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적 상호작용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19초

Flanders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에 기초한 초등수학과 수업 컨설팅 실천 사례 연구 (Case Studies for Consulting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based on Flanders's Interaction Analysis Category System)

  • 김수미;김미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3호
    • /
    • pp.211-227
    • /
    • 2013
  • 이 연구는 수학수업을 운영함에 있어 발문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의 정도를 진단하고, 예비교사들에게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여 그들의 수학수업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예비교사의 수업을 진단하고, 진단내용 및 진단에 기초한 처방을 제안하는 절차는 수업컨설팅 방식을 택하였으며, 차시별 수업 분석을 위해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분석법을 컴퓨터 프로그래밍화한 AF(Advanced Flander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수업 컨설팅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들의 수업은 주로 비지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들의 반응을 적절하게 이끌어 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발언기회를 독점하였으며,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것에 매우 서투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들의 수업은 비지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중심의 수업으로 흘렀으나, 교사의 권위를 내세우지는 않았다. 컨설팅 효과 측면에서는 지시적 발언을 비지시적 발언으로 수정하는 것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교사의 발언 비중을 줄이거나 강의 대신 질문을 사용하는 것,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것 등은 1회의 컨설팅으로는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수학과 반성적 교수 과정 중 교사의 사고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Tw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during Their Reflective Teaching)

  • 이금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3호
    • /
    • pp.385-404
    • /
    • 2011
  • 반성적 교수는 최근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측면에서 다방면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과의 반성적 교수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사고를 사례 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반성적 교수 초기에는 초임교사의 경우 수업 중 오류 발견의 빈도가 적었고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반성의 결과를 적극적으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비해 경력교사는 초임교사보다 수업 중 오류 발견의 빈도가 높았으며 자신감과 확신으로 인해 반성의 빈도가 높지 않았다. 두 교사는 반성적 교수에의 참여가 증대할수록 공통적으로 교과 전문가 조언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으며, 교사 중심의 수업보다는 점차적으로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수업을 전개하였다. 아울러, 초임교사는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빈도가 경력교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었고, 경력교사는 반성의 빈도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추후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간의 상호 협력적 수업 반성 및 수업 개선을 위한 각종 시사점들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그래프에서 교사와 학생의 의미 구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Making the Meaning of a Teacher and a Student in a Graph)

  • 송정화;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3호
    • /
    • pp.375-396
    • /
    • 2007
  • 본 연구는 수학 교사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래프로부터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고 그 과정에서 그래프 해석의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분석하여, 그래프 교수학습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교사와 학생 모두 그래프에서 의미를 구성하는 것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의미를 구성할 때 포개어지는 관계망의 형태로 구성해갔다. 또한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인지적 맥락적 정서적인 요소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해석체를 구성해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교사는 그래프에 질적인 접근방법으로 인지적인 요소에 주로 초점을 두었던 반면에, 학생은 양적인 접근방법으로 인지적인 요소와 함께 맥락적인 요소도 고려하여 자신이 구성한 해석체를 정당화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의미를 구성해갔다. 본 연구는 이런 결과를 기반으로 그래프 교수학습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3가지로 제안하였다.

  • PDF

수학에서 협동 학습에 관한 기초연구

  • 서종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4권
    • /
    • pp.229-250
    • /
    • 2001
  • 협동 학습은 학습자간의 긍정적 상호 작용을 촉진하여 학습의 극대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수업 방법으로, 수학 과목에서 협동 학습은 수학에 대한 성취도, 태도, 문제 해결력 등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수학 과목에서 협동학습에 대한 국${\cdot}$내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중학교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수학성취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여 학습양식에 따라 소집단을 구성한 수학에서의 협동 학습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s Parents)

  • 김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95-113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which could be used to evaluate mathematical interactions of parents with thei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comprised 408 mothers of 4-6-year-old children. Means, standard deviation, $x^2$, Cramer's V,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s, and Cronbach's ${\alpha}$ were calculated. First, 49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research, parent interviews, confirmation of item adequacy and content validity. These items were then edited down to a final list of 24 items representing 4 factors ident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this 24-item. 4-factor scale was shown to have adequate construct validity, norm validity, and reliability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alpha}$. In conclusion, the final mathematical interaction scale for young children's parents was composed of 24 items with 4 factors: "interaction regarding numbers and operations, measurements, and patterns", "interaction regarding data collection and result presentation", "interaction with picture books", and "interaction regarding shapes and figures"

Simpson의 패러독스를 활용한 영재교육에서 창의성 발현 사례 분석 (A Case Study of Creativity Development Using Simpson's Paradox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이정연;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03-219
    • /
    • 2010
  • 본 연구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영재교육을 시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수업 전략을 확인하고, 이를 확률 과제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데 목표를 둔다.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업 전략으로는 인지갈등 유발, 다양한 표현 방법 권장,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세 요소를 선택하였다. 이 전략을 Simpson의 패러독스 과제에 기초한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Simpson의 패러독스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지만,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영재교육에 적합한 형태가 아니었으므로 의도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 수학영재 8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한 후, 창의성의 요소를 중심으로 사고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고 과정의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정교성, 반성적 사고와 생산적 논쟁이 나타났고, 표현들 사이의 번역과 기본 가정의 탐구라는 고등 수학적 사고 과정이 나타났다.

  • PDF

수학수업에서의 담론을 통한 수학적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Developing Mathematics Concepts through Discourses in a Math Classroom)

  • 고상숙;강현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4호
    • /
    • pp.423-443
    • /
    • 2007
  • Based on the framework of Huffered-Ackles, Fuson and Sherin(2004),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3 components: explaining(E), questioning(Q) and justifying(J) of students' mathematical concepts and problem solving in a math classroom. The students used varied presentations to explain and justify their mathematical concepts and ideas. They corrected their mathematical errors or misconceptions through discourses. In addition, they constructed and clarified their concepts and thinking while they were interacted. We were able to recognize there was a special feature in discourses that encouraged the students to construct and develop their mathematical concepts. As they participated in math class and received feedback on their learning, the whole class worked cooperatively in a positive way. Their discourse was improved from the level of the actual development to the level of the potential development and the pattern of interaction moved from ERE(Elicitaion-Response-Elaboration to PD(Proposition Discussion).

  • PDF

수학수업에서 의사소통 분석 -언어상호작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Communication in a Math Class - Based on Verbal Interactions -)

  • 신준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0권1호
    • /
    • pp.15-28
    • /
    • 2007
  • From a social constructivists' perspective, knowledge is not transmitted by language but it is constructed by social interactions with others. That is, it is viewed in social constructivism that learning is a process in which knowledge is constructed by communicative interactions with more capable others. In this vein, a class might be analyzed and characterized in terms of interactional patterns of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in class. For this, a primary math class was selected and observed and it was analyzed by the Flanders category system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ath teaching based on verbal interactions on the learning of math. The class was taught in a teacher-centered and direct way but in the class math knowledge was taught through univocal communications in the form of question-ans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ed to suggest that verbal interactional patterns should take place frequently in math teaching in the sequence of a teacher's questions$\to$students' extensive responses $\to$ positive feedback for the students' responses by the teacher $\to$ the acceptance of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teacher's explanation or students' questions. In other words, math might be taught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verbal discourse patterns proposed in this study.

  • PDF

수학 교과에서 교사특성이 수업태도와 수업만족도를 매개로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teacher characteristics on self-directed learning mediated by students' class attitude and class satisfaction in mathematics)

  • 박혜성;김성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3호
    • /
    • pp.437-45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환경 변수로 수학교사 특성의 영향을 살펴보고, 수학교사 특성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수학 수업태도와 수학 수업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나아가 이러한 구조적관계가 남녀 학생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0의 9차년도 데이터(고등학교 3학년) 2,325명을 대상으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였다(남학생: 1,187명, 여학생: 1,138명). 연구 결과, 수학교사 특성은 수학 수업태도와 수학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요인들은 자기주도학습에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수학교사의 전문성, 피드백, 기대감의 특성은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수학 수업태도와 수업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교사의 전문성, 높은 기대감과 개별적 피드백은 학생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높은 만족도를 형성하게 하여 최종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 분석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에서 경로계수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특성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수학 교과에서 교사가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한 수업태도와 수업만족도가 남녀 학생 모두에게 동일하게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학 교사의 전문성과 피드백, 그리고 높은 기대감을 강조하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의 수업 태도와 수업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수학적 의사소통불안에 따른 소집단의 구성 ${\cdot}$ 협동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 전평국;이진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495-514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실에서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이질 집단과 동질 집단으로 소집단 구성을 달리하였을 때 정의적 영역에서 소집단 협동학습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간에 정의적 영역(수학적 태도, 자아존중감)에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간의 비교에서 어느 집단의 불안 수준이 정의적 영역(수학적 태도, 자아존중감)에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변인은 협동학습에서의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집단 구성 형태이고 종속변인은 정의적 영역(수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인 원인비교 연구 설계(casual-comparative research design)를 세워 원인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집단 구성방법이 수학과 소집단 협동학습의 효과, 특히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효과적인 협동학습을 위해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불안을 측정하여 이질 집단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집단 구성을 했을 때 이질 집단의 불안 하위수준 학생들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학 교실에서의 의사소통 불안은 집단의 상호작용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말할 수 있고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이질 집단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집단 구성방법임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