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교육사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9초

조선시대 산서(算書) 연구 - 규장각 소장 산서 연구의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athematics books of Joseon Dynasty)

  • 이상구;이재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19
    • /
    • 2011
  • 수학교육과 수학사 사이의 관계는 HPM(History and Pedagogy of Mathematics)을 통하여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고, 최근에는 한국수학사 내용을 수학교육에 반영하는 도서의 출판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된 다양한 소개가 있었다. 수학사 연구에서 사료 연구가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함에도 우려나라의 산서 사료에 관한 연구는 그간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규장각 소장의 조선 산서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선행 연구에서 있었던 오류를 수정한다.

한국 근대 고등수학 도입과 교과과정 연구 (Korean tertiary mathematics and curriculum in early 20th century)

  • 이상구;함윤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7-254
    • /
    • 2009
  • 초등(elementary), 중등(secondary)교육에 이어지는 대학 및 직업 교육을 총칭하여 고등(tertiary) 교육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근대 고등수학 도입과정과 정규대학 교과과정으로의 정착 과정을 확인한다. 우리의 고등 수학교육은 산학자의 전통수학, 육영공원, 원산학사, 1895년 교육과정에 수학을 필수과목으로 도입한 성균관, (교동)소학교, (교동)한성사범학교, (한성)중학교, 민족 사립학교, 종교학교, 배재학당 및 이화학당의 대학부, 숭실대학, 사범학교, 관 공립전문학교, 사립전문학교, 경성제국대학, 경성대학, 국립서울대, 김일성대를 시작으로 해방과 함께 전국의 주요대학을 통하여 전수, 발전 확산되며 오늘에 이르렀다. 1900년 근대 수학교과서의 발간을 시작으로 1909년까지 한글로 쓰인 근대 수학책이 봇물 터지듯 발간되었다. 그러나 오랜 수학적 연구의 전통과 1880년대에 시작된 고등교육에서의 서구식개혁노력은 1905년 이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의 간섭부터 시작하여 1910년 한일합방을 계기로, 특히 중등교육이상의 수학교육과 수학적 연구의 전통은 천천히 붕괴되었다. 최소한 1910-1945년 사이에는 한반도에 중등교육이나 교양수학의 수준을 넘어서는 진정한 고등 수학교육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한반도가 일제로부터 해방이 되었을 때 한국은 모든 전문 직종에서 심각한 인력난을 겪었다. 특히 수학과가 단 하나도 없어 수학분야 이학사가 10여 명도 못되는 수학분야의 교수인력의 부족은 심각하였다. 단 한명의 교수도 연구경험을 가지지 못한 수학분야의 상황은 한국이 21세기 현대수학의 주류에 진입하는 과정에 큰 걸림돌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면서 신설된 다양한 국 공립 및 사립학교들에서 대학수학이 교수되었고 교육과정이 국제기준으로 정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근대 고등수학이 누구에 의하여 어떻게 도입되었으며, 어떤 교재로 누구에 의하여 지도 되었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정규 대학과정의 교육과정으로 정착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 PDF

러시아의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ussian National Curriculum for Training of Mathematics Teachers at Universities)

  • 한인기;신현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5호
    • /
    • pp.595-606
    • /
    • 2003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ussian national curriculum for training of mathematics teachers at universities published by Russian Ministry of Education. From the document we are able to know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compulsory subjects, and minimum mathematical contents for training mathematics teachers at universities.

  • PDF

한국과 외국의 수학 영재교육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Gifted Education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 한길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4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국제 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최상위 그룹에 속해있는 한국, 중국, 미국의 수학 영재교육의 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이들 국가에서는 수학 영재교육을 위해 어떠한 측면을 강조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또 최근의 국제 수학올림피아드(IMO)와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TIMSS)의 결과를 통해서 앞으로의 우리나라 수학 영재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알아본다.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A Design and Effect of STEAM PBL based 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 이민희;임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159-177
    • /
    • 2013
  • 본 연구는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STEAM 교육의 사례 연구로서 STEAM에 적합한 수업 자료 개발, 교수 학습 방법의 제안, 효과 분석을 통한 STEAM의 가능성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STEAM 교육의 소재는 수학과 과학이 분리되기 이전의 수학사를 기반으로, 과학(S)은 24절기, 태양의 고도, 천체의 운동, 기술(T)은 그래픽 계산기를 이용한 탐구, 공학(E)은 해시계의 설계 원리 탐구 및 제작, 예술(A)은 수학사 문헌 탐구 및 수학의 심미적 가치에 대한 이해, 수학(M)은 삼각함수와 관련된다. 또한 STEAM의 특성과 문헌 연구를 토대로 프로젝트기반학습이 STEAM 교육에 적합할 것으로 보고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설계하여 STEAM PBL이 융합적 지식 형성과 수학적 가치를 포함하는 수학적 태도와 21세기 역량 신장에 효과적인지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수업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팀원 간의 협력, 의사소통과 표현, 비판적 사고를 토대로 문제해결을 하는 모습이 많이 포착되었으며, 수업을 통해 수학적 가치를 포함한 수학적 태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학과 개정교육과정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개편에 관한 고찰 (On the Mathematics Amended Curriculum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 이진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1-12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체제 개편에 맞추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994년도 시행이후 제5차, 6차, 7차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교육과정이 바뀜에 따라 몇 차례 개정을 하여 현행에 이르고 있다. 2007년 2월 발표된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의해 2009년부터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이 이루어지고 2012학년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그 출제 및 응시체제가 개편되어야 한다. 지난 교육과정과 2009학년도부터 시행하게 되는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체제의 변천과정을 조사하고 외국의 대학입시시험의 출제 범위를 우리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현행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