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치지형자료

Search Result 7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opographic Normalization of Satellite Synthetic Aperture Radar(SAR) Imagery (인공위성 레이더(SAR) 영상자료에 있어서 지형효과 저감을 위한 방사보정)

  • 이규성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3 no.1
    • /
    • pp.57-73
    • /
    • 1997
  •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correction of radiometric distortions induced by topographic relief. RADARSAT SAR image data were obtained over the mountainous area near southern part of Seoul. Initially, the SAR data was geometrically corrected and registered to plane rectangular coordinates so that each pixel of the SAR image has known topographic parameters. The topographic parameters (slope and aspect) at each pixel position were calculated from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data having a comparable spatial resolution with the SAR data. Local incidence angle between the incoming microwave and the surface normal to terrain slope was selected as a primary geometric factor to analyze and to correct the radiometric distortions. Using digital maps of forest stands, several fields of rather homogeneous forest stands were delineated over the SAR image. Once the effects of local incidence angle on the radar backscatter were defined, the radiometric correction was performed by an empirical fuction that wa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metric parameters and mean radar backscatter. The correction effects were examined by ground truth data.

Small Scale Digital Mapping using Airborne Digital Camera Image Map (디지털 항공영상의 도화성과를 이용한 소축척 수치지도 제작)

  • Choi, Seok-Keun;Oh, Eu-Gen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2
    • /
    • pp.141-147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issues and its usefulness of drawing small-scale digital map by using the large-scale digital map which was producted with high-resolution digital aerial photograph which are commonly photographed in recent years. To this e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feature categories on the digital map was conducted, and this map was processed by inputting data, organizing, deleting, editing, and supervising featur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generalization process. As a result, 18 unnecessary feature codes were deleted, and the accuracy of 1/5,000 for the digital map was met. Although the size of the data and the number of feature categories increased, this was proven to be shown due to the excellent description of the digital aerial photograph. Accordingly, it was shown that drawing a small-scale digital map with the large-scale digital map by digital aerial photograph provided excellent description and high-quality information for digital map.

Geospatial Information Extraction by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수치사진측량을 이용한 지형공간정보 추출)

  • Yeu, Bock-Mo;Kim, Won-D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7 no.2 s.14
    • /
    • pp.81-91
    • /
    • 1999
  • The study on the updating of the database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that is necessary condition to GSIS operation have executed actively. In this study, digital orthophotos were produced by using the product of digital photogrammetry process and then multiscale digital orthophoto maps were generated tv the concept of image pyramids. The produced digital orthophoto has 2.092 meters accuracy compared to 1:5,000 topographic map. This digital orthophoto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providing valuable spatial reference for other objects in the database.

  • PDF

Extraction of Water Are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rom Satellite Imagery and DEM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위성영상과 DEM으로부터의 수계지역 추출)

  • Sohn, Hong-Gyoo;Jung, Won-Jo;Yoo, Hwan-Hee;Song, Yeong-Su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51-57
    • /
    • 2002
  • 국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원격탐사는 매핑, 환경관리, 시설물 관리 등에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날씨나 태양의 제약을 받지 않는 RADARSAT SAR 영상의 수계지역을 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분류하고자 하였다. RADARSAT은 경사관측을 통하여 영상을 취득하며 지형의 기복에 의한 음영효과(Shadow effect)로 인하여 수계지역 분류시 정확도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RADARSAT SAR 영상의 역산란계수를 계산하고 음영효과에 의한 분류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치고도모형을 사용하였다. 지형의 기복이 작은 평지와 지형의 기복이 심한 산악지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여 각 지역별로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로 역산란계수를 신경망기법의 단일 입력 자료로 사용한 경우보다 수치고도모형을 같이 사용한 것이 분류 정확도가 높았다. 또한, 수치고도모형을 역산란계수와 함께 입력 자료로 이용할 경우 평지보다 산악지에서 효율적이었다. 산악지역이 많은 국내에서는 SAR영상의 수계지역 추출을 신경망 기법으로 할 경우에는 수치고도모형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분류정확도 향상을 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Generation Method for GSIS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이용을 위한 불규칙삼각망 생성기법에 관한 연구)

  • 유복모;장지원;윤정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2 no.2
    • /
    • pp.209-218
    • /
    • 1994
  • This study aims to generat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in a form of digital terrain model which is being increasingly used. In general, grid digital elevation model and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are reasonable units for solving terrain problems. But,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is an efficient alternative to grid digital elevation model because of their efficiency in storing data and their convenient dat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irregularly spaced elevation data. Various methods represented for extracting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s from grid digital elevation model, and then algorithm that get accurate results for triangulation with their data set was introduced. The new approach for triangulation in this study uses the Elevation and Changeable Distance criterion, and adding interpolation points and restricted constraint lines can generat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which is more close to real surface. This made database efficient construction and could be used for many applications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PDF

A Experimental Study on the Translation from Korean Digital Topographic Maps to Distributed Objects (수치지형도의 객체화 변환에 관한 연구)

  • 황철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7 no.2
    • /
    • pp.255-269
    • /
    • 1999
  •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to translate the Korean digital topographic maps into distributable information-hide objects, which are designed with object-oriented development's key features ; encapsulation, polymorphism, inherit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mode and inter-relationships of digital topographic maps are investigated .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the current Korean digital topographic maps, which is organized into so many individual layers of mixed spatial and attributed data, have to explicit and concrete hierarchies in spatial data model and data definition . Due to this limitation , data layer stage and object class stage are integrated. And ISCO(the is-computer -of relationships) mechanism is mainly used to develop the objects of digital topogrpahic maps, which is implemented with spatial primitive classes. the designed objects are coded with JAVA and then testified in web interface.

  • PDF

Development on Location Analysis Model of GIS in Torrential Stream (GIS기법을 이용한 야계사방 입지해석 모델 개발)

  • Kim, Ki-Heung;Jung, Hea-Reyn;Park, Sang-Heyn;Ma, Ho-Seop;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22-1826
    • /
    • 2010
  • 본 연구의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야계의 입지해석모델 개발은 사방댐 하류 야계에 대한 야계사방사업의 위치 선정, 하도계획 및 구조물 계획 등을 기 구축되어 있는 국가 DB와 강우 강도 산정, 홍수유출해석 및 수리계산 소프트웨어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표준화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 지형 지질 토지이용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유출해석을 통해 기본 홍수량을 산정하고, 홍수량과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으로부터 추출한 야계의 종단, 평면 및 횡단지형정보를 기본자료로 HEC-RAS의 지형자료(geometry data) 및 흐름자료(flow data)를 구축하여 수리계산을 수행하였다. 수리계산 결과를 토대로 종단, 평면, 횡단의 하도계획과 호안, 수제 및 하상유지공 등 구조물 계획 등에 필요한 야계입지해석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강우, 지형 지질 토지이용, 항공사진 자료 등 국가 DB자료만을 이용하여 야계입지를 해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1 : 5000의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으로부터 야계부분에 대한 지형도를 분리하여 1m 간격의 등고선으로 된 수치지형도에서 야계의 종단, 평면 및 횡단지형정보를 기본자료로 수리계산을 위한 HEC-RAS의 지형자료(geometry data)를 구축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리계산 결과를 토대로 최심하상고, 수위, 수심, 유속, 소류력, Froude수 등 종단, 평면, 횡단의 하도계획과 호안, 수제 및 하상유지공 등 야계 구조물 계획 등에 필요한 수리학적 인자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시험유역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야계사방사업의 입지선정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를 제시하였다.

  • PDF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ㆍ지물의 경계추출

  • 박운용;차성렬;이동락;김용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10a
    • /
    • pp.433-437
    • /
    • 2003
  •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DEM) 및 정사영상을 제작해서 수치지도의 갱신 및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자료기반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bel 연산자를 이용하여 경계추출을 행한 후 스크린 디지타이징 방법으로 경계선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벡터자료와 기존수치지도와의 중첩을 통해서 건물, 도로, 임야의 평균위치오차를 분석해 보았다. 평균위치오차가 공공측량의 작업규정에 대한 1 : 5,000 수치지도 제작의 허용오차범위에는 들지 못하였지만, 특정 부분의 지형·지물의 경우에는 수정, 보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악지역 보다는 도심지에서의 경계추출이 뚜렷하기 때문에 위치정밀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ive Decision of the Route Alignment with Digital Terrain (수치지형모형을 이용한 효율적인 노선결정)

  • Kang, Joon-Mook;Yoon, Hee-Cheon;Lee, Hyung-Seok;Lee, Sung-So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4 no.2 s.8
    • /
    • pp.195-203
    • /
    • 1996
  • The 3-D analysis of terrain for route design and selection is being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effective judgement of political draft. This study is to decide efficient alignment of the entry route and design bridge by modeling, analyzing and displaying surface with digital terrain data. In this study we analyze slope, aspect, shaded-relief, line of sight and watershed on the base of DTM such as contour, TIN and grid. And we can not only esti mate end-area volume for road construction by calculating cut and fill and displaying mass-curve but also recognize the scene after execution with simulation of road and terrai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visual effects of the 3-D terrain data are very effective for designer and decisionmaker to select and review alternative route with regard to terrain characteristics.

  • PDF

GIS Construction of City Zone 3-Dimension Using Digital Orthoimage (수치정사영상을 이용한 도심지역 3D-GIS구축)

  • 박홍주;박운용;김희규;홍순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4.11a
    • /
    • pp.417-421
    • /
    • 2004
  • 최근 들어 사진측량은 광센서 및 컴퓨터기술 발전과 같은 관련분야의 발전과 자료처리과정의 자동화 및 사용자의 편의성에 대한 요구로 수치사진측량(Digital Photogrammetry)이라는 새로운 학문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수치사진측 량은 지형지물 및 자연환경에 대한 기하(geometric), 복사(radiometric) 및 의미적(semantic) 정보를 수치영상으로부터 획득하는 기술로 정의되고 있다. 그 적용분야 역시 크게 증가하여 사회 전반에 응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및 RS(Remote Sensing)와 연계되어 발전 및 응용의 잠재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사진측량의 발전과정 및 정확한 지형자료의 해석을 중심으로 수치사진측량에 의한 영상 정보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해석하여 정보 취득 관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도시지역의 지상 D/B자료와 지하시설물 D/B를 하나의 3차원 시각화로 나타냄으로써 도시의 모든 시설물을 통합하여 보다 효과적인 유지ㆍ관리, 재해방지, 합리적 의사결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