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축저감 콘크리트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2초

수축저감제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특성 (Shrinkage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Shrinkage Reducing Agent)

  • 고경택;김도겸;한천구;이장화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81-188
    • /
    • 2005
  • 고성능 콘크리트는 물-결합재비를 작게 하고, 단위 결합재량을 다량으로 사용하여 제조하므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자기수축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을 저감시키는 기술을 구축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글리콜즈계 수축저감제가 물-결합재비 30%의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건조수축과 자기수축은 수축저감제 혼입률 0.5%와 1.0%에서 플레인 콘크리트에 비교하여 20~35% 정도가 저감되었다. 따라서 수축저감제의 사용은 고성능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자기수축을 저감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분석되었다.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 특성 (Shrinkage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Used Expansive Additive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 고경택;박정준;류금성;강수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A호
    • /
    • pp.787-794
    • /
    • 2006
  • 고성능 콘크리트는 물-결합재비를 작게 하고, 단위결합재량을 다량으로 사용하므로 콘크리트의 수화열 및 자기수축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저감 기술을 구축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팽창재와 수축저감제 사용이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팽창쟁와 수축저감제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을 저감시키는 데 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수축 저감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공성, 강도 및 수축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팽창재 5.0%와 수축저감제 1.0%의 조합이 적정배합으로 분석되었다.

팽창재 및 수축저감제를 이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특성 (Properties on the Shrinkage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Expansive Additive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 한천구;김성욱;고경택;배정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785-79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실리카 퓸 등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하는 고성능 콘크리트에서 자기 및 건조수축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팽창재, 수축저감제 및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병용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팽창재 및 수축저감제 혼입은 적정 혼입률 범위내에서 유동성 및 공기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재령 91, 180일의 강도발현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팽창재 5%, 10%에서는 플레인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자기수축을 32∼68%, 건조수축은 25∼4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축저감제 혼입률 0.5%, 1.0%에서는 플레인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자기수축은 18∼34% 및 건조수축은 16∼26% 저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병용한 경우의 EA-SR배합에서는 수축저감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실리카 퓸 등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병용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콘크리트용 고성능 수축저감제 개발에 대한 기초적 특성 (Fundamental Properties on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Shrinkage Reducing Agent for Concrete)

  • 박종필;정용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298-4307
    • /
    • 2015
  •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에 따른 성능저하로 유지 보수나 보강등에 상당한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고유 특성인 균열 저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장기간 운영에 따른 지하 전력구의 노후화로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상존함에 따라 전력구 설계단계에서 균열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저수축 콘크리트용 수축저감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에 따른 균열을 방지하고자 균열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저수축 콘크리트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수축저감 물질을 선정하고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특성을 검토한 결과 클리콜계의 경우 압축강도 특성 및 건조수축 길이변화 실험결과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수축저감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수축저감제의 범용적인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수축저감제의 사용량 및 사용재료 변화 등에 대한 다양한 재료변수 요인 검토를 통하여 수축저감제의 성능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 저감 기술 (Technology on the Shrinkage Reduction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 고경택;류금성;강수태;박정준;김성욱;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101-1104
    • /
    • 2008
  • 최근 고강도 콘크리트 및 자기충전 콘크리트와 같은 고성능 콘크리트가 적용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런 고성능 콘크리트의 요구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물-결합재비를 작게 하고, 단위 결합재량을 다량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고성능 콘크리트는 시멘트 수화반응에 관계된 자기수축이 크게 증가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자기수축만으로도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재료와 배합이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특성에 미치는 영향, 팽창재와 수축저감제의 사용에 의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저감 기술을 소개하였다.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는 자기수축이 크게 증가되어 경우에 따라서 자기수축만으로도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수축저감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조기강도 개선제를 활용한 고성능 수축저감제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High Performance Shrinkage Reducing Agent using Early Strength Improving Agent)

  • 박종필;정용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96-302
    • /
    • 2016
  •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로 인한 균열의 보수 및 보강에 소요되는 비용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비용 증대로 연결되어 균열발생 저감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전력공급용 시설인 전력구의 경우 지하 매설물이므로 보수 및 보강은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된다. 그러므로 지하매설 전력구의 경우 효과적인 균열 저감 방안이 설계 초기단계부터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전력구용 저수축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수축저감제 개발의 일환으로 수축저감제 사용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 개선을 위해 TEA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TEA를 수축저감제의 3% 사용할 경우 조기 강도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수축저감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TEA 3 %에 수축저감제 2.0 % 혼합하여 적용하였을 경우 압축강도 특성 및 건조수축 길이변화 실험결과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수축저감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수축저감제의 범용적인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수축저감제의 사용재료 변화 등에 대한 다양한 재료변수 요인 검토를 통하여 수축저감제의 성능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축저감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diction of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using Shrinkage Reducing Agent)

  • 서태석;최훈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7-303
    • /
    • 2016
  • 콘크리트 건조수축 균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수축저감제(SRA)가 개발되었다. SRA는 콘크리트 미세공극의 표면장력을 작게 하여 수축량을 감소시키며, 콘크리트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SRA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건조수축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SRA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예측방법이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SRA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량적인 사용성 한계의 검토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RA 콘크리트의 정량적인 건조수축 변형률 예측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건조수축실험값과 기존 모델에 의한 예측값을 비교하였다. 기존 모델에는 SRA의 영향을 고려할 수 없으므로,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SRA 첨가율에 따른 수축저감계수를 도출하였고 기존 모델에 수축저감계수를 적용하여 예측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AIJ 모델, ACI 모델, GL2000 모델은 ${\pm}10%$의 오차범위 내에서 예측값과 실측값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CEB-FIP 모델과 B3 모델은 예측값이 실측값을 과소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축저감제와 팽창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Shrinkage Reducing Admixture and Expansive Additive)

  • 정양희;송영찬;김용로;한형섭;김욱종;이도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919-922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국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등에 설치하는 지연 조인트에 적용할 콘크리트의 수축저감을 위한 연구로서, 팽창재와 3가지의 수축저감제를 단독 또는 병용하여 혼입할 경우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및 수축 특성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 팽창재는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수축저감제의 경우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증진시켜 고성능 감수제의 혼입량을 0.05$\sim$0.1%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팽창재를 혼입할 경우 경화 콘크리트의 압축, 인장 및 휨강도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수축저감제를 단독 또는 팽창재와 병용 혼입한 경우에는 압축, 인장 및 휨강도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조수축에 의한 길이변화율 측정결과, 수축저감제 중 SRA3을 2.0% 혼입한 경우 길이변화율 감소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팽창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팽창재와 SRA1, 2, 3을 병용 혼입한 경우에는 비슷한 감소 효과를 보였다.

  • PDF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병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특성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Combining Expansive Additives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 한천구;한민철;송승헌;윤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397-40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저감을 위해 사용되는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병용한 콘크리트의 배합 특성, 응결시간, 압축강도 및 건조수축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팽창재와 수축저감제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유동성은 저하하여 SP제량을 증가시켜 주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공기량은 증가하여 AE제 사용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결시간은 SP제량의 사용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약간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수축저감제의 알칼리 성분 및 팽창재의 에트린자이트 생성 촉진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압축강도는 팽창제 혼입률 5.0%를 사용한 경우에서 최대가 되었고 그 이상의 혼입률에서 저하하였으며, 수축저감제는 혼입률 증가에 따라 저하하였는데, 팽창재와 수축저감제 혼입률이 각각 5.0%, 0.5%에서 플레인과 거의 같은 수준 강도를 나타내었다. 건조수축 특성으로는 팽창재와 수축저감제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건조수축을 크게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팽창재 및 수축저감제를 병용할 경우 복합상승 효과에 기인하여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보다 약 $5{\sim}16%$정도 건조수축이 추가적으로 저감함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유동성, 강도 및 수축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본 연구의 실험 조건에서는 팽창재 5.0%, 수축저감제 0.5%인 조합이 최적의 혼입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말형 수축저감제와 플라이애쉬가 혼입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거동 (Drying Shrinkage Behaviors of Concrete with Powder Type Shrinkage Reducing Agent and Fly Ash)

  • 민경환;이동규;최홍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535-354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을 저감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분말형 수축저감제와 플라이애쉬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특성에 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축저감제와 플라이애쉬로 각각 2% 및 20%씩 시멘트를 대체한 배합에 대해, 강도 실험과 수축실험을 실시하였다. 역학적 특성은 목표 강도를 획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비구속 수축실험 결과 수축저감제가 약 $200{\mu}{\varepsilon}$의 건조수축 감소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링테스트에서는 수축저감제를 적용한 배합은 인장크리프 효과로 인해 균열 발생시기가 약 2배 정도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