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컷

검색결과 1,700건 처리시간 0.038초

실내 사육한 Neomysis intermedia의 생활사에 따른 에너지 수지 (Energy Budget of the Mysid Shrimp, Neomysis intermedia Reared in the Laboratory)

  • 최유길;노섬;주수동;박기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89-300
    • /
    • 1997
  • 실험실에서 사육시킨 Neomysis intermedia 의 섭이, 성장, 탈피, 생식 및 대사에 관한 자료로부터 생활사에 따른 에너지수지를 분석하였다. 1. 치하 및 성체의 성장은 암수 모두 초기성장이 빠르고 성장해 감에 따라 성장률이 현저히 저하되어 암컷의 경우 최대체장이 8.55 mm에 도달하여 6.87 cal 그리고 수컷의 최대체장은 7.53 mm로서 5.67 cal 에너지를 체성장에 사용하였다. 2. 성장에 수반되어 탈피체로 손실된 에너지는 암컷이 0.46 cal, 수컷은 0.38 cal의 에너지를 탈피에 사용하였다. 3. N. intermedia 암컷의 생식에 사용된 에너지는 6.75 cal 이었다. 4. 호흡에 사용된 에너지는 암컷이 48.48 cal, 수컷이 36.45 cal 이었다. 5. 치하 및 성체의 암컷은 84.15 cal의 에너지를 섭이를 통해 섭취하였으며, 수컷은 67.09 cal를 섭취하였다. 6. 요로 배설된 에너지는 암컷이 10.36 cal, 수컷은 6.46 cal 이었으며 분배출은 암컷이 11.23 cal, 수컷이 12.08 cal의 에너지를 배출하였다. 7. 섭취한 에너지에 대한 동화효율은 암컷이 86.65%, 수컷이 81.99%이었다. 8. 성장으로 전환된 에너지의 섭이에너지에 대한 백분율인 총성장효율(K 하(1))은 암컷이 8.71%, 수컷이 9.02%이었다. 9. 성장으로 전환된 에너지의 동화에너지에 대한 백분율인 순성장효율(K 하(2))은 암컷이 10.05%, 수컷은 12.36%이었다. 10. 동화에너지에 대한 대사에너지의 백분율은 암컷이 66.48%, 수컷이 66.26% 였다.

  • PDF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나이구조 분석 (Age Structure Analysis of Kaloula borealis)

  • 고상범;이정현;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61-866
    • /
    • 2011
  • 우리는 제주도 대정읍에서 뼈나이테법(skeletochronology)을 사용하여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나이구조를 알아보았다. 조사는 번식기인 2009년 6월에 실시하였다. 측정된 개체수는 수컷이 38개체, 암컷이 58개체로 각 개체의 SVL(snout-vent length)과 체중을 측정하고 나이구조를 분석하였다. 수컷의 평균 SVL은 $43.69{\pm}3.44 mm$이며, 암컷은 $46.32{\pm}4.23mm$로 나타나고 있다. 첫 번식에 참여하는 수컷은 2살이고, 암컷은 3살로 나타났다. 가장 나이든 수컷은 8살이며 암컷은 10살이다. 그러므로 이 종의 수명은 수컷에서는 8살, 암컷에서는 10살 이상으로 볼 수 있으며 암수의 수명에서 암컷이 더 오래살고 있다. 또한 이 값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성장곡선은 von Bertalanffy growth model을 사용하였으며, 성장계수(K)는 수컷이 0.56이며 암컷은 0.41이다. 최대성장크기는 수컷이 46.41 mm이며 암컷은 50.22 mm로 나타났다.

한국산 연어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III 연어, oncorhynchus keta의 성별 형태 차이 (Morphological study of Oncorhynchus spp.(Pisces : Salmonidae) in Korea- III. Sexual dimorphism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 명정구;홍경표;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5-95
    • /
    • 1993
  • 1990년 성숙한 연어의 성별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성숙한 수컷은 연장되고 휘어진 턱을 가지고 있으며 턱 위에 강한 이빨을 가지고 있다. 두장에 대한 주둥이의 길이와 위턱은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반면 두장에 대한 안경과 뺨은 수컷이 암컷보다 작았다. 표준체장(PBL)에 대한 체고, 미병고, 등지느러미, 기름지느러미 길이는 모두 수컷이 컸다. 각 지느러미 줄기수, 새파수와 유문수의 수는 암수 차이가 없었으나 측선비늘수와 미추골수는 암컷이 수컷보다 많았다. 두개골 중 인설골과 서골의 형태는 암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상사골의 길이에 대한 폭의 비값은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부설골의 앞 뒤돌기 비값은 암컷이 수컷보다 컸다.

  • PDF

대게, Chionoecetes opilio의 수온 및 염분변화에 따른 생존내성과 Haemolymph의 삼투질과 이온 농도변화 (Temperature and Salinity Tolerance and Haemolymph Osmotic and ionic Concentration of the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 임영수;이종관;이복규;장영진;허준옥;문승현;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5-171
    • /
    • 2001
  • 수온(5~2$0^{\circ}C$)과 염분(12~32$\textperthousand$)의 변화에 따른 대게 암수의 생존내성과, 삼투질, 이온 및 글루코스 농도 변화 등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연구하였다. 14, 16, 18$^{\circ}C$에서 50% 폐사시간은 암컷의 경우 각각 24.3일(수컷 11.3일), 10.7일(수컷 3.3일), 1.8일(수컷 0.6일)로 나타나, 수온의 증가에 따라 50% 폐사시간이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암수 각각 16$^{\circ}C$와 14$^{\circ}C$를 기점으로 폐사시간이 급격히 빨라졌다. 염분의 변화에 대해 암수 모두 24$\textperthousand$이상에서는 실험기간동안 50% 이하의 폐사율을 나타냈으며, 21$\textperthousand$에서 50% 폐사시간이 암컷 20.3시간(수컷 17시간), 12$\textperthousand$에서는 암컷 2.2시간(수컷 3시간)으로 나타났다 수온에 따른 삼투질 및 이온 농도의 변화에서, 수컷은 14$^{\circ}C$에서 급격한 감소경향 을 나타냈으나, 암컷은 뚜렷한 변화경향이 없었다. 염분의 변화에 대해, 암컷은 삼투질 및 이온 농도가 순응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수컷은 다소 불안정한 경향을 나타냈다. 또, 수온의 증가와 염분의 저하에 따라, 암수 모두 글루코스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해오라기 (Nycticorax nycticorax) 암.수의 번식기 일주행동 비교 (Comparison with Diurnal Activity of Male and Female of the Black-crowned Night Herons Nycticorax nycticorax on Breeding Season)

  • 김정수;이두표;구태회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1호
    • /
    • pp.1-4
    • /
    • 2003
  • 해오라기의 번식기 일주행동 중 activity budget은 수컷의 경우, 서기 29.5%, 깃털다듬기 21.5%, 편한행동 10.9%의 순이었고, 암컷은 휴식 26.3%, 둥지유지·보수 18.4%, 깃털다듬기 15.3%로서 암컷과 수컷사이에 고도의 유의차가 나타났다(p<0.01). Activity-time budget은 수컷의 경우 서기 38.7%, 이동 33.5%, 깃털다듬기 11.5%로 나타났고 암컷은 휴식 55.4%, 서기 18.4%, 깃털다듬기 9.4%로서 암컷과 수컷사이에는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다(p<0.01). 번식시기에 있어서 암·수의 activity budget을 살펴보면, 수컷은 번식기동안 서기와 깃털다듬기가 전체행동의 약 50%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암컷은 짝짓기시기부터 부화기까지 휴식과 둥지유지·보수가 50%이상을 차지하였지만 육추기 I부터는 휴식과 둥지유지·보수가 급감하고 서기가 증가하였다. Activity-time budget에서 수컷은 포란기 Ⅱ 까지는 서기가 증가하였지만 부화기부터는 서기가 감소하고 이동이 증가하였다. 암컷은 산란기부터 부화기까지 휴식이 8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이후에는 이들이 감소하고, 서기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한국산 파파리반딧불이 (Hotaria papariensis Doi)의 생태학적 연구

  • 심하식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 /
    • pp.3-29
    • /
    • 2001
  • 파파리반딧불이(H papariensis)의 생태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서식처 환경, 개체군, 고도별 출현양상과 지역별 분포양상, 발광양상, 교미행동을 조사하였다. 춘천시 서면 지암리에서 H. papariensis 성충의 개체군 밀도를 1998년 5월부터 7월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전체 채집 개체수는 703개체였다. 이중 수컷은 680개체, 암컷은 23개체를 채집하였다. 지암리에서 전체 출현기간은 50여 일로 추정되었다. 처음 출현한 날로부터 2주에서 3주 사이에 최대 정점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수컷 680개체중 47개체는 재 포획되었으며, 이로서 추정된 최대수명은 6일 이상, 평균수명은 3.26일로 나타났으며, 수컷과 암컷의 상대적인 성비는 27.5/l로 나타났다. 한국산 Hotaria속 반딧불이 2종의 고도별 출현 및 지역별 분포양상에 대하여 1999년 5월부터 7월까지 18개 지역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전체 채집개체수는 1096개체였으며 이중 H. papariensis는 584개체, H unmunsana는 512개체였다 두 종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 조사지역에서 공서 하고 있었으며 H. papariensis는 북쪽지역에 우세하게 분포하였고 H. unmunsana는 남쪽지역에 우세하게 분포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성충 반딧불이의 최고 출현성기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도별로 200m 이하 지역에서는 6월 초순에서 중순, 200-400m 지역에서는 6월 중순에서 말경, 400-600m 지역에서는 6월말 경부터 7월 초순, 600-800m 지역에서는 7월 초순부터 중순에 각각 최고 성기를 나타내었다. H. papariensis의 암컷과 수컷의 발광양상을 분석하고자 정지발광과 구애 발광을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각각의 발광지속시간과 발광주기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수컷의 발광지속시간은 정지발광(0.12초)보다 구애발광(0.17초)에서 1.4배 증가하였으며 암컷의 발광지속시간은 정지발광(0.15초)보다 구애발광(0.19초)에서 1.5배 증가하였다. 발광주기는 수컷에서 정지발광(1.26초)보다 구애발광(1.12초)에서 0.88배 감소하였고, 암컷에서 정지발광(2.99초)보다 구애발광(1.06초)에서 0.35배 감소하였다. 발광양상에서 발광주파수는 수짓의 정지발광에서 0.8 Hz, 수컷 구애발광에서 0.9 Hz, 암컷의 정지발광에서 0.3 Hz, 암컷의 구애발광에서 0.9 Hz로 각각 나타났다. H. papariensis의 발광파장영역은 400 nm에서 700 nm에 이르는 모든 영역에서 확인되었으며 가장 높은 첨두치는 600 nm에 있고 500에서 600 nm 사이의 파장대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발광양상과 어우러진 교미행동은 Hp system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PDF

성전환 및 염색체 공학 기법을 이용한 초수컷(YY) 및 초암컷(${\Delta}$YY)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생산 -IV. 초암컷을 이용한 수컷 자손 집단의 대량 생산 (Production of Supermale(YY) and Superfemale(${\Delta}$YY)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Sex Reversal and Chromosome Set Manipulation -IV. Large Scale Production of Male Seeds with Superfemale)

  • 노충환;남윤권;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1-338
    • /
    • 2000
  • 본 연구는 초암컷을 이용한 나일틸라피아의 전수컷 자손 집단 생산 기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초암컷과 성전환 수컷(실험구) 그리고 정상 암컷과 정상 수컷(대조구)을 자연 교배시킨 후 실험구와 대조구의 종묘생산량과 생산된 종묘 성비를 조사하였고, 초암컷과 정상 암컷의 산란 주기 및 산란 회수를 비교하였다. 대조구에서 생산된 자손의 수컷률은 53.2${\pm}$10.2%였음을 비해 실험구에서는 93.5${\pm}$6.4%의 수컷 자손 집단이 생산되었다. 60일 동안 초암컷은 총 산란 회수는 19회로서 정상 암컷의 24회에 비해 적었으나, 산란한 개체의 평균 산란 주기는 초암컷과 정상 암컷이 각각 21.4${\pm}$10.4일 및 21.1${\pm}$9.2일로서 차이가 없었다. 종묘 생산량에 있어서 실험구는 3,085${\pm}$562.9 마리로서 대조구의 3,797${\pm}$636.4 마리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용한 암컷 마리당 일간 종묘 생산량과 암컷 어체중당 일간 생산량에 있어서도 실험구와 대조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초암컷은 성전환 수컷과의 교배에서 높은 수컷률을 보이는 자손 집단을 생산하였고, 정상적인 산란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초암컷을 이용한 수컷 자손 집단의 대량 생산은 양식 생산성 향상을 위해 매우 유용한 방법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한국산 둑중개 (Cottus poecilopus Heckel)의 성적 이형 (Sexual Dimorphism in a River Sculpin(Cottus poecilopus Heckel) in Korea)

  • 변화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21
    • /
    • 1996
  • Cottus poecilopus Heckel의 성적 이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치악산 계류에서 1993년 1월 부터 1994년 4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령별 암수의 체장 구성비에 있어서 수컷이 암컷 보다 다소 컸으며, 뒷지느러미, 배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의 길이와 입의 크기에 있어 수컷이 암컷보다 길다. 혼인색(nuptial color)과 생식적 유두(genital papilla)는 수컷에서만 존재한다. 암컷은 산란시 큰 수컷을 선호하며, 큰 수컷은 수정란을 보호하고 수류를 일으키는데 우세하며 수정난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또한 큰 입은 산란장을 형성하거나 보호하는데 이점이 있다. 이러한 성적 형태의 차이는 본종의 성적 선택의 결과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은어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 분화

  • 방인철;이철호;박상용;이윤아;김성연;김경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65-166
    • /
    • 2000
  • 은어는 암컷의 성장이 수컷보다 빠르고, 성숙 시 수컷의 상품가치가 크게 하락하므로 실제 양식 현장에서는 전 암컷 종묘의 생산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방 등, 1997). 호르몬에 의한 암컷 종묘의 생산방법이 연구되었으나 암컷 유도율이 매우 낮고, 성전환된 수컷을 친어로 이용하여 단순교배에 의한 전 암컷 집단을 생산하는 유전학적 성전환 방법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고교, 1993).유전학적 성전환을 위해 웅성호르몬 처리에 의한 phenotypic male (genetic female)을 생산하여야 하는데 본 종은 수컷으로의 성전환이 매우 어려운 종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성전환 처리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서 우선 성 분화 과정을 조직학적 방법으로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