마 수확작업체계별 생력효과의 차이)

  • Kim, Hag-Sin;Lee, Joon-Seol;Chung, Mi-Nam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6 no.4
    • /
    • pp.400-403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mechanization on lavor-saving in sweetpotato cultivation. The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2005 to 2006 in Mokpo Experiment Sta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mechanical harvesting, different harvesting methods were compared. Mechanical harvesting method was done as follows: cutting of vines by machine, removal of plastic film mulching, and harvesting by two-row and one-row harvesting system. The result showed harvesting labor was decreased by 66.6% in two-row harvesting. The ratio of damaged sweetpotato by mechanical harvesting decreased by 49.4% in two-row and 38.4% in one-row harvesting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The total labor cost was saved by 48.2% - 70.4% using mechanical method. In addition, the total income also increased by ca. 62.9% - 81.2%. Thus, it was concluded that mechanical harvesting is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method than conventional one.

Quality Analysis of Welsh Onion (Allium fistulosum L.) as Influenced by Storage Temperature and Harvesting Period (대파의 수확기간별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 특성)

  • Cha, Hwan-Soo;Youn, Aye-Ree;Kim, Sang-Hee;Jeong, Jin-Woung;Kim, Byeong-Sam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0 no.1
    • /
    • pp.1-7
    • /
    • 2008
  • Quality attributes of welsh onion (Allium fistulosum L.) as affected by harvest timing (November, December 2006 and January 2007) and storage temperature (5, 10 and $20^{\circ}C$)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respiration rate, weight loss, decay rate, color, hardness, sensory quality. A higher respiration rate was found when welsh onions were harvested later and storage temperature was higher. A smaller weight loss was observed in welsh onions that were harvested in November and stored at temperature of $5^{\circ}C$, demonstrating a 9.35% reduction. In other words, there were a minimum difference of 2.15% and a maximum difference of 9.92% between the weight loss in test samples harvested in November and those of test samples harvested in other months. The decay rate was higher in welsh onions harvested in January. The degree of color was more stable in test samples kept at temperature of $5^{\circ}C$ than those kept at higher temperature (10 and $20^{\circ}C$). There wer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changes among test sample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of the year. Thus color chang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emperature. Also, welsh onions were harvested in November and stored at temperature of $5^{\circ}C$ showed a good sensory quality.

Effects of Harvesting Time on Seed Yield,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ye (Secale cereale L.) (호밀 수확시기가 종실의 수량과 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 ;Kwang-He Ka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3 no.2
    • /
    • pp.126-133
    • /
    • 1988
  • To know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seed yield and seed quality a local variety of rye 'Paldang-homil'was harvested at seven different harvest times from 25 to 55 day after heading (DAH) at five-day intervals in 1984 ani 1986. Seed development,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were observed. The l000-grain weight increased as harvest time delayed until 50 DAH in both years. Although grain yield tended to increase with delay of harvest time, the yield differences between succeding harvest time was highest between 40 DAH and 45 DAH. Germination rate of seeds harvested before 30 DAH were lower than those after 35 DAH at 20 C, but at 10 and 30 C before 35 DAH were lower after 40 DAH.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seedlings increased with delay of harvest time up to 45 DAH in pot. Heading stages were similar among the seeds harvested 40-55 DAH. Culm length was not different among the harvest times.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seed production of rye seems to be 45 DAH (38 days after flowering).

  • PDF

Structural Analysis of Digging Part of Gathering Type Potato harvester (수집형 감자 수확기 굴취부 구조해석)

  • Kim, Jong-Mun;Lee, Ye-Seul;Choi, Moon-Chan;Lee, Kyu-Ho;Kim, Yong-Ju;Jeong, Da-Un;Lee, Sang-Hee;Chung, Sun-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91-91
    • /
    • 2017
  • 최근 국민 삶의 질 향상, 건강한 먹거리 인식 및 국내 여건 변화 등으로 벼농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높은 밭작물 생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관련 농업기계 개발이 미흡하여 밭농업 기계화가 절실한 실정이다. 밭작물의 경우 기계화율이 2015년 56.3%이며, 특히 파종, 이식작업이 5%, 수확작업이 13.3% 수준으로 열악한 실정임. 경운정지 기계화율은 99%를 넘으며, 방제 작업도 기계화율이 85~99% 수준으로 다른 작업에 비해 높은 실정으로, 파종, 이식, 수확작업의 기계화는 밭농업 일관기계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감자는 주요 밭작물 중 하나로, 최근 가공용 소비로 수입량이 증가하여 국내에서 자주식 굴취/선별/수집형 수확기(2011, 농촌진흥청)가 개발되었으나, 가격이 높고 표피손상 등 개선이 필요하여 트랙터 부착형 수집형 감자수확기가 개발 중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집형 감자 수확기 시작기 구조해석을 하려고 한다. 우선 시작기의 도면을 CATIA를 활용하여 3D로 작성한 뒤, MIDAS NFX 시뮬레이션 및 구조해석 프로그램으로 구조해석을 진행하였다. 수행한 해석으로는 선형정적해석으로서 외부하중에 대해 구조물의 변형을 검토하는 해석이다. 재질은 SM45C로 선정하였고, 접촉조건과 구속조건을 설정한 뒤 감자수확기 굴취부에 집중하중을 200 ~ 1000 N 까지 200N 간격으로 선형정적해석을 진행하여 Von-Mises 응력, 허용응력, 극한응력, 안전율을 해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