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개념

Search Result 1,279,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Complementarity in Mathematics Education (수학교육에서 상보성)

  • Kang, Hyun-Young;Lee, Dong-Hwa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7 no.4
    • /
    • pp.437-452
    • /
    • 2007
  • Complementarity, complementary principle and complementary approach have been often used in school mathematics but its meaning has not been obvious. Thus this paper tries to make explicit the meaning by looking around complementary characteristic of mathematical knowledge. First of all, we examines the general meaning of complementarity and Investigate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incommensurability and zeno's paradox. From this, complementary approach to school mathematics is studied. To understand and uncover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oncepts make it possible for student to have an insight.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students can have an image of mathematics as a living system rather than as a mechanical application of rules and fragmentary in formations.

  • PDF

소수의 관계적이해를 위한 스키마식 수업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 Lee, Sang-Deok;Kim, Hwa-Su;Kim, S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165-173
    • /
    • 2003
  • 수학은 추상적인 학문이다. '추상'은 몇 개 또는 무한히 많은 사물의 공통성이나 본질을 추출하여 파악하는 사고작용이다. 그리고 이 추상들이 모여 분류(유사성을 기초로 해서 우리의 경험을 함께 묶는 것)가 되고 그 다음에 이름이 붙여진다. 이것이 바로 개념(concept)이 형성되는 과정이고 수학자가 수학을 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이 개념들은 여러 가지 모양으로 결합하여 스키마(Schema)라고 부르는 개념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스키마(Schema)는 수학적 사고를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초등학교 교과서의 소수의 관한 내용에서 교차연결고리가 부족한 부분을 보충한 스키마식 수업 모델을 제시하여 수학의 연계성과 위계성을 강조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의 구조를 파악하게 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와 필요성을 알게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삼각형판과 사각형판의 무게중심에 관한 연구

  • Han, In-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3 s.23
    • /
    • pp.471-484
    • /
    • 2005
  • 무게중심에 관련된 연구는 수학과 물리, 수학과 공학 분야에서 폭넓은 활용을 가지는 간학문적 접근의 한 예이며, 실생활에서의 경험을 수학적 개념 및 방법에 관련시킬 수 있는 흥미로운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균일한 다각형판의 무게중심 개념을 소개하고, 삼각형판과 볼록사각형판의 무게중심의 위치 및 성질을 조사하고, 이를 확장하여 볼록n각형판에서 무게중심의 위치를 탐구하였다.

  • PDF

A Study about Confidence with Mathematics (수학에 대한 자신감에 관한 연구)

  • Park, Ji Hyun;Kim, Yun Min;Choi, Seong Hyu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4 no.2
    • /
    • pp.145-164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confidence in Mathematics. First,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confidence. In addition we analyzed confidence with Mathema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TIMSS 2003, 2007, 2011 data.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concepts by using preceding studies and TIMSS/PISA questionnaire. Self concept and self-efficacy as compared with confidence is a little more subject oriented belif about personal learning ability.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fidence is lower. And,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re are six factors that effect the Korean students' confidence with mathematics. In particular, the individual study process of evaluation is more effective than classes evaluated.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Visual Communication Utilizing Smartphones on Basic Mathematics Education at the Tertiary Level (대학기초수학 수업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시각적 의사소통이 수학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

  • Hong, Ye-Yoon;Im, Yeon-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0
    • /
    • pp.53-60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visual mathematics education using smartphones and immediate feedback through SN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basic mathematical 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tertiary level. Researchers analyzed the test results of 214 students' mid-term and final examination in 4 classes consisted of 16 weeks' classes with two hours per week. Also their 30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 reveals that classes using smartphones promoted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induced students' motivation and affirmative reaction. This study implies that an appropriate use of technology will support dynamic visualiza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and its interpretation, which enable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deeper understanding.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교수전략 - 기하학을 중심으로 -

  • Kim, Chang-Il;Jeon, Yeong-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453-469
    • /
    • 2005
  • 기하는 수학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기하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와 교수전략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장의 수학교사들에 의한 프로그램개발과 동시에 프로그램과 지도방법을 통합하는 수학교사들의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의 특성들을 고려하고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보다는 토론, 발표, 세미나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구안해 보았다. 프로그램 설계의 내용적 면에서는 기하학의 한 방법인 해석기하학과 현재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Euclid 초등기하의 한계를 넘어 공선(共線), 공점(共點)의 비계량적 개념의 사영기하학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법적인 면에서는 문제제시단계, 문제해결단계, 수학적 개념추출단계, 수학화 단계, 확장단계의 단계별 절차를 두었다. 이와 같은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교수전략의 목적은 수학영재들을 새로운 문제와 지식을 제안하고 생산하는 수학 창조자를 만들고자 하는데 있다.

  • PD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for Mathematic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 Review of Literature (지적장애영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 Kwak, Eunmi Emily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7 no.1
    • /
    • pp.1-1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concepts among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researcher provides a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musical activities as an effective tool for young children to understand and promote their mathematical concepts, and the necessity of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is suggested. Music, as a multi-sensory modality, has an ability to hold and maintain one's attention, and can be used as a memory aid and a powerful and effective motivator and reinforcer for young children. Therefore, musical activities can be used to facilitate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Possible musical activities for promoting mathematical development are suggested, and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various musical activities is discussed.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Concrete Object and Semi-Concrete Object in Elementary Geometry Learning (초등기하 학습에서의 구체물과 반구체물 활용에 대한 연구)

  • Yim, Youngbin;Hong, Jin-Kon
    • School Mathematics
    • /
    • v.18 no.3
    • /
    • pp.441-455
    • /
    • 2016
  • The position as saying that the math learning needs to begin from what diversely presents concrete object or familiar situation is well known as a name dubbed CSA(Concrete-Semiconcrete-Abstract). Compared to this, a recent research by Kaminski, et al. asserts that learning an abstract concept first may be more effective in the aspect of knowledge transfer than learning a mathematical concept with concrete object of having various con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lass, which differently applied a guidance sequence of concrete object, semi-concrete object, and abstract concept in consideration of this conflicting perspective, and to confirm its educational implic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a class with the application of a concept starting from the concrete object showed what made it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but wasn't continued its effect, and didn't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even in achievement. Even a case of showing error was observed rather owing to the excessive concreteness that the concrete object has. This error wasn't found in a class that adopted a concept as semi-concrete object. This suggests that the semi-concrete object, which was thought a non-essential element, can be efficiently used in learning an abstract concept.

0의 탄생과 발전

  • Heo, Yang-Sun;Kim, Won-G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293-298
    • /
    • 2003
  • 0은 인류 문명의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숫자이다. 그러나 0은 일반적인 숫자의 역할을 넘어 철학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철학적인 의미 때문에 그리스인들에게 알려져 있었지만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수의 추상적 개념(抽象的槪念)은 구체적인 물체의 취급에서 얻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산술적인 진리인 2+1=3 과 같은 것은 구체적인 물체를 조작하는 경험에서 얻어질 수 있는 반면, 우리의 경험상 존재하지 않는 0(영)의 개념은 쉽게 발견될 수 있는 성질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러나 모든 수학적 발견 중에서 0 이란 숫자만큼 인간 지성의 일반적 진전에 공헌한 것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초기에는 0이 산술 계산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널리 보급되었으나, 그 의미를 깨닫고 난 후 미적분과 무한의 개념과도 동전의 양면과 같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논문은 수학뿐만 아니라 인류문명에 거대한 진보를 이루게 한 0의 역사를 살펴보고, 이것이 왜 인도에서 나타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