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 학습부진아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중학교 수학 부진 학생들의 부진 요인에 대한 연구

  • Bae, Jin-Dong;Jo, Jeong-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67-173
    • /
    • 2003
  • 본 연구는 수학교사가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 부진 학생의 이해를 위해서 그리고 이들을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의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학 교과에서 학습 부진을 나타내는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부진 요인을 인터뷰와 비디오 관찰을 통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대표적인 부진 요인은 학습 결손으로 인한 기초학력 부진을 들 수 있으며 학습 방식과 개별 학생의 학습 유형간의 차이로 인한 부진이 있으며 학습의욕의 고취를 위한 동기부여의 결손과 개별 학생의 적극적인 노력의 결여가 부진을 초래하게 되었다고 보인다. 이들 수학 부진 학생들을 지도할 때는 학생 개개인의 부진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많은 격려와 칭찬을 통하여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수업이 고려되어야 하며 더 많은 수학 부진 학생들 개개인의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바탕으로 부진아 개개인에 적절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현장에서 적용하였을 때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장기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테크놀로지 활용을 통한 수학학습 부진아의 치유 가능성 탐색

  • Kim, Bu-Yun;Lee, Sun-Ju;Lee, Ji-S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411-42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해 보고, 테크놀로지가 공평성의 원리에 입각하여 구체적 조작물로서 부진아의 수학 학습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부진아의 개별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가, 부진아의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의 제고 및 학습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수학학습 부진아들에게 테크놀로지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수학학습 부진아들의 발생요인을 종합하였으며, 선정된 대상의 사전조사에 의거해, 수학학습 부진의 원인을 학습자 요인의 인지적 요인인 학습방법 미숙과 교과 요인 가운데 수업 요인인 직접적 개별학습의 부재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반에 대한 총 40시간의 수업 실시 후의 연구결과에 의해 테크놀로지가 수학학습 부진아의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 PDF

The Analysis in the Basic Cause of Learning-Stagnation on Mathematic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수학 교과에 대한 기본 학습 부진 요인 분석)

  • Lee Sang-Wun;Bang Seu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0 no.2 s.26
    • /
    • pp.249-270
    • /
    • 2006
  • This research is aimed to analyze the cause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roblems that was showed in a poor way at learning mathematics. So this i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searching for a means of teaching-learning to understand stagnant students. 5 male junior high students in teaming-stagnation were targets of this research, and we used two kinds of questionnaire in the field to find out the causes of learning-stagnation. We searched these students for the causes from a different standpoint of learning habits and self-possessed manners in mathematics.

  • PDF

일반계 고등학생의 수학 교과에 대한 기본 학습 부진 요인 분석

  • Kim, Sa-Hwan;Jo, Jeong-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327-348
    • /
    • 2001
  • 본 연구는 수학 교사가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부진 학생의 이해와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의 탐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두 가지 유형의 질적 자료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심리검사, 일반 학습습관, 수학 학습습관,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 등 4가지 선문지를 사용하여 여고생을 대상으로 부진요인 분석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 따르면 대표적인 부진 요인은 의문 해결을 위한 의지 결핍과 장기 기억방법을 알지 못하고 수학교과목 자체를 싫어하는 경향이 있는 듯 하였다. 스스로 수학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선입감 때문에 해답을 보고 문제를 풀게 되고, 검산을 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이들 수학 학습부진 학생들을 지도할 때는 선수학습을 반드시 확인하는 수업을 고려해야 하며, 수학적 의사 소통 능력 등 보다 수학적인 내용과 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The Design of Diagram Instruction & Learning System for Low Level Student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도형 영역 교수.학습 시스템 설계)

  • Koo, Yun-Mi;Goh, Byung-Oh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325-334
    • /
    • 2007
  • 수학 교육이 해결해야하는 과제 중 하나는 학습 부진아 문제이다. 수학 학습 부진아 발생 원인은 학생의 수준에 맞지 않는 교재의 사용으로 인해 수학에 대한 흥미 부족,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교재의 미비, 부진아 지도를 위한 교사의 시간 부족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형아 놀자'라는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교수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학습 부진아의 수준에 부합된 맞춤식 교육을 목표로 7차 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에 제시된 필수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교재를 재구성하였고, 수학과에 대한 흥미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교수 학습 방법으로 게임을 활용하였으며, 상호작용부분을 강화하여 가정과 연계된 교육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의 학습단계는 여러 가지 모양, 점, 선, 각, 평면도형, 합동과 대칭, 입체도형이라는 5단계로 각 단계의 시작과 끝에 평가를 실시하여 학습부진아의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 PDF

Development of Instruction Materials for Underachieving Students to Correction of Misconception (수학 학습 부진 학생을 위한 오개념 교정 지도 자료 개발 연구)

  • Choe, Seung Hyun;Nam, Geum Cheon;Ryu, Hyunah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3 no.2
    • /
    • pp.117-133
    • /
    • 2013
  • Mathematical misconception is one of the big obstacles of the underachieving students to learn mathematics correct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instruction material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are underachieving in mathematics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misconception and to help them to build the correct concept in the mathematical learning. Before developing the material, we tried to collect the misconception cases occurring in common mathematics lesson. This materials tries to provide key educational contents for mathematics teachers who is responsible for teaching underachieving student and help them to creative interesting ideas for lessons. The materials could be used not only as an teaching materials for underachieving students or students with the misconceptions, but also could be used as training materials for mathematics teachers.

  • PDF

학습 부진아 판별문항의 개발

  • Bang, Seung-Jin;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181-200
    • /
    • 2001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습 부진아를 좀 더 전문적, 종합적으로 진단,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 지도를 통하여 조기에 학습 부진아를 예방하고 일반학생과 같이 원활한 학교생활에 적응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학습 부진아 판별문항 개발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Learning Motivation Induction Effects for Depressed Students in Elementary Figure Domain Mathematics Courses using the Dolittle Education Programming Language (두리틀 EPL을 이용한 수학 도형 영역 학습 부진학생의 학습동기 유발 효과분석)

  • Park, Sang-Seon;Hur, Ky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93-98
    • /
    • 2009
  • 본 논문은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을 수학 교과 수업과 연계 적용하여, 수학 도형 영역에 학습부진 요소를 가지고 있는 기초학습 부진학생과 교과학습 부진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 동기 유발에 있어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두리틀 프로그래밍 교육이 수학과 수업과 연계한 재량 활동 교육 내용으로 적합한 교육 내용임을 검증한다.

  • PDF

수학 학습 부진의 요인과 교육적 치료 방법에 대한 고찰

  • Ryu, Seong-Ri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59-80
    • /
    • 2000
  • 수학 학습 부진아의 지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원인의 진단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 대책이 이루어져야 하는 바, 교사는 수학 학습에서 부진을 야기하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대한 지식을 갖출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수학적 이론의 구조 속에 싸여 있을 때,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잘 이해하는 것처럼, 교사는 수학 학습 부진의 요인에 대한 이론의 구조 속에서 학생들의 행동을 투사함으로써 그들의 행동을 이해하게 되고 진단과 치료가 잘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수학 학습 부진의 요인을 크게 개인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으로 나누고, 개인적 측면에서는 인지적 요인, 심동적 요인, 정서적 요인을, 환경적 측면에서는 사회적 요인, 교육적 요인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이들 요인에 대한 정확한 처방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지만, 최선의 교육적 치료 방법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with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빈도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수학 교과에서 기초학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Cho, Mi Kyu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7 no.4
    • /
    • pp.615-633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Korean studies up to August 2023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and LDA-based topic modeling were conducted on the Korean abstracts of 197 domestic studie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academic achievement', 'impact', 'effect', and 'factors' were all ranked at the top of the TFs and TF-IDFs. Second, as a result of LDA-based topic modeling, five topics were identified: causes of basic academic abilities deficiency, learning status of math underachievers, teacher expertise in teaching math underachievers, supporting programs for math underachievers, and result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s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focusing on the growth of math underachievers, systematizing the programs provided to students who need learning support in mathematics, and developing teacher expertise in teaching math underachie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