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모형

Search Result 56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타원형 완경사 모형에서의 고차원 무반사 경계조건에 관한 연구

  • ;M. B. Abbott;M. W. Dingemans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72-76
    • /
    • 1992
  • 평면파 수치모형 해석시 가상경계에 평행한 입사각을 갖거나, 다방향의 입사파가 가상경계로 동시에 입사되는 경우에는 무처리 시 수치 반사가 발생되므로 해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대해 가상경계에서 파랑 Energy 투명하게 통과시키는 고차원 무반사 경계조건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들 조건식의 수학적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 phperbolic system에서 normal-mode 분석을 수행하였다. 1차 및 2차의 고차원 무반사 경계조건을 Galerkin 가중잔차법을 이용 유한요소 모형에 적용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특성을 시험하기 위해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Level (초등 수학 영재교육에서 개별화 수업의 가능성 탐색)

  • Kim, Min-Jeong;Kim, Jae-Won;Son, Jeong-Woo;Han, In-Ki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4 no.2
    • /
    • pp.207-218
    • /
    • 2011
  • This research is to explore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which considered individual difference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fferentiated instruction model and mathematical materials for gifted students that consider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 We also investigate effectiveness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rough chang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tudying satisfaction of gif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after research related wit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컴퓨터 대수체계(CAS) Module이 포함된 graphing Calculator를 활용한 교실 수업모형 -연립 일차방정식과 이차함수를 중심으로, Casio fx2.0-

  • Heo, Man-S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505-517
    • /
    • 2000
  • 수학 학습에서 컴퓨터와 계산기의 활용은 시각화의 강화로부터 직관력과 사고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컴퓨터 대수체계(Computer Algebra System)가 탑재된 수학 학습용 컴퓨터 프로그램과 계산기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교수매체로서의 활용은 지식 정보전달 체계와 학습자의 지식 구성방법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였다. 특히 수학학습용 그래픽 계산기(Graphing Calculator)는 휴대형(Hand-held Technology)으로 학습공간의 이동(Mobil Education)이 가능하며, 수학학습 전용기라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Symbolic Graphing Calculator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는 계산기를 가지고, 기호연산 실행 조작을 통해 자신의 사고과정을 표현하고, Symbolic Graphing Calculator는 실행 조작에 즉각적으로 과정과 결과를 제공하며, 다른 표상과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의 규제가 강화된 과정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교사는 지식 정보전달 체계인 대화형 실행매체(IMTs)를 작성하여 학습자의 지식 형성에 안내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CASIO fx 2.0을 활용한 교실 수업모형을 그래프 표상과 연계한 방정식의 풀이과정을 통해 알아본다.

  • PDF

A Study of Variables Related to Item Difficulty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대학수학능력시험 난이도 관련 변인 탐색)

  • 박문환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4 no.1
    • /
    • pp.71-8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ticular variables tha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ifficulty of math test item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he study also aimed to develop a model of measuring the item difficulty. Variables correlated to item difficulty were drawn from the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and the analysis of the content and difficulty of the past test items of CSAT. The first instrument was designed by using the cor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he second instrument was made by deleting the variables which showed relatively low correlation with item difficulty and by refining some variables. Several models were proposed by using the revised instrument. The comparison of the R square and cross validity of each model reveals that integrated regression model was the most stable and accurate among the proposed models. The study also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were choice format, content domain, behavior domain, and the degree of item familiarity in the order of proportion of variance accounted by the predictors. Despite the limited scope of the present research, it can be suggested that its findings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predicting math test item difficulty.

  • PDF

Improvement of a wetting and drying scheme for KU-RLMS model (KU-RLMS 모형의 잠김-드러남 기법 개선)

  • Lee, Nam-Joo;Lee, H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11-711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수심적분된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의 잠김/드러남 기법을 개선하고, 기존의 WAD 기법과 새로 도입한 기법의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WAD 기법은 수학적으로는 다소 불완전하지만 수치적으로는 손쉬운 방법으로써, 각 시간 단계에서 잠긴 격자 또는 드러난 격자를 시험하고, 각 격자의 경계에서 플럭스에 대한 개폐 조건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선된 기법은 WAD 경계에서의 질량보존을 고려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 잠김/드러남 처리 과정의 정확도 비교는 포물형 수조에 대한 해석해와 수치모형의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존에 WAD 기법은 수치해와 해석해의 위상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폭은 조금씩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지만, 개선된 기법을 사용할 경우 위상차와 진폭감소 현상이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Model-theoretic Consequence and Modality (모형론적 귀결과 양상성)

  • Choi, Wonbae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5 no.4
    • /
    • pp.21-36
    • /
    • 2012
  •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the model-theoretic account of logical consequence is originated from Tarski' s 1936 paper. But Etchemendy has denied this. This paper discusses and evaluates the recent controversies over whether the definition of logical consequence presented in Tarski' s paper is based on the fixed-domain conception or the variable-domain conception.

Modeling the Fate and Transport of Arsenic in Wetland Sediments (습지 퇴적물에서 비소의 성상과 이동 모의에 관한 수학적 모형)

  • Park, Seok-Soon;Wang, Soo-Kyu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6 no.4 s.105
    • /
    • pp.434-446
    • /
    • 2003
  • The fate and transport of many trace metals, metalloids, and radionuclides in porous media is closely linked to the biogeochemical reactions that occur as a result of organic carbon being sequentially degraded by different microorganisms using a series of terminal electron acceptor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se biogeochemical reactions is affected by processes that are often unique and/or characteristic to a specific environment. Generic model formula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simulate the fate and transport of arsenic in two hydrologic settings, permanently flooded freshwater sediments, namely non-vegetated wetland sediments and vegetated wetland sediments. The key physical processes that have been considered are sedimentation, effects of roots on biogeochemistry, advective transport, and differences in mixing processes. Steady-state formulations were applied to the sedimentary environments.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s show that these physical processes significantly affect the chemical profiles of different electron acceptors, their reduced species, and arsenate as well as arsenite that will result from the degradation of an organic carbon source in the sediments. Even though specific biological transformations are allowed to proceed only in zones where they are thermodynamically favorable, the results show that mixing as well as abiotic reactions can make the profiles of individual electron acceptors overlap and/or appear to reverse their expected order.

Improving streamflow predictability in a land surface model (지표수문모형의 하천유출 모의성능 개선)

  • Hyun Il Choi;Yung Kw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5-345
    • /
    • 2023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뭄과 홍수 등의 수재해 관리체계 수립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기후예측모형과 연계하여 수문 및 에너지 순환과정에서 하천유출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예측이 가능한 지표수문모형(Land Surface Model, LSM)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LSM은 연속적이고 장기적인 유출을 모의할 수 있어 수재해에 관한 예측과 정보 제공에 유용하므로, 최근 수재해 예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한 도구로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후모형 CWRF(Climate-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와 연계되어 물-에너지 순환모의가 가능한 최신 LSM 중 하나인 Common Land Model(CoLM)을 우리나라 유역의 장기하천유출모의에 적용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LSM은 지상의 물과 에너지 순환과정이 각 단일 격자의 수직적인 모의과정으로 제한되고 있었지만, 현재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많은 LSM에서 보다 현실적인 물과 에너지 변화를 모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모형의 개선에도 불구하고(또는 그로 인해) 정교한 수학적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개선된 최신 LSM은 오히려 복잡한 매개변수 체계, 매개변수 추정, 입력자료, 초기 및 경계조건 등에서 비롯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모형의 주요 매개변수값의 추정은 모의결과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LSM의 모의에서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이다. 유역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모형 매개변수는 관련자료의 부재 또는 관측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검보정 과정을 통해 결정되어야 하므로, 유역의 수문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모형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의목적에 따라 적절한 검보정 목적함수의 선정도 요구된다. CoLM과 같이 다양한 매개변수가 사용되는 LSM에서는 모의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모의목적에 따른 모형의 예측도 향상을 위해서 모의결과에 민감한 주요 매개변수의 검보정이 과정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 지표수문모형인 CoLM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유역의 장기하천유출을 모의하는 과정에서 CoLM의 주요 매개변수 검보정에 필요한 적절한 목적함수의 적용을 통해 CoLM 장기하천유출 모의결과의 예측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Course_ware based on Simulation for statistical Inference Study (통계적 추론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중심 웹 코스웨어의 설계와 구현)

  • Choi, Eun-Seon;Choi, Jin-Se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113-118
    • /
    • 2006
  •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확률과 통계'단원은 실제로 자료의 수집과 요약을 통하여 자료 분석방법을 배우고 사회와 자연현상을 인식하고 추론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추상적인 수학내용을 직접 시도하거나 학생들이 실제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직접 자료를 해석하고 추론해 보는 경험과정은 수학실험과 시뮬레이션이라는 컴퓨터 학습을 통해 가능하고 개념학습의 전 단계에서 보다 구성적이고 탐구적인 활동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과 통계'의 교수-학습과정에서 수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웹 기반 학습모형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에게 수학적 내용과 관련된 구체적 매체를 조작하는 컴퓨터 실험 활동을 통하여 수학에서의 원리발견과 통계적 추론을 경험하고 유도할 수 있는 탐구적 학습 환경을 조성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Informatics Linkage·Convergence Class Materials according to the Theme-Based Design Model (주제기반 설계 모형에 따른 수학-정보 연계·융합 수업 자료 개발 연구)

  • Lee, Dong Gun;Kim, Han 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7 no.3
    • /
    • pp.517-544
    • /
    • 2023
  •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ss and outcomes of developing mathematical-informatics linkage·convergence class materials,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at indicate a lack of such materials in high schools despite the increasing need for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linkage·convergence class material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discussions of six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am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rogram, aiming to create materials that are suitable for linkage·convergence class materials and highly practical for classroom implementation. Following the material development process, a theme-based design model was applied to create the materials. In alignment with prior research and consensus among teacher learning community members, mathematics and informatics teachers developed instruc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tilized together during a 100-minute block lesson. The developed materials utilize societal issue contexts to establish links between the two subjects, enabling students to engage in problem-solving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and coding.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practicality of the developed resources during their field application, CVR verification was conducted involving field teachers. Incorporating the results of the CVR verification, the finalized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presented in the form of a teaching guide. Furthermore, we aimed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trial-and-error experiences and deliberations of the developers throughout the material development process, with the intention of offering valuable information that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conducting related research by field researchers. These research findings hold value as empirical evidence that can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models in fields. The accumulation of such materials is expected to facilitate a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theoretical teaching models and practical classroom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