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치적 모델

Search Result 3,710,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Logical Data Model for National Topographic Basedata (수치지도 데이터의 논리적 모델에 관한 연구)

  • 조우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6 no.1
    • /
    • pp.139-147
    • /
    • 1998
  • The national topographic basedata should meet a variety of user requirements. To generate, maintain and handle the national topographic basedata in economic and effective way, the nationally supported research works on data model, structure and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should be intensively undertaken by government agency, research institute and university. This paper presents the technical definitions of conceptual and logical model for proposed data model representing digital map data. The key aspects of the proposed data model are flexibility for accommodating user requirements as well as step-by-step approach for modification as necessary m recent future. Conclusively, the proposed data model is a transitional data model between simple graphical model and object oriented data model.

  • PDF

Development of Finite Element Human Model for Crash Simulation (유한요소 인체 모델의 개발)

  • 이인혁;최형연;한동철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7 no.1
    • /
    • pp.50-64
    • /
    • 2004
  • 유한요소 인체모델은 인체의 기계적 특성을 수치 모형화 한 것이며, 외부로부터 다양한 기계적 하중을 받는 상황에서 인체의 거동과 상해와 같은 여러 현상들을 해석적으로 규명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인체 모델은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골격, 인대, 근육, 살, 장기 등의 특성을 수치적으로 정확히 표현하여야 한다. 그러나 인체는 매우 복잡한 메커니즘 속에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해석적으로 인체의 모든 특성을 구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인체 모델은 인체모델을 사용하고자 하는 상황이나 목적에 적합하도록 적절히 단순화되어야 한다.(중략)

A Comparative Study on Constitutive Equations of Human Blood (인체혈액의 구성방정식에 관한 비교연구)

  • 서상호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6 no.2
    • /
    • pp.157-164
    • /
    • 1994
  • 인체 동맥혈관내 혈액의 유동현상을 수치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혈액의 유변학 적 성질을 구성방정식으로 나타내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의 점성계수를 표현하기 위 하여 비뉴턴유체의 점성을 나타내는 식으로서 Carreau 모델, 수정 Cross 모델, 수정 Powell-Eyring 모델과 수정멱법칙모델을 사용하였고 원형관내 혈액의 정상유동을 수치모사 하기 위하여 겉보기점성계수를 이용하는 구성방정식을 운동량방정식에 적용하였다. Carreau 모델과 수정멱법칙모델을 적용할 때 레이놀즈수의 변화가 중심선상의 속도와 길이방향의 압 력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전단율이 높은영역에서 혈액의 겉보기점성계수를 효과 적으로 나타낼수 있는 수정멱법칙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n Accurate Numerical Model for Density-Dependent Groundwater Flow and Solute Transport (밀도가 변하는 지하수흐름과 용질의 수송을 위한 정확한 수치모델의 개발)

  • Park, Nam-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6
    • /
    • pp.753-759
    • /
    • 1997
  • A new numerical model was doveloped to simulate density-dependent ground water flow and solute transport. Accuracy of a numerical model depends upon how well it simulates advection dominant situations because numerical oscillations can spoil solutions for these situations. Nonlinear oscillation-absorption finite element method. based on the variational principle, was employed. Unlike previous numerical models, this model can easily be expanded for more complex situations. Accuracy of the model i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analytical solutions and results of other numerical model.

  • PDF

선호구조의 질적 순서화

  • Lee, Sang-Ha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6 no.2
    • /
    • pp.83-106
    • /
    • 2003
  • 선호구조의 논리를 결정모델에 적용시킬 때 선호구조는 일반적으로 특정 수치적 순서화 조건을 만족하게끔 표현된다. 그래야 주어진 선택지들을 둘러싼 개인 혹은 집단의 선호구조에 관한 정보가 형식적으로 표출될 수 있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선호구조의 수치적 순서화에 의해서만 선호관계의 정보가 형식적으로 표출될 수 있다는 성각은 일종의 독단이다. 더욱이 다양한 선택지의 결합에 의한 선호구조의 정보 이동은 기존의 수치적 순서화 속에서 제대로 다루어질 수 없다. 하나의 대안으로서 선형대수의 그래프이론에 바탕을 둔 선호구조의 질적 순서화 방식을 제안한다. 개인 혹은 집단의 선호구조에 관한 정보는 제안될 질적 순서화에 의해 보다 포괄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 PDF

Generation of a City Spatial Model using a Digital Map and Draft Maps (도화원도와 수치지도 기반의 도시공간모델 생성)

  • Oh, So-Jung;Kim, Seong-Joon;Choi, Kyoung-Ah;Lee, Im-Pye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86-89
    • /
    • 2008
  • 도시공간모델은 공간의 문제 또는 현상들을 보다 종합적, 합리적으로 파악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도와 도화원도로부터 저렴하고 수치지도 기반의 공간분석에 유용한 지형과 건물을 포함하는 도시공간모델을 생성하고자 한다. 도시공간모델은 지면모델과 건물모델로 나누어 생성한 후 통합한다. 지면모델은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DEM을 생성한다. 건물모델은 수치지도와 도화원도를 융합하여 생성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등포구 전체를 포함하는 수치지도와 서로 다른 시기에 생성된 3 set의 도화원도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성된 도시공간모델은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공간분석을 하는 응용분야에서 요구하는 입력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도시공간모델의 생성 방법론은 더 많은 분야의 공간분석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 PDF

Automatic generation of reliable DEM using DTED level 2 data from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기존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수치표고모델의 자동 생성)

  • Lee, Tae-Yoon;Jung, Jae-Hoon;Kim, Tae-J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6 no.2
    • /
    • pp.193-206
    • /
    • 2008
  • If stereo images is used for Digital Elevation Model (DEM) generation, a DEM is generally made by matching left image against right image from stereo images. In stereo matching, tie-points are used as initial match candidate points.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tie-points influence the matching result. DEM made from matching result has errors such as holes, peaks, etc. These errors are usually interpolated by neighbored pixel valu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M generation method combined with automatic tie-points extraction using existing DEM, image pyramid, and interpolating new DEM using existing DEM for more reliable DEM. For test, we used IKONOS, QuickBird, SPOT5 stereo images and a DTED level 2 data.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utomatically makes reliable DEMs. For DEM validation, we compared heights of DEM by proposed method with height of existing DTED level 2 data. In comparison result, RMSE was under than 15 m.

  • PDF

Normalized Digital Surface Model Extraction and Slope Parameter Determination through Region Growing of UAV Data (무인항공기 데이터의 영역 확장법 적용을 통한 정규수치표면모델 추출 및 경사도 파라미터 설정)

  • Yeom, Junho;Lee, Wonhee;Kim, Taeheon;Han, You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7 no.6
    • /
    • pp.499-506
    • /
    • 2019
  • NDSM (Normalized Digital Surface Model) is key information for the detailed analysis of remote sensing data. Although NDSM can be simply obtained by subtracting a DTM (Digital Terrain Model) from a DSM (Digital Surface Model), in case of UAV (Unmanned Aerial Vehicle) data, it is difficult to get an accurate DTM due to high resolution characteristics of UAV data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complex objects on the ground such as vegetation and urban structures. In this study, RGB-based UAV vegetation index, ExG (Excess Green) was used to extract initial seed points having low ExG values for region growing such that a DTM can be generated cost-effectively based on high resolution UAV data. For this process, local window analysis was applied to resolve the problem of erroneous seed point extraction from local low ExG points. Using the DSM values of seed points, region growing was applied to merge neighboring terrain pixels. Slope criteria were adopted for the region growing process and the seed points were determined as terrain points in case the size of segments is larger than 0.25 ㎡. Various slope criteria were tested to derive the optimized value for UAV data-based NDSM generation. Finally, the extracted terrain points were evaluated and interpol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terrain points to generate an NDSM.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agricultural area in order to extract the above ground heights of crops and check feasibility of agricultural monitoring.

Numerical Model Updating Based on Univariate Search Method for High Speed Railway Bridges (단변분 탐색법에 기초한 고속철도교량의 수치해석 모델 개선)

  • Park, Dong-Uk;Kim, Nam-Sik;Kim, Sung-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1
    • /
    • pp.17-27
    • /
    • 2014
  • Numerical model became one of most important tools for identifying the state of an existing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numerical analysis techniques. A numerical model should be updated based on the measured responses from the existing structure to accurately use the model for identifying the state of the bridge and executing numerical experiments. In this study, a new model updating method based on repetition method without a differential function is introduced and applicability for high speed railway bridge is verified with dynamic stability analysis. A fine measurement based on measurement points roaming method was executed with an wireless measurement system for precise 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The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were estima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a mode decomposition technique. An initial numerical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design drawings and the model have been upd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roduced model updating method. The results from numerical experiment and field test have been compared for verify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updating method. And the dynamic stability analysis has been executed to verify the usability of the updated numerical model and the model updating method. It seems that the model updating method can be used for various bridges after evaluation of applicability for other type bridges in further studies.

Excursion-Set Modeling of the Splashback Mass Function and its Cosmological Usefulness (Splashback 질량함수의 Excursion-Set Modeling과 우주론적 유용성)

  • Ryu, Suho;Lee, Joungh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44.3-45
    • /
    • 2021
  • 일반화된 excursion set 이론과 자기 유사 구형 유입(Self-similar spherical infall) 모형에 기반하여 Splashback 질량함수에 대한 해석적 단일 매개변수 모델을 착안하였다. Planck/WMAP7 관측결과를 토대로 구축된 EREBOS N-Body 시뮬레이션의 수치적 결과의 해석적 모델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단일 매개변수이자 Splashback 경계의 확산적 특성을 수치화하는 확산계수(Diffusion Coefficient)의 추정치를 계산하였다. 계산된 확산계수를 적용한 해석적 모델과 수치적 결과가 5 ≤ M/(1012h-1 M) < 103의 질량범위에서 매우 근접히 일치하는 것을 보였으며 Baysian and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검정을 통해 0.3 ≤ z ≤ 3의 범위에서 기존의 모델들보다 본 모델이 선호 돼야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확산계수가 적색편이에 대하여 선형진화에 근접한 변화를 보임을 발견하였으며, 특정 임계 적색편이(zc)를 기준으로 확산계수가 0에 수렴함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두 Planck모델과 WMAP7모델에서 도출된 확산계수는 서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는 암흑물질 헤일로의 splashback 질량함수가 z ≥ zc에서 매개변수가 없는 온전한 해석적 모델로 설명되고 zc가 독립적으로 우주의 초기조건을 독립적으로 특정지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님을 시사한다. 이 초록은 The Astrophysical Journal의 Ryu & Lee 2021, ApJ, 917, 98 (arxiv:2103.00730) 논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