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평 유지

Search Result 48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Behavior of Single Horizontal Buoyant Jet (단일수평부력제트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eo, Il-Won;Kim, Ho-Jung;Kwon, Seok-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11-1015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부력 조건이 달라질 때 단공방류구에서 정체수역으로 수평방류되는 부력제트의 거동을 규명하였다. LIF (Laser Induced Fluorescence)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는데, LIF 시스템은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어 데이터의 정확도가 높으며, 동시에 한 평면상의 농도장을 일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기술이다. LIF 시스템은 크게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방출시스템, 포착시스템, 처리시스템이 그것이다. 실험 조건을 고려해서 온수를 이용하여 주변수와의 밀도차를 재현하였으며, LIF 시스템의 추적입자로 형광염료 Rhodamine B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 데이터 취득과정에서 필요한 검정과정을 수행하였는데, LIF 시스템에서 검정과정은 레이저 입사광의 강도가 불균등한 분포를 가지는 점과 주변수의 매질에 의한 근의 감쇠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LIF 시스템은 부력제트의 농도장을 매우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데, 방류밀도 Froude 수가 변함에 따라 측정된 순간이미지를 통해 제트의 진화과정을 상세하고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검정과정을 거친 농도 종단면에서 중심선의 연장선이 LIF 시스템에 의해 측정된 순간이미지의 중심선 궤적과 거의 일치하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LIF 시스템을 통해서 취득된 단일수평부력제트의 궤적과 중심선 희석률을 기존의 상용모형인 VISJET과 CORMIX1에 의해 예측된 결과와 비교$\cdot$분석한 결과, 제트 중심선 궤적의 경우, LIF 시스템을 이용한 측정값은 대체로 VISJET 모형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심선 희석률의 경우, LIF 측정값은 대체로 CORMIX1 모형, Cederwall(1968)의 경험식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0\%$일 때가 밸브를 $60\%$$80\%$ 개폐시켰을 때보다 $0.3kg/cm^2,\;0.29kg/cm^2$ 낮게 나타나 밸브를 전체 개방 했을 때 관로내의 수압이 상수설계기준에 적합한 수압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 PDF

Variation of Seismic Behavior of Continuous Skew Plate Girder Bridg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Bearings (받침배치에 따른 연속 플레이트 거더 사교의 지진거동 변화)

  • Moon, Seong Kw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5 no.5
    • /
    • pp.124-135
    • /
    • 2011
  • The capacity of bearings installed at abutments and piers for continuous bridges is usually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maximum vertical reaction at each support and the capacity of bearings placed at piers is higher than that at abutments.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the improved seismic performance of base-isolated continuous skew bridges was investigated by analysing the variation of the seismic behavior of them according to three arrangements of bearings. Based on the conventional arrangement of bearings(Case A), three arrangements of bearings such as Case A, Case B and Case C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variation of the horizontal stiffness of the lead rubber bearing(LRB) installed at the pier. The seismic behavior of the total 36 skew bridges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the response spectrum analysis using the hybrid response spectrum considered the effect of LRB's damping. Results of analyses show that a more desirable seismic behavior of base-isolated continuous skew bridges can be obtained by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horizontal stiffness of LRB placed at the pier to similar to or less than that of LRB installed at abutments. The variation of LRB's stiffness at the pier brings about period elongation and the change of mode shapes of base-isolated skew bridges and results in the reduction of the total base shear, the maximum base shear at the pier and the girder stresses. Although positive effects on the seismic behavior of base-isolated skew bridges caused by the change of arrangement of bearings decreased slighty with an increase in the flexibility of the substructure, the proposed arrangements of bearings bring about the improved seismic performance of base-isolated continuous skew plate girder bridges with less than 10m height of piers.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e effect of retentive groove design on joint strength of casting connection (유지구 설계가 주조연결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 Kim, Jung-Woo;Jeong, Chang-Mo;Jeon, Young-Chan;Yun, Mi-Ju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7 no.1
    • /
    • pp.29-38
    • /
    • 2009
  • Statement of problem: A casting connection technique is widely used for repair, correction and addition to base metal framework. However, a casting connection technique may increase the risk of failure in clinical situations when high stresses exis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retentive groove design comparatively to increase the joint strength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of a 3-unit fixed partial denture. Material and methods: Ten finite element models were constructed. (Model A: One retentive groove, Model B: Two retentive grooves, Model C: Three retentive grooves, Model D: Four retentive grooves, Model E: One horizontal groove and two vertical grooves, Model F: Two horizontal grooves and one vertical groove, Model G: One groove with the enlarged dimension, Model H: Two grooves with the enlarged dimension, Model I: One groove with the increased height, Model J: One groove with the increased width of base). The vertical force was applied to the mesial and the distal fossa to the casting connec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 Results: The main factors, affecting joint strength of casting connection were both the retention between the primary cast and the secondary cast and the thickness of the primary cast remaining after preparing retentive groove. The increase of retentive force, according to the numbers and the dimension of retentive groove had an effect on distributing stress. However, in some cases, the increase of retentive force resulted in the increase of stress by reducing thickness of the primary cast in the connection area. Conclusion: The design of retentive groove that limits number of retentive groove for metal thickness and increases the depth of retentive groove for retention is highly recommended.

A Study on the Display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PDP for the HDTV (HDIV를 위한 PDP의 표시방전특성에 관한 연구)

  • Ryeom, Jeong-D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9 no.4
    • /
    • pp.39-46
    • /
    • 2005
  • This research concerns the ADS drive method of 3 electrodes AC PDP and is determined the minimum pulse width of the address and the sustain, which the steady sustain discharge without decreasing luminance can b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if the address pulse width became $1.5[{\mu}s]$ or more a effective address discharge with the operating margin of 35[V] was possible. And if the sustain pulses width became $2[{\mu}s]$ or more, a steady sustain discharge with the operation margin of 25[V] was possible. When this condition is applied to Full-HDTV class PDP with the in lines of horizontal scanning lines, 8 sub-fields and total 1420 sustain pulses can be used.

Effect of Low Frequency Vibration on Human and Its Application (저주파수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응용(ISO 2631-3 내용을 중심으로))

  • 장한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5a
    • /
    • pp.823-827
    • /
    • 2001
  •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을 분류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준은 주파수이다. ISO의 인체진동관련 규격에서는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거동을 저주파수 운동(0.63Hz이하)과 진동(1~80Hz)으로 나누고 있다[1]. ISO 2631에서는 주파수별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그림1과 같이 가중치로 정의하여 제시하고 있다. 저주파수 영역의 운동은 외부 거동(주로 수평방향)에 대하여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힘Tm게 되므로 물리적인 피로감을 줄 뿐만 아니라 'Motion sickness'란 증상을 유발한다.(중략)

  • PDF

[ $H{\infty}$ ] Control of Level Maintaining Device (수평유지장치의 $H{\infty}$ 제어)

  • Oh, Young-Jin;Suh, Young-So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D
    • /
    • v.52 no.2
    • /
    • pp.77-84
    • /
    • 2003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level control of a upper plate in a vehicle. The objective of control is to maintain the upper plate at level regardless of road slopes. The road slope is detected using an accelerometer-type inclinometer and H infinity control method is used to simultaneously reduce effects of road slopes and sensor noises. By the simulation, it is shown that the upper plate is successfully maintained at level.

The Analysis of Illuminance Distribution by Luminaire Position of Soccer Stadium using Pattern Search Method (Pattern Search법을 이용한 축구 전용 경기장의 조명기구 배치에 따른 조도분포 해석)

  • 최홍규;최병숙;서범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1a
    • /
    • pp.43-48
    • /
    • 2003
  • 축구 전용 경기장에서 캐노피에 설치되는 등기구의 위치를 Pattern Search법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였다. 조명 등기구 배치간격을 변화시키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국·내외(FIFA, 유럽방송연맹, KS) 기준에 명시된 수평면 조도, 수직면 조도, 균제도, 눈부심 정도에 적합한 최적의 값을 찾았었다. 향후 국내 축구 전용 경기장 조명기구의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 보수시 많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PDF

시동특성 해석을 통한 수평축 풍력발전 시스템의 운용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공창덕;방조혁;신현기;정종철;김학봉;김종식;유지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4a
    • /
    • pp.12-12
    • /
    • 1999
  •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교류발전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정한 주파수를 얻기 위해 정속회전수로 운용되고 있다. 또한 대용량의 풍력발전기는 정격풍속이 10-13m/s 정도이므로 년평균풍속이 4m/s 이하인 우리나라에서는 년간 출력의 대부분을 정격출력 이하에서 운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정속회전수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풍력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

  • PDF

The Experimental Study of Distribution Life-Force Impact on Piles and Landing Pier (잔교식 안벽의 상부와 Pile에 작용하는 파압분포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Sang-Kil;Kim, Ki-Hyun;Kim, Woo-Seang;Park, Byung-Yul;Kang, Deok-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52-556
    • /
    • 2006
  • 항만건설에 있어서 항만의 내부시설 중에서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시설물은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시켜 하역할 수 있는 안벽시설물이다. 안벽구조 형식의 결정은 항만의 이용목적 등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항만의 건설입지조건 등에 의해서도 달라진다. 안벽구조형식 중에서 잔교 식 안벽은 무엇보다도 단기간에 건설이 용이하여 지금까지 각국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장래에도 이용도가 증가되리라 생각한다. 최근에는 해안선을 이용한 위락시설이 건설되면서 잔교 식 안벽구조물을 설치하여 보조시설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 설계되어 잔교를 설계할 경우는 일반적으로 항내의 정온이 잘 유지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랑에 의한 반사율과 잔교 상부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태풍이 내습할 경우 기존의 항내로 높은 파랑이 침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항내에서도 잔교의 파괴로 인한 자연재해가 대형화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 처음부터 안벽을 설계할 때에 대형화의 잔교 식 안벽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잔교 식 안벽 구조물을 잔교의 상부 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분포와 잔교 전면의 반사율 등이 구조물의 유지관리 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반사율 검토와 양압력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연구의 대상은 일정 해역에 잔교 식 안벽을 설계하고자 할때 최적의 안벽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여 구조물의 안전과 항내정온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수리모형실험으로 인한 연구는 잔교 식 안벽에 대한 반사율과 상부에 작용하는 양압력, 잔교말뚝(pile)에 작용하는 수평압력을 검토하여 잔교 식 안벽 설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혈청을 이용한 동결보존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지에 더해주면 세포의 증식이 개선될 것이다. 그래서 몇 가지 첨가물을 이용해 세포의 증식력에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첨가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IGF-I의 경우 장기간 배양에서 세포의 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계대 횟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IGF-I이 어느정도 세포의 증식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무혈청 배지에서 비적응 CHO 세포의 계대 배양에 한계가 있는 것은 세포주기가 멈추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세포주기가 멈추는 growth factor와 같이 세포의 증식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무혈청 배지에서는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IGF-I과 같은 첨가물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고 여겨진다.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통적 관점은 주거교육가치관 요소 중 오직 주거관리적 요소와 관계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낮으며 실천적 관점과 구조적 관점은 주거가치관의 각 요소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했으나 주로 보통의 관계를 보였다.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임상에서 니켈-티타늄 합금 와이어에 굴곡을 부여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경우 초탄성 특성은 유지될 수 있으나, 부하-변위 곡선의 상방 증가가 나타나므로, 와이어에 의한 교정력이 증가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day^{-1}$인 인공습지), scenario 2(면적 4.2ha인 저류지)가 각각 연평균 6.9%, 4.8%, 7.1%의 감소를 보였다. TN은 4.7%, 3.4%, 13.4%의 삭감율을 나타내었으며, TP는 5.6%, 3.9%, 7.3%의 삭감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 PDF

Effective mask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latch-up characteristics in CMOS (CMOS의 Latch-Up 특성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Mask 설계 방법)

  • 손종형;정정화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4 no.10A
    • /
    • pp.1603-1610
    • /
    • 1999
  • 본 논문은 CMOS의 latch-up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mask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Mask의 평면구조와 latch-up 파라메타와의 상관관계를 실물 제작에 의한 실험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도출하였으며, guard ring의 효과에 대해서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수평구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증폭률($\beta$n)이 디자인룰에 반비례하였으며, 수직구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증폭률($\beta$n)은 디지인룰과 무관하였다. 스위칭전압과 유지전류는 디자인룰에 비례하였다. Guard ring은 latch-up의 가능성을 줄이는 데 상당한 효과가 있었음이 확인되었으며, Guard ring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전류증폭률의 곱($\beta$n$\beta$n)이 약 31% 감소, 유지전류는 약 25%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