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수실제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Study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교수법적 내용 지식: 미국 중학교 수학 교사 사례 연구)

  • Kim, Goo-Ye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7 no.3
    • /
    • pp.295-30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manifested in his mathematics instruction by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the teacher.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 conducted an interpretive case study by collecting qualitativ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the teacher was characterized by: (a) knowledge of mathematics including connection among topics and various ways of solving problems; (b)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involving students' misconceptions, common errors, difficulties, and confusions; and (c) knowledge of pedagogy consisting of his efforts to motivate his students by providing realistic applications of mathematical topics and his use of materials.

  • PDF

Mathematics Teacher's Development of TPCK (수학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학습 지식(TPCK) 개발)

  • Lee, Kwang-H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0 no.2
    • /
    • pp.247-262
    • /
    • 2007
  • TPCK is the knowledge of intersection in mathematics, technology, and pedagogy. This study investigated a teacher's change of his TPCK. He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hich was designed to develop mathematics teachers' TPCK.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as based on using spreadsheets in teaching mathematics. The researcher suggests a consideration for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a four week summ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nd three actual mathematics classroom teaching. Ten teachers took part in the program. One teacher who changed his TPCK most was selected to investigate what made it change most. Following teaching practic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hanging his TPCK.

  • PDF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활동중심 수학교육의 실천 방안 모색

  • Kim, Chang-B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1-19
    • /
    • 2001
  •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은 그들의 발달특성과 학습의 효율성 측면을 고려할 때, 일상생활 경험과 놀이 활동 등을 이용한 활동중심 교육방법으로 상호 연계성있게 수학을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수학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 면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간에 얼마나 연계되어 있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육과정 간에는 수학교육의 방향 및 목표, 내용 영역, 교수학습 방법, 평가 면에서 대체로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그러나 교과 편제나 명칭, 세부적인 내용 구성에서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과정 상에서의 연계 실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실제 수학 교육 활동측면에서의 실천 방안으로서 활동중심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수학 영역 설치를 통한 개별화 교육의 실천, 가정과의 협력 방안 등을 제시해 보았다.

  • PDF

Review on the Extreme Didactic Phenomena in the Mathematical Class (수학 교실에서 나타나는 극단적 교수 현상에 대한 고찰)

  • Kim, Bu-Yoon;Jung, Gyeong-Me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1 no.3
    • /
    • pp.407-430
    • /
    • 2007
  • The extreme didactic phenomena that occur by ignoring or overemphasizing the process of personalization/contextualization, depersonalization/decontextualiza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is always in our teaching practice and in fact, seems to be a kind of phenomena that suppress teachers psychologically or didactically. The study of the problems on error, misconception or obstacles revealed by students has been done continuously, but that of the extreme didactic phenomena revealed by teachers has not. In this study, I will explain four extreme didactic phenomena and help you understand them by giving various examples from several case studies and analyzing them. And also, I will discuss the way to overcome the extreme didactic phenomena in the mathematical clas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thesis will become a standard of didactic phenomena that are proceeded extremely by having teachers reconsider their own classes and furthemore, will offer the research data for considering better didactic situation.

  • PDF

A Study about the Practices of Teachers Who Changed the Subject to Mathematics Based on Their Belief (과목변경수학교사의 신념에 따른 교수 실제에 관한 연구)

  • Kim, Soo Sun;Choi-Koh, Sang So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3
    • /
    • pp.373-389
    • /
    • 2015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the teachers who changed their teaching subject to Mathematics from other subjects. Teacher, A who had traditional belief and Teacher, B, non-traditional belief were chosen for the study through the questionnaire in Sep. 2014. The result indicated that Teacher, A in traditional belief showed teacher-centered teaching but Teacher, B in nontraditional belief showed inconsistent way of teaching in comparison to the original perspective. The later said she could not teach students as she wanted to teach because of the lack of knowledge of teaching as a math teacher. The difficulties Teacher, A encountered were: to handle too many works beyond teaching and to teach too many contents to cover without having enough time to prepare. Teacher, B didn't know how to teach students math in a constructivism way. They asked to offer them more in-service training program to develop their expertise for teaching mathematics.

MIC 대수 부분에 관한 분석: RME 이론의 관점에서

  • Park, Jeong-Suk;Park, Eun-Ju;Jo, Gyeong-Hui;Kim, Ji-Yeong;Gwon, O-Nam;Jeong, Yeong-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163-164
    • /
    • 2003
  • 최근 수학교육에서는 네덜란드의 수학교육이론인 현실적 수학교육(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이하 RME) 이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RME 이론의 관점에서 학생들은 만들어져 있는 수학을 수용하는 사람이 아니라 스스로 모든 종류의 수학적 도구와 통찰을 개발하는 활동적 참여자로서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수학 학습은 수학화될 수 있는 풍부한 맥락으로부터 시작해야하며, 이러한 수학화를 실제(reality)에 둘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는 교재로 시작해야 한다. 최근 발간된 'Mathematics In Context(이하 MIC)'는 RME 이론을 반영한 중등학교용 교과서로 맥락 문제가 그 중심이 되고 있으므로 RME 이론의 구체화된 실제를 볼 수 있는 예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Freudenthal의 교육철학을 소개하는 문헌 연구를 비롯하여 RME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교수 학습의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중등학교 이상의 수준에서 수행된 RME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RME 이론이 중등학교 이상에서 수행되는 예를 찾기 위해 MIC 대수 교과서 중 'Comparing Quantities(Kindt, Abels, Meyer, & Pligge, 1998)'를 중심으로 Treffers(1991)의 다섯 가지 교수 학습 원리(구성하기와 구체화하기, 여러 가지 수준과 모델, 반성과 특별한 과제, 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 구조화와 연결성)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RME의 수학 학습 이론은 학생들이 맥락과 모델을 사용하면서 다양한 수준의 수학화를 통해서 자신의 수학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MIC 교과서는 맥락 문제와 여러 가지 해결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그러한 수학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재가 될 수 있다.

  • PDF

A Study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Mathematics and Biological Science - Focused on Probability in Calculus and Basic Statistics Curriculum - (수학과 생명과학 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미적분과 통계 기본의 확률의 뜻과 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 Shin, Bo Mi;Ju, Eun Hwa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7 no.4
    • /
    • pp.629-656
    • /
    • 2014
  • This study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probability and genetics in the light of connections between mathematics and biological science. It also analysed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al activities which appeared while the students took part in lessons where the developed materials were contributed in order to teach them.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firstly specified five detai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extracted contents of probability and genetics which had the possibility of being taught in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by examining the text books. After embodying the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five details and the extracted contents, the researchers implemented 10 lessons by using the materials. This study elaborated some implications for a succeeding integrated education of mathematics and biological science in term of anlaysis results of features from the students'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attitudes emerging in the lessons.

  • PDF

수학 교실에서 뇌-기반 학습에 대한 연구

  • Sin, In-Seon;Jang, Yeong-Il;Gwon, Jeom-Ry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77-195
    • /
    • 2001
  • 인간의 교수${\cdot}$학습은 본질적으로 뇌 기능과 많은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뇌-기반 학습에서는 우리의 뇌가 최적으로 학습하는 방식에 기초해 접근을 시도한다. 지난 30년간의 뇌에 대한 연구는 교수${\cdot}$학습에 대해서 이용할 만한 많은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많은 교육연구가들은 뇌 연구를 기초로 뇌가 최적으로 학습하는 뇌-친화적 환경을 도입하였고, Politano & Paquin(2000)은 현행교실에 실제로 이용 가능한 뇌-기반 환경을 창조하기 위한 기초로서 10가지 요소를 제시하면서 뇌-기반 학습에서 학습자는 자신에게 익숙한 학습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통한 학습이 효과적임을 말하였다. 수학교육에서도 이와 같이 뇌-기반 학습을 배경으로 하는, 학습자의 학습감각을 고려한 교수${\cdot}$학습이 의미있다고 할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기반 학습의 의미를 고찰하고, 제 7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에 교실에 대한 학습감각을 조사하였으며, 수학 교실에서 학습자의 학습감각을 고려한 수업활동을 제시하였다.

  • PDF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와 실시간 피드백을 지원하기 위한 표본추출 단원의 교수학습 방안 설계 및 구현

  • Han, Beom-Su;Han, Gyeong-Su;An, Jeong-Y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151-165
    • /
    • 2005
  •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이러한 결과를 실제 수업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 등이 필요하여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교실 수업, 특히 지필 위주의 수업에서는 여전히 따분해하며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통한 효과적인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방안과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교수자와 개별 학생들 사이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극대화시키는 교수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현 사례로 통계적 추정의 표본추출 단원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과 시스템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about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teaching styles (수학적 사고 요소를 이용한 수학 교수 양식 분석틀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 Park, Ji Hyun;Lee, Jeong Hee
    • School Mathematics
    • /
    • v.15 no.2
    • /
    • pp.243-262
    • /
    • 2013
  • This study attempts to create an analytical framework of the trans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knowledge by teachers to students. I focuses on the assertion that the cognitive thinking of a teacher is reflected in his use of mathematical language. Mathematical language is one of the critical elements of communicating mathematical knowledge to students. I examined the cognitive teaching style of different teachers as expressed in their use of mathematical language. An analytical framework of Mathematics Teaching styles was created integrating thinking factors of each visual and analytic style into 5 categories. After that, I regarding the teaching style of mathmatics teachers places its significance not on which teaching style is right or wrong but on identifying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he teaching styles through actual analysis. With the help of this analytical framework, I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videotaped classes and found that the teachers were not biased to one side but in fact there were teachers who demonstrated visual, analytic or mixed teaching style. Therefore, I concludes that math teachers can analyze their teaching styles and improve them through the analytical framework provided in these find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