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출구조변화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산업구조조정(産業構造調整)의 성과(成果)와 정책적(政策的) 시사점(示唆點)

  • Seong, So-M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3_4
    • /
    • pp.129-181
    • /
    • 1996
  • 산업구조변화의 일반적인 추세는 나라마다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국가별, 산업별로 관찰해 보면 구조변화의 방향과 경로가 상당히 다양할 뿐 아니라 구조조정의 성과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고(本稿)에서는 한국의 산업구조변화가 산업특성별로 어떻게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선진국들과 비교할 때 어떤 다른 특징이 관찰되는지를 검토함으로써 구조조정의 내용과 성과를 평가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구조조정의 성과에 대한 평가의 근간은 "경제발전의 원동력은 혁신능력에 있다"는 "슘페터"의 명제에 두고 있다. 혁신집약적 산업활동의 비중변화를 기준으로 산업구조조정의 성과를 분석함에 있어 다음의 두가지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첫째, 혁신집약적 산업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어떤 지표를 사용할 것인가, 둘째 혁신집약적 산업활동을 어떤 수준으로 분류할 것인가이다. 본고(本稿)에서는 산업별 연구개발 집약도를 혁신집약적 산업활동의 대용변수로 사용하여 혁신집약도의 정도에 따라 산업을 첨단기술산업, 중간기술산업, 재래기술산업의 세가지로 나눈 다음 수출구조변화, 생산 고용 부가가치 구조변화,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제조업 수출에서 차지하는 첨단기술산업의 비중을 기준으로 한다면 구조고도화는 매우 빠르게 진전되었다. 첨단기술산업은 수출비중도 높지만 수입침투율도 가장 높다. 특히 수출주도의 고성장이 이루어졌던 1986~88년, 1994~95년 기간에 수출구조의 고도화도 급격히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해외경쟁에 노출되어 있는 수출부문이 제조업 구조고도화를 선도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수요를 포함한 한국 제조업 전체의 생산, 고용, 부가가치 구조를 분석해 보면 수출부문에 비해 구조조정 성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 PDF

Empirical Analysis of Export Structure Change and the Role of R&D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통신산업 수출성과변화 및 R&D 역할에 대한 실증분석)

  • Cho, Sang-Sup;Lee, Jung-Man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2
    • /
    • pp.300-308
    • /
    • 2010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xport structure change of OECD countri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from 1995 to 2005. We used Between and Within Entropy index to estimate the difference of export structure change rather than RCA index(simple export structure change). In addition, we als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D activities and export difference. First, empirical findings showed that IT export market concentration is decreasing gradually, and changing to more competitive market structure. Second,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Korean exports weigh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can be seen higher than that of bio-industry. Third, Entropy index was increased from 1995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as the starting point of 2000.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R & D activities in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nd impact of the export structure changes was a positive.

한(韓)·일경제(日經濟)의 산업성장(産業成長)과 생산구조변화(生産構造變化)의 要因分析(요인분석)

  • Lee, Jin-Myeon;Fujikawa, Shuj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9 no.2
    • /
    • pp.213-268
    • /
    • 1997
  • 일국(一國)의 경제발전(經濟發展)은 경제적 진보와 근대화를 수반하는 역사적 현상이지만 구체적으로는 산업구조(産業構造)의 변화(變化)에 의한 생산(生産)과 소득(所得)의 증가(增加)라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경제발전과정에 수반되는 경제성장과 산업구조변화에 대한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 것은 양국경제의 발전현상을 이해하고, 향후의 경제정책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비례적(比例的) 성장(成長)으로부터의 편차(偏差)(DPG)" 방법을 일본의 경우는 1915~90년, 한국은 1960~90년까지의 장기적인 산업연관자료에 적용하여 양국의 산업성장과 산업생산구조변화에 대한 요인을 수요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우선 양국경제의 산업생산구조 및 주도산업의 변화는 시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만 분석기간중 양국 모두에서 농림수산업은 계속해서 생산비중이 줄어들고 있고, 경제성장을 주도한 산업이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으로, 그리고 중화학공업에서도 중공업으로 이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는 1970년대에는 생산자서비스부문을 중심으로, 그리고 1980년대에는 소비자서비스부문을 중심으로 "경제의 서비스화"가 진전되어 서비스산업이 주도산업으로 부상되고 있으나, 한국경제에서는 1990년까지도 서비스산업의 확대가 관측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한국경제의 산업생산구조에 있어서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이 점차 커질 것이며, 특히 "경제의 서비스화"가 생산자서비스부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양국의 성장패턴을 살펴보면, 일본의 경우는 시기별로 성장요인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대체로 수출보다는 국내수요(國內需要)가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경제의 성장의 성장에는 수출과 투자의 역할이 중요했으며, 특히 수출은 분석기간중 지속적으로 정(正)의 효과(效果)만을 보여 경제성장의 견인차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까지 한국경제의 성장에 있어서는 수입대체보다는 수출확대를 통한 중화학공업의 육성이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수출주도적인 중화학공업의 성장패턴은 현재 국내수요(國內需要)의 규모(規模)와 산업구조변화를 일본의 경우에 비추어볼 때, 향후 몇 년 동안은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ructural Changes of Exporting Industries and their Change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Korean Manufacturing (한국 제조업 내 수출산업의 변화와 산업별 총요소생산성 변화 분석)

  • Kim, Tae-Gi
    • Korea Trade Review
    • /
    • v.41 no.5
    • /
    • pp.353-37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nge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the difference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between exporting industries and import substituting industries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from 1980 to 2013.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over half of total 13 industries have experienced changes of direction from import to export or export to import, which implies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structural change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The output growth rates are higher in exporting industries than in import substituting industries. All industries employ more capital than labor during the period, which means that production methodology in Korean industries changes to a more capital intensive one. Finally, the growth rat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s higher in exporting industries than in import substituting industries, and it is also proved in panel regression analysis.

  • PDF

A Statistical Modeling for the Economic Interpretation of Centrality in the International Arms Export (세계 무기 수출 중심성에 관한 통계적 분석과 경제적 의미)

  • Park, Joonsoo;Kim, Sung-Chul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5 no.1
    • /
    • pp.177-202
    • /
    • 2020
  • We propose the statistical modeling and empirical results that can be utilized to identify and interpret the structural factors of international arms exports in recent years. The building blocks of research comprise the following questions; which would be the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changing trend of international arms exports, wheth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can be verified on those variables and how those are interpreted for the future policy making purpose. We use the dataset of top 40 countries from SIPRI's Arms Transfers Database and analyze several regression models which consist of explanatory variables derived from research hypotheses. The most noticeable result is that the national fiscal reserve is shown to have consistent influence on the arms exports changes. UN security council members' group also has dominant power to make a formation of arms exports market block. Furthermore, gross domestic product and net exports volume in the national economy would seem to be related to changes of international arms exports in post-2000 period as well.

3년 연속 9%대의 경제성장과 30%대의 수출증가 유무에 관심 고조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1
    • /
    • pp.22-25
    • /
    • 2006
  • 2006년에는 특히 혁신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정책을 추진예정인 중국은 외자기업의 모회사와 자회사간 이전가격조사, 인민폐 외채 관리 강화를 통해 외자기업에 대한 관리를 전반적으로 강화하고 기존의 제조업 중심의 외자유입 체제를 서비스산업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중국 현지의 한국기업들은 중국정부의 정책변화에 부응하여 기존의 수출지향형 생산구조를 내수시장 진출형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국의 수출구조 고도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중 수출제품의 첨단화를 추진해야 한다.

  • PDF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tructure and Conduct Methods of the World Rice Market: Focusing on the Top 4 Major Rice Exporting Countries (국제 쌀 시장에 대한 구조와 행위 분석: 주요 쌀 수출국들을 중심으로)

  • Kang, Hyunsoo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3 no.3
    • /
    • pp.93-11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orld rice market through structure and conduct frameworks utilizing annual data from 1970 to 2007. The world rice market has been unstable for much of the period post-World War II, with prices volatile and the availability of supplies uncertain. Therefor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conduct of the world rice market can provide information to better formulate the direction of future policies. Also, this paper will describe the effects of total production, export rice price, market concentration, and real exchange rate for exporting countries on total export rice volume. On basis of the expected results, the international rice market possesses market power with respects to static calculation and hypothesis test, and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exporting countries' currency crucially affects the exporting quantity and market power of those same exporting countries.

Study on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of the Three Sector Trade Company for Export Buildup of Small and Midium Enterprises (지역중소기업의 수출진흥을 위한 제3섹터방식 무역회사 운영 합리화방안에 관한 연구)

  • Jang, Yeong-Cheon;No, Chang-G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221-249
    • /
    • 2006
  • 최근 세계는 경제블록화가 급속한 진행되는 한편 EU가입국의 확대, 중국의 WTO 가입을 비롯하여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무역 패러다임의 변화 등으로 급격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무역환경의 변화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폭넓은 무역지원정책을 추진하고 무역관리체계를 정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만큼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중소기업들은 국내외 경기의 지속적인 침체로 점차 해외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수출진흥을 위한 정책지원 전략은 무역환경의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무역중소기업의 무역마케팅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데 궁극적인 목표를 두고 현장실무지원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수출지원사업 실행방안을 마련하는 일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수출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부 수출지원사업 활용현황과 무역진흥정책 추진에 따른 향후과제를 검토 분석해보고, 나아가 기업들과 정부 유관기관과의 협력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 PDF

우리나라 경상수지흑자(經常收支黑字)의 실증적(實證的) 분석(分析)

  • Park, Won-Am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1 no.2
    • /
    • pp.65-88
    • /
    • 1989
  • 본고(本稿)는 1986년 이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흑자(經常收支黑字) 및 수출입행태(輸出入行態)를 실증적(實證的)으로 분석(分析)하고 그 원인(原因)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86년의 해외여건호전(海外與件好轉)으로 경상수지(經常收支)가 흑자(黑字)로 반전하게 되자 1987년 이후에는 원화(貨)를 상당히 절상(切上)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상수지흑자감소(經常收支黑字減少)의 효과가 1988년까지는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환율(換率)의 변화를 수출가격(輸出價格)에 100% 전가(轉嫁)하지 않으려는 기업(企業)의 가격결정정책(價格決定政策)으로 수출물량감소(輸出物量減少)가 지연되고 원화절상(貨切上)의 J-커브효과(效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한편 1986년 이후 경상수지흑자기조하(經常收支黑字基調下)에서 수출입행태(輸出入行態)와 구조적(構造的) 안정성(安定性)을 계량적(計量的) 방법(方法)으로 검증한 결과 검증방법(檢證方法)에 따라 구조적(構造的) 안정성(安定性)의 가설(假設)이 기각되기도 하였는데 특히 수출단가(輸出單價) 및 수입물량결정행태(輸入物量決定行態)의 경우 1985년 이전에 비하여 구조적(構造的)으로 상당한 변화(變花)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 PDF

Korea's Employment Embodied in Exports: a Multi-Regional Input-Output and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우리나라 수출의 고용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다지역산업연관 및 구조적 요인분해 분석을 중심으로)

  • Kim, Tae-jin
    • Economic Analysis
    • /
    • v.26 no.4
    • /
    • pp.65-9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xports on Korea's employment and to decompose driving factors of change in Korea's employment embodied in exports (EEX). This study uses a multi-regional input-output (MRIO) and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SDA) for empirical analysis, and uses a dataset of World Input-Output Tables (WIOTs) and Socio-Economic Accounts (SEAs) from the World Input-Output Database (WIOD). The main findings of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s EEX continues to increase and Korea's share of EEX compared to total employment shows an upward trend. However, Korea's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of value-added exports showed a downward trend during the 2000-2014 period. Second, final demand from three countries (China, the United States, and the Rest of the World (RoW)) has affected a significant portion of Korea's EEX. Finally, from the results of the SDA, the effect of changes in final demand was the most important driving factor for the increase in Korea's EEX.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discusses useful policy implications that could increase domestic employment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