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육평가

Search Result 80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riteria of Evaluating Creative Product in Mathematical Gifted Education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 및 적용)

  • Lee, Chong-Hee;Kim, Ki-Yoen
    • School Mathematics
    • /
    • v.12 no.3
    • /
    • pp.301-322
    • /
    • 2010
  • In this study, researchers developed the criteria evaluat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ducts, which contain such evaluation headings as cognitive abilities(; creativity, analytic thinking, expert skill and knowledge), performing ability of the Mathematically Gifted-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n a case study is carried out to apply the criteria to an actual condition of mathematically gifted education. This case study shows that how teachers can apply those of model and criteria in actual condi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education. Through the criteria above mentione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roductivity can be grasped clearly and evaluated in detail.

  • PDF

수학적 추론 능력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 Jeon, Pyeong-Guk;Kim, Eun-Hui;Kim, Won-G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425-455
    • /
    • 2002
  •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수학적 힘의 구성 요소 중의 하나인 수학적 추론 능력에 대한 교사들의 구체적인 이해를 돕고,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의 추론 능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문헌 연구 및 학생반응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귀납적, 유비적, 연역적 추론능력에 대한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평가기준을 구체적인 문제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문제점을 수정 ${\cdot}$ 보완한 후, 전문가의 타당성 검증과 동일한 학생반응에 대한 채점결과의 일치도를 알아봄으로써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

수학교사 양성기관에서 실시되는 지필고사 문항의 실증적 분석

  • Lee, Gang-Seop;Baek, Chang-M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143-154
    • /
    • 2004
  • 학교에서 실시되는 평가의 주체는 교사이므로, 교사는 '좋은 평가 도구'를 개발 ${\cdot}$ 제작 할 수 있어야 한다. 좋은 평가 도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직접적인 훈련이 필수적인 동시에 교사 교육의 첫 단계부터 좋은 평가 도구로 평가를 받는 간접 경험도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수학교사 양성기관에서 사용되는 지필고사 문항에 대하여 신뢰도, 타당도, 난이도 및 변별도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는 평가 문항을 개발할 때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Assessment Literacy Using PISA Items (PISA 문항을 활용한 예비 수학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 Lee, Minhee;Rim, Haemee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5 no.2
    • /
    • pp.157-175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to develop and improve the assessment literacy of teachers which enables it to develop and utilize the assessment items using a wide range of contexts on the basis of an understanding of math contents and mathematical process specified in the math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results in an effective way.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assessment literacy of preservice math teachers, the author of this study, using PISA items and assessment framework, analyzed the changes through the 1st and 2nd development of assessment items. The results showed the assessment literacy of preservice math teachers and their ability have been improved, implying that there is the necessity to develop a wide range of programs to improve the assessment literacy of preservice math teachers and provide such programs on a regular basis, which will facilitate effective math teaching and learning.

Suggestion of Implementing "Assessment of Mathematics Learning" Class for Educating Prospective Teachers (학생평가 전문성을 갖춘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수학학습평가" 강좌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안)

  • Kim, Sun-Hee
    • School Mathematics
    • /
    • v.8 no.3
    • /
    • pp.301-326
    • /
    • 2006
  •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is an essential ability to mathematics teachers and should be improved qualitatively. This study suggests how college of education should make efforts in educating prospective teachers who will have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First, $\ulcorner$Assessment of Mathematics Learning$\lrcorner$ must be set as a required subject. Second, the contents of the subject should be consisted to improve the competence of the prospective teachers in student assessment. Therefore, the contents based on the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are suggested in this paper. Third,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acticed by using exemplary samples of teacher's assessment on students in addition to lecture.

  • PDF

A Study on Alignment of Assessment with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A Synthesis of Research (평가와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 연구의 종합)

  • Oh Young Youl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3 no.2
    • /
    • pp.107-122
    • /
    • 2003
  • The present study aims at theoretically reviewing studies en the need of alignments among assessment,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This paper discusses about issues and models fer alignment between instruction and curriculum, and then mainly focuses on alignment of assessment with instruction and curriculum at two levels, classroom and large-scale assessment. It was pointed out that both many published standardized tests for large-scale assessment and classroom assessments failed to meet curricular goals and contents, and instructional methods. The findings imply that reform in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not be driven by assessment, but be embedded in instructional practices.

  • PDF

수학과 협동 학습에서 협동적 문제 해결의 평가

  • Kim, Nam-Gyun;Lee, Gi-Se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31-40
    • /
    • 1999
  • 요즈음 수학 수업에서 협동 학습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을 하는 경우가 많이 늘었다. 학생들이 소집단에서 함께 활동하면 더 나은 문제 해결자가 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협동적인 상황에서 문제 해결을 하게 하면서 그 평가는 개인 평가나 전통적인 평가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소집단 협동 학습은 소집단의 구성원이 협동을 할 때 그 효과가 큰 것이며, 소집단 협동 학습에서의 평가는 소집단에 있는 학생들이 수행한 것을 참되게(Authentic) 평가하여야 문제 해결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각 학생들로 하여금 협동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할 수 있다. 만일 협동적인 문제 해결을 하였는데 개인 평가를 실시한다면 학생들은 집단에서 협동할 필요성을 적게 느끼게 되어, 학생들은 협동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1990년대 수학교육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NCTM의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에서도 수학 지도 방법과 평가 방법이 일치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거하여 수학과 소집단 협동 학습의 유형을 알아보고, 협동적 문제 해결의 평가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수학과 수행평가 문항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Yu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115-15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평가 방안으로 소개되는 수행평가의 정의 및 의의, 특징과 수행평가의 여러 가지방법 등을 간략히 살펴보고, 수행평가의 채점방법, 수행평가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문항을 예시한다. 특히, 수행평가의 예시 문항들은 수행평가의 여러 가지 방법에 따라 개발하되, 어떤 한 가지 방법에 의하지 않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평가가 가능한 문항, 학생들의 조작과 생활 속에 관련된 수학을 발견하도록 하는 문항들을 개발 예시하였다.

  • PDF

결측치를 가진 목표지향형 평가모델에서 수학학습능력의 평가에 관한 연구

  • 홍석강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33 no.2
    • /
    • pp.167-175
    • /
    • 1994
  • 결측치를 가진 회귀모형의 모수 추정법을 이용하여 목표지향형 평가 모델에서 기초고사(X)와 신고사(I)(Y), 신고사(II)(Z)등 두 개 이상의 고사지로 이루어진 고사집에서 기초고사에는 결측치가 없고 신고사(I), 신고사(II)등에는 결측치가 있는 경우 모수의 최우추정량 계산법을 논하고 E.M. 알고리즘과 평가치는 희귀방적식화에 의하여 우리나라 중등학교 학생의 수학학습능력과 수학적 사고력의 크기를 변별하며 학생들의 진능력이 반영된 평가모델과 최종 성적을 평가 할 수 있는 계산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