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질평균농도

Search Result 44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in the Shallow and Hypertrophic River (Seonakdong River) (서낙동강에서 식물플랑크톤의 1차 생산성)

  • Jeon, Seung-Il;Cho, Kyung-Je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7 no.1 s.106
    • /
    • pp.57-63
    • /
    • 2004
  •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was measured by $^{14}C$ method from January to October of 1996 in Seonakdong River. This river was a highly productive freshwater showing the euphotic depth of 1.4 m in August and 2.1 m in the remaining season. Chlorophyll-a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67 ${\mu}g\;L^{-1}$ to 894 ${\mu}g\;L^{-1}$ and showed the great increase in August. Maximum specific productivity was 2.1 ${\sim}$4.3 mg C mg $chl-a{-1}\;hr^{-1}$ and occurred above 0.4m depth. In photosynthesis-irradiance relation, photoinhibition or photosynthetic suppression of phytoplankton occurred clearly in the cold seasons, while phytoplankton (mainly Microcystis aeruginosa and its relatives) in August did not show any symptom of the photosynthetic inhibition against the high irradiance. The specific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was eventually dependant upon incident irradiance to show the linear correlation with received irradiance infield, and the areal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upon chlorophyll-a standing crops. In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phytoplankton productions have linearly increased since the estuarine barrage construction to reflect the gradual eutrophication in the estuarine area. Average chlorophyll-a increase of 10 ${\mu}g\;chl-a\;L{-1}$ absolutely corresponded to the primary production acceleration of 30 mg C $m^{-2}\;day^{-1}$ on the annual basis.

Removal of Color and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from biologically treated effluent by coagulation. (응집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 제거)

  • Seo, Tae-Gyeong;Park, Sang-Min;Park, No-Baek;Jeon, Ha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59-863
    • /
    • 2008
  • 축산폐수, 침출수 등의 고농도 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경우 최종 방류수는 강한 색도를 띠며 고분자량의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다. 이는 생물학적으로 분해하기 어려운 유기성 복합체와 생화학적 반응에 의한 중간생성물로 색도를 띠는 천연유기물질(NOM)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는 심미적인 불안감, 방류수역의 수질오염 및 공중보건상의 잠재적 위해성을 갖는다. 또한, 수자원 이용측면에서 정수처리공정에서의 약품투입량 증가와 특히, 소독부산물 생성이라는 잠재적 문제점이 뒤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후속처리가 요구되며, 실제로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 막 분리, 고급산화(AOP) 및 화학적 응집 등의 물리-화학적 공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특히, 화학적 응집은 무기응집제 또는 고분자중합체(Polymer)를 이용하여 콜로이드성 입자와 색도를 띠는 난분해성 유기물을 전기적 불안정화를 유도함으로서 흡착 및 응집과정을 통해 제거하는 공정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제거는 대상원수의 성상과 화학적 특성 등에 따라 각각의 제거효율과 최적 운전조건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화학적 응집공정은 비교적 높은 제거효율을 보이지만, 운전 및 유지관리의 기술적 어려움, 경제적 비효율성 등으로 인하여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혐기-호기성 공정에서 방류되는 축산폐수의 2차 처리수를 대상으로 화학적 응집에 의한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의 제거거동을 고찰하였다. 대상 처리수의 $TCOD_{Cr}$ 농도는 평균 410 mg/L인 반면, $BOD_5$는 7-15 mg/L 범위로 난분해성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Al_2(SO_4){\cdot}14H_2O$)과 염화철(ferric chloride)의 무기응집제를 이용하여 자 테스트(jar test)를 수행한 결과, 동일한 응집제 주입량에서 염화철의 유기물 제거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산알루미늄과 염화철의 경우 각각의 응집제 주입율 5.85mM에서 89%, 7.03mM에서 97.5%의 최대 유기물 제거효율을 보여주었으며, 이 때 최종 pH는 4.0-5.6 범위이었다. 한편, 대상 원수 내의 콜로이드성 입자 또는 용존성 유기물의 작용기(functional group)는 일반적으로 음으로 하전 되어 있어 응집에 의해 잘 제거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량의 응집제를 주입하여 다가의 양이온성 금속염을 흡착시켜 전기적으로 중화시키고, 생성된 침전성 수화물 내에 포획 또는 여과시켜 제거하게 된다. 이 때, 금속염 수화종의 전하밀도가 응집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다가의 양이온은 전기적 이중층(Double layer) 압축에 의한 불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다. 또한, 2가 금속염은 색도유발물질과 흡착하여 humate 또는 fulvate 등의 착화합물(complex)을 형성시켜 응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화학적 응집처리에 있어서 알루미늄염 등의 다가이온 첨가가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후속되는 플록형성 및 침전공정에 의한 제거효율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2차 처리수로부터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with respect to Pavement Types (도로 포장방법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비교)

  • Kim, Cheolmin;Choi, Jiyeon;Lee, Jung Min;Cho, Hyejin;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3
    • /
    • pp.423-429
    • /
    • 2014
  • Due to high imperviousness rates of the roads, various pollutants originated from vehicle activities and air depositions are accumulated on the road surfaces. The washed-off pollutants can deteriorate the water quality and destroy the aqua-ecosystems with their toxicity. Usually the roads are paved with asphalt and concrete, which can affect on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with different frictional forces. Therefore, this research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fluences of different pavement type on discharged concentrations of pollutant. The results shows the first flush phenomenon was occurred on both pavement types. However, peak concentrations are higher in concrete pavement areas than asphalt pavement because concrete pavement has high contact area with vehicles. The EMCs(Event Mean Concentration) also shows high values in concrete paved road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e pavement type is also one of the important affecting factors on pollutant emissions from the roads.

산업의 주식시장 선행성에 관한 소고(小考)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7.04a
    • /
    • pp.471-476
    • /
    • 2007
  • 본 논문의 목적은 과거의 산업 포트폴리오 수익률이 확률추세로부터 어떻게 전체 주식시장과 두 가지 거시경제 변수인 경기동행지수와 산업생산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세 가지 검정절차를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당월의 전체 주식시장 수익률은 과거의 시차를 지닌 특정 산업부문 포트폴리오 수익률에 대하여 양(+)의 상관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예측 1'과 전체 주식시장의 수익률은 특정 산업부문의 수익률에 대하여 선행성을 지닐 수 없다는 '예측 2'에 대한 검정 결과는 '예측 1'과 '예측 2'가 지지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산업별 포트폴리오 수익률과 거시경제변수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토대로 하여 전체주식시장 수익률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업종 정보의 점진적 확산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각 산업들의 포트폴리오 수익률과 전체 주식시장 수익률이 VAR모형을 토대로 볼 경우 Granger 인과관계를 갖고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1개 업종은 각 산업별 포트폴리오 수익률이 전체 주식시장 수익률을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21개의 산업별 포트폴리오 수익률은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 산업제품의 가격 상승과 하락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음료 업종에서 전체 주식시장 수익률과 상호간의 인과성을 나타내었으며, 인터넷과 화장품 업종에서는 전체 주식시장 수익률이 이들 업종에 대하여 일방적인 영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mgN\;{\cdot}\;L^{-1}$ 및 0.000-0.804 $mgN\;{\cdot}\;L^{-1}$이였다. 규소농도는 0.0-6.2 $mgSi\;{\cdot}\;L^{-1}$의 범위로 3-5월에 매우 낮았으며,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히 나타났다. 저질의 입자는 0-125인 silt및 coarse silt로 이루어져 있으며, COD는 51.4-116.9 $mgO_2\;{\cdot}\;gdw^{-1}$로 평균 93.0 $mgO_2\;{\cdot}\;gdw^{-1}$ 이였다. 저질내의 TP및 TN의 농도는 각각 0.04-1.46 $mgP\;{\cdot}\;gdw^{-1}$ 및 0.12-1.03 $mgN\;{\cdot}\;gdw^{-1}$이었다. 표층의 엽록소 a의 정점별 평균값은 정점 1, 2 및 3에서 각각 15.6, 15.2 및 16.0 $mg\;{\cdot}\;m^{-3}$으로 유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49종이 출현하였으며, 생물량은 50-23, 350 cells ${\cdot}\;mL^{-1}$로 2001년 9월에 가장 많았다. 이 시기의 우점종은 녹조류인 Schroederia judayi이였으며, 생물량은 20,417 cells ${\cdot}\;mL^{-1}$이였다. 송지호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화학성층을 파괴시켜 심충에 용존산소를 공급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모래톱으로 인해 막혀져 있는 해수

  • PDF

A Study on the Impacts of Paste Type Torrefied Wood Flour Coagulants on Water Ecosystem (반탄화목분 Paste상 응집제의 수생태계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ANG, Seung Min;LEE, Seok Eon;PARK, Hae Keum;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7 no.6
    • /
    • pp.709-720
    • /
    • 2019
  • Due to global warming and abnormal climate, the incidence and scale of green tracts in rivers and water intake dam are increasing every year. Therefore, in this study, developed eco friendly positively charged Torrefied Wood Flour(TWF) coagulant by reusing wood damaged by blight as a natural material.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coagulant on water ecosystem, green algae contaminated water was collected and TOC showed high removal rate of 86% ~ 92% under 1% and 5% TWF C-PAM treatment condition. The $NH_3-N$ showed 53% removal efficiency. The average pH of the polluted water was 7.9 in the case of hydrogen ion concentration, and the pH of the treated water was in the range of 6.5 ~ 7.7, It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water quality standards. In ecotoxicity tests, al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both the number of green algae and that of treated water were not affected by the survival of the daphnia. Therefore, as a result of the analyzing, developed paste type TWF coagulants is considered to be able to remove algae using natural resources.

Risk Assessment of Arsenic-Contaminated Groundwater in Multiple Scenarios in a Rural Area of Gyeongnam Province, Korea (경남 농촌 지역 비소 오염 지하수의 시나리오별 위해성 평가)

  • Oh, Serim;Lee, Jin-Yong;Moon, Sang-Ho;Jang, Jiwook;Jeong, Eunju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2 no.4
    • /
    • pp.437-448
    • /
    • 2022
  • This work aims to assess the threat to human health of hazardous materials in groundwater that is used domestically and for drinking. Two distinct sub-assessments are considered: cancer and non-cancer risk. The studied groundwater is in an agricultural area of Gyeongnam Province, Korea, and is contaminated by arsenic at a mean level of 16.27 ㎍/L, far greater than the WHO guideline (10 ㎍/L for drinking water). We collected groundwater data from the National Groundwater Information Center (gims.go.kr) and assessed the risk to human health following the methodology of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e considered three exposure scenarios: domestic use (scenario 1) and drinking use with different doses (scenarios 2 and 3). Scenario 1 had a median hazard quotient (HQ) of 0.77 and a cancer risk (CR) of 0.013. Scenario 2 had a median HQ of 0.08 and a CR of 3.69 × 10-5, and the values for scenario 3 were 0.11 and 4.82 × 10-5, respectively. Scenario 1 is likely the most hazardous to human health. Further study of the origin of arsenic in groundwater in the study area is required, as are remedial measures to mitigate its health effects.

Correlation analysis of pollutants using IoT technology in LID facilities (LID 시설 내 IoT 기술을 활용한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

  • Jeon, Minsu;Choi, Hyeseon;kevin, Geronimo Franz;Reyes, N.J.DG.;Kim, Le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3-453
    • /
    • 2021
  • 도시지역 비점오염원관리, 물순환 회복, 침투 및 증발산량 증가, 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주요한 방안으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과 그린인프라 기법의 적용되고 있다. LID 시설은 소규모 분산형 시설로써 넓은 지역에 많고 다양한 시설들이 적용되어 시설의 개수가 많으며, 수질 및 토양 내 기성제품에 대한 센서들의 가격은 고가로 형성되어 있어 기기의 경제성 및 유지관리 등 적용하는데 제한적이다. 따라서 과거 모니터링 자료를 기반으로 오염물질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계측이 어려운 항목들을 계측가능한 항목들로부터 예측 가능하며, 선정된 항목들에 대한 비용효율적인 센서를 개발하여 실시간 LID 모니터링이 가능한 비용효율적 모니터링을 개발하였다.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의 LID 시설들은 2013년에 조성되어 현재까지 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5년이상의 과거 강우시 모니터링 자료들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을 수행가능 하기에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오염물질 상관성 분석은 2013년부터 2017년도에 침투도랑에서 수행된 강우시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각 오염물질들의 상관성을 분석을 수행하였다. 침투도랑 내 유입되는 평균 유입수는 TSS 286.1±318.3 mg/L, BOD 22.6±39.5 mg/L, TN 8.96±5.85 mg/L, TP 1.01±1.11 mg/L로 나타났다. 겨울철에 비해 여름철에서의 오염물질의 유입농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여름철 고온건조로 인한 노면 내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중금속, 폐타이어 등과 장마철 강우 시 유출된 토사로 인하여 유입수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물질 부하량은 TSS와 COD 0.66으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COD와 TSS, TP, TN 등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rduino와 Raspberry PI를 활용하여 저비용 센서와 LTE 모뎀통신과 데이터 베이스 연결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서 무선으로 LID 시설에 대한 모니터링을 침투화분2와 식생체류지에 조성하였다. 전력공급이 어려운 식생체류지의 경우 태양열(Solar system) 시스템과 보조 전력 배터리를 조성하여 장마철이나 장기적인 악천후로 인한 전력을 생산하지 못할 경우 보조전력배터리에서 전력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토양함수량, 토양온도와 Conductivity 등 3종류의 센서를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은 현재 2단계를 통한 2차수정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구축하였다. 오차, 오작동, 계측값에 대한 검·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대기자료의 구축을 통해 보다 토양과 LID 시설에 대한 영향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arly Stage Performance of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비점원오염 제어를 위한 인공습지의 초기단계 연구)

  • Kim, Hyung-Chul;Ham, Jong-Hwa;Han, Jung-Yoon;Yoon, Chun-Gyeo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9 no.4 s.118
    • /
    • pp.481-488
    • /
    • 2006
  • The field scal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constructed wetland for nonpoint source (NPS) pollution loading reduction. Four sets (0.88 ha each) of wetland and pond system were used. After three growing seasons of the wetland construction, plant coverage increased to about 90% even without plantation from bare soil surfaces at the initial stage. During the start up period of constructed wetlands, lower water levels should be maintained to avoid flooding newly plants, if wetland plants are to start from germinating seeds. The average removal rate of $BOD_5$, TSS, T-N and T-P during the first two years was 5.6%, 46.6%, 45.7%, and 54.8%, respectively. The $BOD_5$ removal rate was low and it might be attributed to the low influent concentration. The early stage of wetland performance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was satisfactory for treating polluted stream waters. From the first-order analysis, T-P was virtually not temperature dependent, and $BOD_5$ and TSS were more temperature dependent than T-N. A pond-wetland system was more effective than a wetland-pond or a wetland alone system in water quality improvement, particularly to reduce T-P. Overall, the wetland system was found to be an adequate alternative for treating a polluted stream water with stable removal efficiency and recommended as a NPS control measures.

Evaluation of Combined Vertical and Horizontal Flow Sand-Filled Reed Constructed Wetland with Intermittent Feeding for Sewage Treatment (간헐 주입 2단(수직 및 수평 흐름) 모래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생활하수 처리)

  • Seo, Jeoung-Y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2
    • /
    • pp.261-268
    • /
    • 2014
  • A sewage was treated using serially combined vertical(VFCW)and horizontal flow sand-filled reed constructed wetland(HFCW) with intermittent feeding. The sand had 1~3 mm diameter. The sewage entering the sewage treatment plant of Gyeonsang National University was fed into the reed constructed wetland bed for 10 minutes every 6 hours at the hydraulic load of $314L/m^2{\cdot}day$ based on the surface ares of the VFCW. In the VFCW effluent pH value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influent, whereas the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influent in the HFCW. DO values were increased in VFCW, but they were decreased in the HFCW. The OTR was $58.72gO_2/m^2{\cdot}day$ in the VFCW and $7.72gO_2/m^2{\cdot}day$ in the HFCW.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were SS 94.80%, BOD 90.77%, $COD_{Cr}$ 85.87%, $COD_{Mn}$ 87.72%, T-N 64.74%, $NH_4{^+}$-N 86.44%, T-P 87.70%. Nearly, half of T-N in the effluent was $NO_3{^-}$-N but the concentration of $NO_2{^-}$-N in the effluent was less than 0.64 mg/L.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activity of Pesticide Spray Solutions (농약살포액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물활성 변화)

  • Jin, Yong-Duk;Lee, Sang-Bum;Lee, Sang-Guei;Oh, Byung-Youl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9 no.4
    • /
    • pp.411-421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rational methodologies for the use of pesticide formulations to be sprayed after water-dilution. Hardness and electric conductivity of six major river water and ground water sampled from 52 sites in major rice-growing areas across the country ranged from 5 to 324 ppm(av. 90 ppm) and from 0.038 to 1.078 dS/m(av. 0.265 dS/m), respectively, which are acceptable for diluent water of pesticides. The pH changes in pesticide spray solutions with time after preparation mainly depended on the pH of the water used for pesticide dilution. The surface tensions of pesticide spray solutions reduced slightly with time after preparation, irrespective of kinds of pesticide formulations. Suspensibility of WPs became worse with an increase in the hardness and salt concentrations of diluent water, even though the degree was negligible. Emulsion stability of ECs became worse with an increase in hardness and salt concentrations of diluent water. Degradation rates of the active ingredients of pesticide spray solutions 3 days after preparation were less than 5%, regardless of mixing or non-mixing of two or more pesticides. Consequently, the spray solutions of most pesticides were usable until two to three days after preparation unless physical properties deteriorated. The tank-mixing order of EC and WP formulations did not make any differences in all the physical properties of pesticide spray solutions. However, the proper order for the tank-mixing of compatible pesticides was WP, WG, SC, EC, and SL, because the order is easy to prepare the pesticide spray solutions. The efficacy of pesticide spray solutions on the respective target pathogens and insect pests of rice plants three days after preparation was recorded over 95% of that of 0 day, which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solutions applied punctually after prepa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