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치감쇠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3초

에너지 감쇠영역으로 인한 파랑변형 (Wave Transformation Due to Energy Dissipation Region)

  • 윤종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5-140
    • /
    • 1999
  • 에너지 감쇠역으로 인한 파의 변형을 모의하기 위하여 타원형 수치모형을 구성하였다. 해석방정식은 에너지 감쇠항이 추가된 타원형 완경사 방정식을 사용하였다. 개방경계조건에는 포물형 가정을 도입하였고 이를 위해 수치기법으로는 GCGM을 사용하였다. 원형감쇠역에 대한 수치실험을 통하여 감쇠역 전부에서의 반사파의 생성, 감쇠효과에 의한 파고감소 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해석해와 잘 일치하였다. 사각형 감쇠역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감쇠계수의 크기에 따른 파고분포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감쇠역 주변에서는 회절효과에 의한 파고의 증가가 매우 완만히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수치실험을 통하여 에너지 감쇠구조 또한 반복기법을 사용한 타원형 수치모형으로 잘 모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강섬유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의 재료적 에너지감쇠에 대한 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 (Experiment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n Material Damping for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Beams)

  • 강보순;정영수;이우현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39-149
    • /
    • 1998
  • 동적하중하에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SFRC)는 유연도 및 균열억제에서 우수한 재료로서 최근에 각종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내진설계를 위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의 재료적 감쇠에 관한 규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SFRC)보의 재료적 감쇠효과증진을 실험적 및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섬유 보강콘크리트(SFRC)보의 감쇠거동은 인장철근비, 강섬유의 혼입량과 형태, 콘크리트의 강도 그리고 응력의 크기에 좌우된다.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보의 감쇠비는 보의 균열상태 변화에따른 동적실험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증가된 에너지감쇠능력으로 인장철근이 소성전 상태에서 철근 콘크리트보의 경우보다 향상된 감쇠거동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들 결과의수치해석적인 입증을 위하여 curvature(곡률)와 감쇠값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유한요소프로그램 (TICAL)을 개발하였으며, 결론적으로 0.44%인장철근비을 갖고 있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감쇠비는 하중상태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보의 경우보다 약 5%에서 35%정도 향상된 감쇠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점성 및 마찰감쇠가 있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등가감쇠비 (Equivalent Damping Ratio of a SDOF Structure Combined with Coulomb and Viscous Damping)

  • 성지영;민경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49-4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점성 및 감쇠가 있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등가감쇠비를 효율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건물에 설치된 마찰감쇠기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 정지와 운동의 상태를 반복하여 외부 입력에너지를 소산시키기 때문에 외력과 응답관계가 비선형이다. 마찰감쇠기가 설치된 단자유도 건물은 마찰감쇠기외에 점성감쇠가 동시에 존재하므로 해석적인 정해를 구하기가 어렵다. 등가감쇠비를 산정하기 위해서 첫째, 점성과 마찰감쇠가 있는 단자유도계 건물의 자유진동 정해를 통하여 변위응답과 가속도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자유진동의 경우 응답이 멈출 때까지 소산에너지식을 이용하여 등가점성감쇠비를 구하였다. 셋째, 조화가진 일 때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마찰력비 $F_r$에 따른 응답 특성을 알아보았다. 넷째, 조화가진의 경우 에너지 균형식을 바탕으로 등가점성감쇠비를 유도하였다. 등가점성감쇠비는 변위응답비의 영향을 받으므로 응답을 알아야만 구할 수 있다. 건물 응답의 진동수 특성은 협소영역(narrow band)이므로 고유진동수에 의해 지배된다고 가정하여 등가점성감쇠비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도한 자유진동과 조화가진의 등 가점성감쇠비를 이용한 등가선형운동방정식의 해를 비선형 수치해석 한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 PDF

비비례 감쇠시스템의 해석을 위한 효율적인 모드 중첩법 (Efficient Mode Superposition Method or Non-classically Damped Systems)

  • 조상원;조지성;이인원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89-9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비비례 감쇠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모드 가속도법(mode acceleration method)과 모드 절삭 보강법(modal truncation augmentation method)을 확장하고 그 사용성을 검증하였다,. 비례 감쇠시스템의 동응답해서에 널리 사용되는 모드 가속도법과 모드 절삭보강법은 누락된 고차모드의 영향을 보정하여 모드 중첩법의 결과를 개선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방법들로 비비례 감쇠시스템을 해석하는 경우 비비례 감쇠특성을 무시하지 않으며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모드 가속도법과 모드 절삭보강법을 확장하였다. 비례 감쇠시스템에서는 모드 가속도법보다 모드 절삭보강법이 더 효율적인 반면에 비비례 감쇠시스템에서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확장된 두 방법의 효율성이 동일하다. 그러나 수치적 안정성은 확장된 모드 가속도법이 모드절삭 보강법보다 우수하다. 이와 같은 확장된 모드 가속도법과 모드 절삭보강법의 사용성 검?을 위해서 이론적 방법과 수치예제를 수행하였다.

  • PDF

식생대의 거동을 고려한 파랑감쇠의 수치실험 (Numerical Experiment of Wave Attenuation considering Behavior of Vegetation Zone)

  • 정연명;허동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232-23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수치해석에서 적용할 수 없었던 식생대의 거동에 따른 파랑감쇠를 수치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파동장모델(LES-WASS-2D)과 개별요소법(DEM)의 양방향 연성해석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적용하는 양방향 연성해석기법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식생을 이용한 파랑감쇠 특성에 관한 수리모형실험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식생대의 높이, 분포, 간격 및 입사파랑조건에 따른 거동 및 파랑감쇠특성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식생대의 높이가 길어질수록, 분포가 늘어날수록, 간격이 좁아질수록 3~4%정도 파랑감쇠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성 수치모델이 식생대의 거동에 따른 파랑감쇠 예측에 적용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MR 감쇠기와 FPS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면진장치의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f Hybrid Base-isolator with Magnetorheological Damper and Friction Pendulum System)

  • 김현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통권42호
    • /
    • pp.7-1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면진장치가 설치된 단자유도 구조물의 동적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수치해석모델을 제안한다. 하이브리드 면진장치는 MR 감쇠기와 마찰진자시스템(FPS)으로 구성된다. MR감쇠기의 동적거동을 모형화하기 위하여 뉴로-퍼지 모델을 사용한다. 다양한 변위, 속도, 전압의 조합을 사용하여 MR 감쇠기의 성능실험을 수행한 후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MR 감쇠기 뉴로-퍼지 모델을 ANFIS로 학습시킨다. FPS의 모형화는 본 연구에서 유도한 비선형 모델식에 근거하여 뉴로-퍼지 모형화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MR 감쇠기로 전달되는 제어전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퍼지논리제어기를 사용한다. 다양한 지진하중을 사용한 진동대 실험을 통하여 얻은 실험체의 동적응답과와 뉴로-퍼지 모형화방법을 사용한 수치해석의 결과를 비교한다. 뉴로-퍼지 모델을 사용하여 MR 감쇠기와 FPS를 모형화해서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하이브리드 면진장치의 동적거동을 매우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지반특성에 따른 동조질량감쇠기의 지진응답특성 및 최적설계변수 (Investigation on Seismic-Response Characteristics and Optimal Design Parameters of Tuned Mass Damper Considering Site Effects)

  • 강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06-5313
    • /
    • 2011
  • 기존 동조질량감쇠기의 최적설계변수에 관한 연구는 풍하중과 같은 조화하중을 받는 구조물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동조질량감쇠기의 최적 감쇠비와 동조진동수비를 구하였다. 지반특성을 단단한 지반, 연약지반, 단층 근처 지반으로 분류하고, 이들 지반특성을 고려한 수치해석을 통해 구한 동조질량감쇠기의 설계변수를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치해석결과 본 연구로부터 구해진 동조질량감쇠기의 설계변수값을 적용한 경우 지진하중에 의한 응답제어에 기존 연구를 통해 얻어진 변수값을 적용한 경우에 비해 더 나은 제어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소실에서 1/4파장 공명기의 주파수 동조에 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Acoustic Tuning of Quarter-Wave Resonators in a Model Combustion Chamber)

  • 박주현;박이선;손채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1-284
    • /
    • 2009
  • 로켓엔진 연소기의 연소 불안정 억제를 위해 연소 상황에서의 1/4파장 공명기의 주파수 동조를 수치적으로 연구하였다. 상온 음향 시험을 통해 도출된 최적 감쇠 조건을 충족시키는 사양의 1/4파장 공명기를 채택하였다. 먼저, 실규모 연소실의 조건을 모사한 모형 연소실에서의 연소장을 수치해석하여 기본 음향파 응답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이 연소실에 음향 공명기를 장착하여 공명기 내부 물성치를 예측하였다. 이러한 기본 데이터를 토대로 특정 음향 모드를 감쇠시킬 수 있는 주파수 동조 방안을 연구하였다. 각 공명기 내부의 물성치를 토대로 공명기를 개별 공명기의 최적 동조 길이로 설계할 경우에 충분한 감쇠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설계의 편의를 위해 모든 공명기를 동일길이로 설정한 경우, 길이에 따른 감쇠성능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최적의 동조길이를 찾을 수 있었다.

  • PDF

모형 연소실에서 연소 불안정 억제를 위한 1/4파장 공명기의 동조 방법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Quarter-Wave Resonator Tuning for Suppression of Combustion Instability in a Model Combustion Chamber)

  • 박주현;박이선;손채훈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
    • /
    • 2010
  • 로켓 엔진의 연소불안정을 제어하기 위해 연소실에 1/4파장 공명기가 장착된 경우의 음향감쇠 특성을 수치해석적으로 조사하였다. 모형 연소실에서의 연소장을 수치해석하여 기본 음향파 응답특성을 분석하였고, 기존 공명기 설계안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 연소실에 음향공명기를 장착하여 공명기 내부 물성치를 예측하였다. 이를 토대로 음향모드를 감쇠시킬 수 있는 주파수 동조 방안을 연구하였다. 공명기 내부의 물성치를 토대로 각 공명기를 최적 동조 길이로 설계할 경우에 충분한 감쇠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또다른 설계안으로 모든 공명기를 동일 길이로 설계한 경우의 길이에 따른 감쇠성능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최적의 동조길이를 찾아낼 수 있었다.

초음파 감쇠가 원형관의 공명 산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ial Attenuation on Acoustic Resonance Scattering from Cylindrical Tubes)

  • 이종포;최명선;주영상;임형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3-31
    • /
    • 1994
  • 재회의 초음파 감쇠가 유체속의 원형관으로부터의 공명 산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수 파수 대신에 복소수의 허수부가 초음파 감쇠를 나타내는 복소수 파수(complex wave numbers)를 도입하였다. 유체가 들어있는 원형관에 대해 재료의 감쇠를 고려했을 때, 연속 평면파에 의한 물속에서의 공명 산란 특성을 분석하는 수치 해석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감쇠를 무시한 경우의 수치 해석 결과를 기 보고된 수치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알루미늄 및 아크릴 원형관의 감쇠가 이들 원형관의 산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한 결과, 공명피크의 폭이 좁고 예리할수록, 또한 $k_{1{\alpha}}$가 클수록 감쇠의 영향이 뚜렷하였다. 원형관의 공명 산란 특성이 초음파 감쇠에 크게 좌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