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보정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geometric correction using GCP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TIN기반 기하보정방법에 관한 연구)

  • Seo, Ji-Hun;Jeong, Soo;Kim, Kyoung-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0 no.3 s.21
    • /
    • pp.115-122
    • /
    • 2002
  • The mainly used technique to rectify satellite images with distortion is to develop a mathema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ixel coordinates on the image and the corresponding points on the ground. By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coordinate systems, a polynomial model is designed and various linear transformations are used. These GCP based geometric correction has performed overall plane to plane mapping. In the overall plane mapping, overall structure of a scene is considered, but local variation is discarded. The highly variant height of region is resampled with distortion in the rectified image.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d the TIN-based rectification on a satellite image. The TIN based rectification is good to correct local distortion, but insufficient to reflect overall structure of one scene. So, this paper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 and the analysis of each rectification model. It also describes the relationship GCP distribution and rectification model. We can choose a geometric correction model a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a satellite image and the acquired GCP distribution.

  • PDF

A Study on the Error Compens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t Process System (지능형 가공시스템의 오차 보정에 관한 연구)

  • 공석민;김영탁;문희근;김관형;이상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1 no.8
    • /
    • pp.736-741
    • /
    • 2001
  • The restoration optimum image from transformation image demands compound change of image change, calender reform, and multiple solution calculation. This study presents that system actively deal with outside interference, vibration, movement, mechanical feature on the operating or before the operating and avoids complicated mathematical numerical expression and revise based on expert knowledge based which applies Fuzzy Logic which is one of Artificial Intelligent technique.

  • PDF

Motion Curve Fitting for Character Animation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위한 모션 데이터 보정)

  • 송경민;이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611-61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실세계에서의 사용자 동작을 가상 공간의 캐릭터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제어 방법에 대해 논한다. 사용자의 캐릭터는 스테레오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얻어지는 5개의 3차원 좌표값을 이용하여 표현된다. 영상에서 구하는 3차원 좌표값은 노이즈를 포함하는 불안정한 데이터이므로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변형할 수 있도록 프레임 내에서 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보정 후 안정된 위치 데이터는 부드럽게 변형할 수 있도록 프레임 내에서 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보정 후 안정된 위치 데이터는 신체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동역학(inverse kinematic)을 이용하여 관절각 데이터로 변형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 나온 결과이기 때문에 때때로 사용자가 운하지 않는 동작을 만들어 내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관절각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만으로 보간 작업을 한다.

  • PDF

FisheyeNet: Fisheye Image Distortion Correction through Deep Learning (FisheyeNet: 딥러닝을 활용한 어안렌즈 왜곡 보정)

  • Lee, Hongjae;Won, Jaeseong;Lee, Daeun;Rhee, Seongbae;Kim, Kyu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1-274
    • /
    • 2021
  • Fisheye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일반 영상보다 넓은 시야각을 갖는 장점으로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fisheye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어안렌즈의 곡률로 인하여 영상의 중앙 부분은 팽창되고 외곽 부분은 축소되는 방사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영상을 활용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방사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기존 영상처리 분야에서는 렌즈의 곡률을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보정하기도 하지만 이는 각각의 렌즈마다 왜곡 파라미터를 추정해야 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GT (Ground Truth) 영상이 필요하다는 제한 사항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렌즈의 종류마다 GT 영상을 필요로 하는 기존 기술의 제한 사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fisheye 영상만을 입력으로 하여 왜곡계수를 계산하는 딥러닝 네트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단일 왜곡계수를 왜곡모델로 활용함으로써 layer 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경량화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 PDF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low-Basic Students in the Grade 3 National Diagnostic Assessment of Basic Competency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의 특징 분석)

  • Ko, Jung-Hwa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8 no.3
    • /
    • pp.283-308
    • /
    • 2008
  • A poor achievement of basic competency leads to obstacles of the same subject and other subjects from a series of accumulative losses and social life. The Grade 3 National Diagnostic Assessment of Basic Competency (NDAHC) dated from 2002, Teaching Plan Responsible to Basic Competency and compensational education materials for students of the below-basic level has marked a line in the chain of policy to realize educational welfare. The goal of NDABC is to collect information of the reason with regard to learning deficiency and individual student's information, and ultimately teach them on the basis of those inform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below-basic students in the basic mathematics with data from NDABC from 2003 to 2007. Students of the below-basic level were affected in achievement by numerical distinction, regrouping, arrangement and descriptive form of item, information-providing way, typical example, familiarity, frequency in use in daily life etc. This study provides a basic important information with regard to teaching below-basic students and suggestions with compensational education materials for them.

  • PDF

Application of SWAT model for simulating future runoff and water quaility under climate change in cheongmicheon watershed (청미천 유역의 미래 유출 및 수질모의를 위한 SWAT 모형의 적용)

  • Kim, Sang Ug;Bae, Hyeong;Bae, Hyeong;Bae, 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47-547
    • /
    • 2016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우리 삶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강수 또는 기온의 비정상성으로 대표되는 기후변화에 따라 수문순환의 변화 역시 자명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요소를 전망하기 위한 최우선 사항은 수문상황을 명확하게 진단하는 것이고 그 다음은 현재기후를 대비 미래의 변화를 전망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수문관측의 역사가 짧고 관측 자료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수문상황의 진단을 위해 수문모형의 모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수문모형은 입력 자료와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주요 매개변수를 선택하여, 매개변수를 변화시켜가며 관측에 가장 가까운 결과를 가져오는 상태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수문모형의 매개변수 보정이라 불리우며, 사용자의 직관에 따른 시행착오법에 따른 수동보정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특정 목적함수를 채택하여 수학적 알고리즘에 의해 매개변수를 보정하는 자동보정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미래 수문변화 전망은 특정 유역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수문자료를 모의하는 것이므로 수동보정보다는 자동보정이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유역의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 수문상황의 변화를 모의함에 있어 강우 유출모형 중 하나인 SWAT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신뢰도 있는 매개변수의 추정을 위하여 SWAT-CUP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객관적으로 최적화하였다.

  • PDF

Estimation of Fundamental Matrix Using Stereo Image Matching (스테레오 영상 매칭을 활용한 기초행렬 추정)

  • Choi, Hyunji;Lee, Deok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322-32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얻은 특징점들을 활용하여 기초행렬(Fundamental matrix)을 추정하는 실험을 한다. 획득한 영상들은 보정이 되어 있으며, 특징점 추출 후 매칭은 RANSAC 등의 기존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기초 행렬을 얻기 위해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정의되는 에피폴라 점, 에피폴라 선, 에피폴라 평면을 정의하고, 이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기하학적 관계식을 활용하여 기초행렬을 수학적으로 추정해 보고, 실험으로 수학적 이론을 검증해 본다.

  • PDF

Improving streamflow predictability in a land surface model (지표수문모형의 하천유출 모의성능 개선)

  • Hyun Il Choi;Yung Kw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5-345
    • /
    • 2023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뭄과 홍수 등의 수재해 관리체계 수립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기후예측모형과 연계하여 수문 및 에너지 순환과정에서 하천유출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예측이 가능한 지표수문모형(Land Surface Model, LSM)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LSM은 연속적이고 장기적인 유출을 모의할 수 있어 수재해에 관한 예측과 정보 제공에 유용하므로, 최근 수재해 예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한 도구로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후모형 CWRF(Climate-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와 연계되어 물-에너지 순환모의가 가능한 최신 LSM 중 하나인 Common Land Model(CoLM)을 우리나라 유역의 장기하천유출모의에 적용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LSM은 지상의 물과 에너지 순환과정이 각 단일 격자의 수직적인 모의과정으로 제한되고 있었지만, 현재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많은 LSM에서 보다 현실적인 물과 에너지 변화를 모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모형의 개선에도 불구하고(또는 그로 인해) 정교한 수학적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개선된 최신 LSM은 오히려 복잡한 매개변수 체계, 매개변수 추정, 입력자료, 초기 및 경계조건 등에서 비롯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모형의 주요 매개변수값의 추정은 모의결과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LSM의 모의에서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이다. 유역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모형 매개변수는 관련자료의 부재 또는 관측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검보정 과정을 통해 결정되어야 하므로, 유역의 수문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모형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의목적에 따라 적절한 검보정 목적함수의 선정도 요구된다. CoLM과 같이 다양한 매개변수가 사용되는 LSM에서는 모의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모의목적에 따른 모형의 예측도 향상을 위해서 모의결과에 민감한 주요 매개변수의 검보정이 과정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 지표수문모형인 CoLM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유역의 장기하천유출을 모의하는 과정에서 CoLM의 주요 매개변수 검보정에 필요한 적절한 목적함수의 적용을 통해 CoLM 장기하천유출 모의결과의 예측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 PDF

Vicarious Radiometric Calibration of RapidEye Satellite Image Using CASI Hyperspectral Data (CASI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RapidEye 위성영상의 대리복사보정)

  • Chang, An Jin;Choi, Jae Wan;Song, Ah Ram;Kim, Ye Ji;Jung, Jin Ha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3
    • /
    • pp.3-10
    • /
    • 2015
  • All kinds of objects on the ground have inherent spectral reflectance curves, which can be used to classify the ground objects and to detect the target. Remotely sensed data have to be transferred to spectral reflectance for accurate analysis. There are formula methods provided by the institution, mathematical model method and ground-data-based method. In this study, RapidEye satellite image was converted to reflectance data using spectral reflectance of a CASI hyperspectral image by using vicarious radiometric calibration.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calibration methods and ground data. The proposed method was closer to the ground data than ATCOR and New Kurucz 2005 method and equal with ELM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