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과 디자인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Characterization of Isomorphism Problem of Combinatorial objects and the Historical Note (조합대상의 동형사상 문제의 특성화와 역사적 고찰)

  • Park, Hong-Goo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9 no.1
    • /
    • pp.33-42
    • /
    • 2006
  • In this paper, we study the theore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with respect to isomorphism problem of combinatorial objects which is one of major problems in the theory of Combinatorics. And also, we introduce a partial result for isomorphism problem of Cayley objects over a finite field.

  • PDF

Smart Design for Simulation Based Al

  • 조형욱
    • Information Display
    • /
    • v.24 no.6
    • /
    • pp.3-10
    • /
    • 2023
  • 지금까지 시물레이션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스플레이 응용 프로그램이 소개하였다. AI와 시뮬레이션 기술이 어떻게 융합되어 적용되는지, 그리고 디스플레이 연구 및 개발 분야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설명하였다. [11, 12] 앞서 언급한 대로, 최근 하드웨어의 발전 속도는 매우 빠르며, 이러한 발전은 비용 절감과 함께 고성능 하드웨어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쉬워지고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산업의 역사를 통해 40년 이상 누적된 방대한 양의 관련 데이터가 존재한다. 그리고 수학적 물리학의 발전과 함께 거의 모든 주요 방정식에 대한 수치 해석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지금은 디스플레이 분야의 전문가들이 대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한 관련 지식에만 국한되지 않다. 이제는 이렇게 빠르게 발전하는 하드웨어 기술, 물리학과 수학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과학, 그리고 디스플레이 분야 지식을 조화롭게 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융합 기술을 사용하여 디자인 최적화가 이루어져야만 앞으로 시장에서 성공할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Middle Grade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Problem Solving (문제 해결 교수에 대한 중학교 수학 교사들의 신념)

  • Lee, Kwang-H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0 no.3
    • /
    • pp.385-400
    • /
    • 2007
  • This study pilot tested a researcher-designed instrument based on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oblem solving standard and middle 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problem solving. One hundred twenty four teachers' responses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was validated and found to be reliable. The study found that females and males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beliefs about teaching problem solving. Age of the teacher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teaching of problem solving.

  • PDF

An Analysis of Improvement and Compilation Issue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Government Published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개선과 편찬 상의 이슈 분석: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국정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 Lee, Hwa Young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5 no.4
    • /
    • pp.411-431
    • /
    • 2022
  • In this paper,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compilation were sought by analyz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compiling book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government publish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government published was operated with a systematic compilation system so that academia and school field experts across the country could demonstrate their expertise. As improvements in content, the unit and time to strengthen basic computational skills were increased, and the mathematical concept and principle introduction method and algorithm presentation method were improved, and the internal connection between contents was strengthened. The learning period was adjusted, such as moving and arranging contents that are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to the upper semester or the upper grade. In the 1st and 2nd graders, the amount of reading was drastically reduced to suit the students' level of Korean, and sentences and vocabulary were improved, and instructions were briefly revised. As for editing and design improvements, illustrations of each unit's introduction and contextual pictures were presented in detail, and the characters in the textbook were consistently presented across all grades, giving children characters a ro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in the textbook. In the process of compiling, the media, the National Assembly, and civic groups raised opinions that sentences and vocabulary in first-year textbooks are more difficult than students' level of Hangeul education, that reducing textbooks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Accordingly, efforts to improve textbook compilation and the results were viewed.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as above, for future compilation of state-authored textbooks and certified textbooks, a plan to improve textbook compilation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a plan to operate compilation was proposed.

A Study on the Special Characters as UX/UI Icon Design Elements (UX/UI 아이콘 디자인 요소로서 특수 문자 체계 연구)

  • Song, Jae-ye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5
    • /
    • pp.397-40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system of special characters as UX/UI icon design elements, thus laying the groundwork for improvement direction for unclear use regul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UX/UI design and special characters and discovers UX/UI design and special characters' relations and assignments. Besides, the case study summarizes the system of special characters being utilized in the company's UX/UI icon design guidelines to produce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pecial character types being utilized in UX/UI were graphic characters, mathematical symbols, punctuation marks, and parentheses. And the special characters commonly used in analysis cases, iOS, Android, and Windows, are ▶, ♥, ★, ○, ⊙, +, ×, ⋯. So this study organizes the common characters to standardize them. Hopefully, this study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interest in the study of 'special characters' in the UX/UI design field and helps establish a framework for future industrial standards.

Musical presentation of patterns through mathematics (대칭을 이용한 문양의 음악적 표현)

  • Shin, Hyunyong;Go, Youngshin;Na, Junyoung;Sheen, Shill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0 no.2
    • /
    • pp.179-198
    • /
    • 2016
  • Mathematics(group theory, in particular) makes it partially possible to present and create music and patterns. This means that patterns can be presented by music through mathematics. In this work, we first produce musical piece for each type of frieze patterns. Based on the musical pieces, we compose a music presenting the combined pattern of all frieze types. We finally produce a video for hearing design through music. Through a QR-code, anyone can access the product of this work.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ight be examples for integration of mathematics and arts and for utilizing smart circumstances.

On the SMART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Executable Expressions (실행식(Executable expression) 기반 SMART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 Cho, Han Hyuk;Song, Min Ho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4 no.2
    • /
    • pp.269-283
    • /
    • 2014
  • Recently, 3S Mathematics Education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SMART mathematics education, and STEAM mathematics education) is emphasized. Based on recently published report on Storytelling mathematics textbook, we propose executable expression based SMART storytelling mathematics related to the elementary mathematic curriculum on 3D building blocks. We designed letters and expressions to represent three dimensional shape of 3D building blocks, and we compare its characteristics with that of LEGO blocks. We assert that text-based executable expressions not only construct what students want to make but also teachers can read students thinking process and can support educational help based on students needs. We also present linear function, quadratic function, and function variable concepts using executable expressions based on 3D building block as an example of SMART storytelling mathematic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collaborated creativity mentoring project between Siheung City and college of edu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e hope designed executable expressions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 PDF

A Study on Design Education in Primary School -With Emphasis on Analysing the Present Condition of Design Education in Korean Primary School-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국내 디자인 교육의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김혜숙;권은숙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4
    • /
    • pp.191-200
    • /
    • 1999
  • Improving the design ability of idea develop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hould be started from the primary school. Design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should be not education for design but education by design. It helps students can naturally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design and experience the process of activities. Therefore primary educational circle use the term of 'Design-related activities', or 'Design-Based Education'. It can be applied to variable themes of mathematics, science, music, society as well as Art. On the Basis of these literature review, the traditional design education as a part of the art education is analyzed in two aspects of its contents and behaviors. The contents in design education involve aesthetic·symbolic, useful·functional, and scientific·technological area. And, the basic design behaviors are classified with 'know', 'perceive', 'inquire', and so on. This concept becomes the analytic frame of the present condition of design education in Korean primary school. Through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portion of scientific·technological area in contents and 'inquire' related behaviors are relatively very low. Also, the planning and teaching methods for leading children's opportunity of creative expression are found inadequate. This study proposes the potential capability and the integrative contents of design education in primary school.

  • PDF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esign creativity and TTCT's creativity - A basic research on evaluation for developing children's design creativity -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과 TTCT창의성과의 관계 -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 개발을 위한 평가법에 관한 기초연구 -)

  • Kim, Eun-Ju;Hong, Chan-Seok;Hong, Jung-Py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3
    • /
    • pp.433-441
    • /
    • 2007
  • Creativity has very important significance to children. Although active researches and educations on other studies (for instance, mathematics, science, logics, music, etc) are being done, evaluation or development on children's creativity in design is very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develop evaluation to judge design creativity of children as an incipient stage of educational method development to develop children's creativity in design. Evaluation categories (originality - novelty/fun, practicality-function/possibility) that can evaluate design creativity of children were drawn out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and as the results or performing experimental research to figure out correlativity between creativity of idea and design creativity targeting children in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subordinate provinces of idea's creativity related to design creativity were fluency and elaboration.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fluency and delicacy are the only subordinate provinces of idea's creativity related to design creativity, but they are more influential compared to other provinces (creativity, abstractness of title,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framework of educational method to improve design creativity education of children, and has its meaning to complement what are lacked in design creativity through the educational method.

  • PDF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 Im, Hae-Gyeong;Park, Eu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563-589
    • /
    • 2002
  • 고학년으로 갈수록 지필 환경에만 머무르는 현실 속에서 생활 및 예술 작품 등에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발견하도록 하는 테셀레이션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것 이상으로 기하학적 사고의 기초를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학년까지 적용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테셀레이션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 학습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는 테셀레이션의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로서 , 학생들에게는 수학의 기하적 개념들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테셀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가. 테셀레이션의 정의와 예 그리고 종류를 알아보고 테셀레이션 속의 수학적 개념을 활용방법과 함께 제시한다. 나.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테셀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다. 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활용 방안을 탐색한다. 라.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활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 실험을 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학습의 효과를 밝힌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적용 실험을 위하여 광주대성초등학교 6학년 한 반을 선정하였고 약 4주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투입하여 4번의 활동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작성된 학습지와 소감문 및 연구자에 의해 관찰된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 결과 지필적 환경에서 제한적이었던 탐구하고 조작해보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역동적인 수학 실험실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도구적 이해가 아닌 관계적 이해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적 개념을 암기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연스런 조작을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수학을 공부한다기 보다는 수학 속에서 재미있게 놀이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고 배우는 즐거움을 알고 자신감을 가지며 더 나아가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하는 기회를 줄 수 있었다. 둘째, 테셀레이션은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수학이 단순히 책에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 즉 디자인, 생활 속에서의 벽지문양과 포장지, 예술작품 등에 활용되고 있음을 체험함으로써 수학이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하였다. 역으로 생활 속에서의 테셀레이션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찾는 과정을 통해 수학이 아름다우면서도 실용적이라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었다. 셋째, 테셀매니아, GSP, 캐브리, 거북기하 등 평소 수업에서는 활용도가 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컴퓨터 소프트웨어 자체에서 오는 호기심뿐만이 아니라 직접 조작하여 테셀레이션 작품과 개념을 익히고 새로운 작품과 학습을 해 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등에 있어 큰 변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 기능이 미숙한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당황해 하고 어려워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조작할 시간적 여유를 주고 교사와 우수한 학생들이 도우미로서 역할을 잘해내어 나중에는 큰 어려움 없이 마칠 수 있었다. 테셀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현장에서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이해도 부족한 현실 속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가 교수 학습 현장에 투입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한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로서 테셀레이션이라는 주제는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서 평면 도형의 각과 모양 등의 성질을 탐구하게 하고, 대칭변환의 개념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할 수 있고, 반복되는 모양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부분과 전체를 파악하여 패턴을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제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수학적 개념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테셀레이션은 수학적 개념은 물론 수학과 미술, 수학과 일상 생활과의 연결성을 논의하고 확인하는 데 흥미로운 주제가 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테셀레이션을 활용하여 지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앞으로는 테셀레이션과 관련된 내용이 직접적으로 교육과정 내에서 다루어지고, 또한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기하학적 사고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