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평 유지

Search Result 49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 Optimization Method for Self-Boring Pressuremeter Holding Test to Determine a Horizontal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under Partial Drained Soil Conditio (부분배수가 발생하는 지반의 수평압밀계수 결정을 위한 자가굴착식 프레셔메터 유지시험의 최적화 해석법)

  • Kim, You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03a
    • /
    • pp.370-375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a systematic way of identifying the horizontal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for clayey soil under undrained condition and silty soil under partial drained condition by applying an optimization technique to the early part of dissipation data measured from the self-boring pressuremeter strain holding test. An analytical solution developed by Randolph & Wroth (1979) was implemented in normalized form to express the build-up and dissipation of excess pore pressures around a pressuremeter as a function of the rigidity index. Horizontal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was determined by minim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oretical and measured excess pore pressure curves using optimization technique.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optimization technique can evaluate in-situ horizontal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rationally, which is similar with that obtained from the piezocone dissipation test. Furthermore, proposed method can evaluate appropriate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for soil under partially drained condition.

  • PDF

An Efficient Horizontal Maintenance Technique for the Mobile Inverted Pendulum (모바일 역진자의 효율적 수평유지 기법)

  • Yun, Jae-Mu;Lee, Jae-Kyoung;Lee, Jang-Myung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13 no.7
    • /
    • pp.656-663
    • /
    • 2007
  • A new dynamic balancing algorithm has been proposed to minimize the number of sensors necessary for the horizontal balancing of the mobile inverted pendulum while maintaining the same level of the commercial performance. The inverted pendulum technique is getting attention and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the Segway since the US inventor Dean Kamen commercialized. One of the major problems of the Segway is that many sensors are required for the control of the Segway, which results in the high price. In this research, a single gyro and a tilt sensor are fused to obtain the absolute tilt information, which is applied for the control of the mobile inverted pendulum. A dynamic balancing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for a robust control system against disturbances. The intelligent handling and stable curving of the Segway as a next generation mobile tool are verified with a human loading.

A Study on The Luminaire Position of Soccer Stadium using Pattern Search Method (Pattern Search를 이용한 축구전용 경기장의 조명기구 배치에 관한 연구)

  • Choi, Hong-Kyoo;Seo, Beom-Gwan;Oh, Jeong-Seok;Park, Hyung-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d
    • /
    • pp.106-109
    • /
    • 2004
  • 축구 전용 경기장에서 캐노피에 설치되는 등기구의 위치를 Pattern Search법을 이용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여 조명 등기구 배치간격을 변화시킴으로 국 내외 (FIFA, 유럽방송연맹, KS) 기준에 명시된 수평면 조도, 수직면 조도, 균제도, 눈부심 정도에 적합한 최적의 값을 찾아내어 향후 국내 축구 전용 경기장 조명기구의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 보수시 많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PDF

SOLIDIFICATION OF AQUEOUS BINARY SOLUTIONS SA TURA TED PACKED BED FROM ABOVE (다공성물질이 충전된 수용성 혼합용액의 동결거동에 관한 실험 연구)

  • 최주열;김병철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6 no.3
    • /
    • pp.42-50
    • /
    • 1992
  • 다공성 물질이 충전된 밀폐용기 내에서 수용성 이원혼합용액(H2O+NaCl)이 수평한 상부전열면으로 부터 동결될 때 혼합용액의 초기농도, 액체의 과열 및 다공성물질의 입자직경 크기가 온도와 농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으며, 동결이 진행됨에 따라 이동하는 고액상 혼합영역의 계명위치를 측정하였다. 다공성물질은 평균직경이 2.85mm, 6mm인 구형의 유리구슬을 이용하였다. 수용성 혼합용액의 초기농도는 공융농도도 이하로 하였으며 상부 전열면은 공융온도 이하로, 하부전열면은 액상선온도 이상으로 유지하여 동결 실험한 결과 상부 전열면으로 부터 고체 영역, 고액상혼합영역, 액체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액체의 초기농도가 5%인 경우 과냉현상이 관찰되었으나 10%, 15%인 경우 액체온도는 액상선 온도보다 더 높았다. 용액의 초기농도를 감소시킬수록 고체와 고액상혼합영역의 범위는 증대되었으며 고액상혼합영역과 고체영역의 계면은 더욱 강해진 자연대류에 의하여 2차원성이 증가된 형상을 보였다. 용액의 자연대류는 다공성물질의 직경이 클수록 증가되었으며 계면에서의 제융해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Development of the Hybrid Vibration Isolator for Large Superprecision Stage (대형 초정밀 스테이지용 복합 아이솔레이터 개발)

  • Kim, Won-Kyum;Jung, Soon-Chul;Chang, Seung-Hwan;Lee, Jae-Eung;Shin, Dong-Su;Lee, Jae-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04-1408
    • /
    • 2006
  • In this paper, a hybrid-type vibration isolator which has air chamber(spring) and viscous damper in series is developed. The developed vibration isolator is designed to perform 3 following functions : spring function fo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damping function to reduce an impact for sudden move of upper beam, and finally leveling function. Based on the given natural frequency and damping factor, the design procedure is proposed.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isolator is tested by measuring stiffness and damping.

  • PDF

Eye Contacted View Generation by using Color and Depth Cameras (이종 카메라를 이용한 Eye-contacted 영상 생성 기법)

  • Hyun, Jeeho;Han, Jaeyoung;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0-153
    • /
    • 2011
  • 중간시점 영상은 스테레오 정합 방식을 이용하여 구한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테레오 정합 방식들은 좌, 우 영상의 조명환경이나 기하학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면 잘못된 깊이 지도를 획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은 정합 과정을 통해 획득한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다시점 영상 생성 시 더 많은 홀과 경계 잡음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RGB 컬러 카메라 1 대와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중간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을 이용하여 화상회의 시 사실감 및 현실감을 증대할 수 있는 eye-contact 시점 영상을 생성하고 이때 발생하는 홀과 경계잡음 제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Direct Shear Apparatus with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for Rock Joints and Its Application Tests (하중조건별 시험이 가능한 암석 절리편 전단시험의 개발 및 적용시험)

  • 천병식;김대영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6
    • /
    • pp.161-172
    • /
    • 2000
  • 자연암석절리 및 인공 절리에 대하여 일정수직응력제어, 일정 수직하중제어 그리고 무한 강성제어가 가능한 암석 절리면 전단기 시험기를 개발하였다. 이 시험기는 전단변위에 의한 첩촉면적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하중변화량을 조절하여 일정수직응력상태를 유지한다. 수직하중에 따른 시험기 강성에 의한 변화향이 제어 프로그램 내에서 제어되어 순수한 시편의 변위량을 출력하도록 하였다. 전단하중에 따른 시험기 강성에 의한 변위량은 상, 하부 전단상자의 상대변위 측정으로 최소화하였다. 전단거동 중의 자유도는 전당방향에 대하여 수평이도, 연직이동, 피칭, 롤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자연절리면을 모사한 석고시편에 대하여 일정 수직응력 제어, 일정수직하중제어 그리고 무한 강성제어 조건으로 시험하여 제어상태 검증 및 비교를 하였다. 또한 경사각이 16.7˚와 22.6˚인 톱니형 시편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 경사각 16.7˚와 22.6˚는 JRC로 10과 15를 나타내었으며, 첨두팽창각이 첨두전단강도에서 발생되며, Barton의 모델과 잘 일치함을 보였다.

  • PDF

Vertical and Horizontal Flow Controls for TCP Optimization in the Mobile Ad Hoc Networks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TCP 최적화를 위한 수직, 수평 플로우 컨트롤)

  • 박영삼;석용호;최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214-216
    • /
    • 2003
  • Mobile Ad Hoc Network(MANET)에서는, 각 모바일 노드들이 하나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말 호스트로 동작함과 동시에 라우터로서도 동작한다. 따라서 유선 네트워크와는 달리 라우터 뿐만 아니라 단말 호스트에서의 네트워크 혼잡이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계층 간에 동작하는 플로우 컨트롤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 단말 호스트(플로우의 소스 혹은 목적 노드)에서의 패킷 드롭을 줄임으로써 TCP throughput율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MANET의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로는 IEEE 802.11 MAC 프로토콜이 많이 사용되지만, 이 프로토콜은 링크 레이어에서의 플로우 컨트롤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링크 레이어 플로우 컨트롤은 패킷이 전송된 직후에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해 드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대역폭의 낭비와 전력사용을 줄일 수 있다. 이 논문에서 2개의 플로우 컨트롤 알고리즘, 즉 수직 플로우 컨트롤과 수명 플로우 컨트롤을 제안한다.

  • PDF

Folded Multi-Strip Monopole Antenna (폴디드 멀티스트립 모노폴 안테나)

  • 이윤호;정종호;박익모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4 no.11
    • /
    • pp.1127-1133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ovel folded multi-strip monopole antenna whose height is reduced using folded strip structure. It has a broadband characteristic and its measured impedance bandwidth ratio is approximately 1.85 : 1, from 4.55 GHz to 8.4 GHz, for VSWR2. Proposed antenna has vertically polarized omni-directional conical beam radiation pattern. It maintains about the same radiation pattern over entire bandwidth.

Aerodynamic and Structural Design for Medium Scale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Rotor Blade with Composite Material (복합재를 이용한 수평축 풍력터빈 회전날개의 공력 및 구조설계에 관한 연구)

  • 공창덕;김기범;오동우;방조혁;김학봉;김종식;유지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22-22
    • /
    • 1997
  • 무공해 에너지원은 화석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의 심각한 문제로 인하여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중 풍력발전 시스템은 타 에너지원에 비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유리한 점을 가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500Kw급 풍력발전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 적합한 공력 성능 및 구조성능을 가지는 회전날개 설계과정을 수행하였다. 공력설계는 운용지역의 풍황을 고려하여 회전날개의 외형을 결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공력성능해석이 수행되었으며, 구조설계는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쉘-스파 구조를 갖도록 설계하여 굽힘 및 비틀림 그리고 피로수명에 대한 구조해석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4m/s의 미풍에서도 운용가능하며, 12m/s에서는 정격출력 550Kw를 생산할 수 있는 형상이 설계되었고, 또한 20년 이상의 피로수명이 확보되었으며, 공질 등의 동적인 문제도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