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정화

Search Result 42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onstructed wetland design (기술정보 - 인공습지의 설계방안)

  • Eom, Han-Yong
    • 한국관개배수회지
    • /
    • no.43
    • /
    • pp.20-24
    • /
    • 2010
  • 담수호 및 농업용저수지의 유입수는 일반적으로 다유량 저농도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강우시에는 유역의 노면에 집적된 비점오염물질이 넓은 면적에서 폭넓게 유출되어 유입되고 있어 기존의 하수처리공법에서와 같이 한곳에 모아 처리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 넓은 유역을 갖는 수체에 적용될 수 있는 공법은 가급적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특히 호소의 주오염 특성인 부영양화 억제를 위한 질소 인 등의 영양 염류를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수질정화용 인공습지가 많이 검토되고 있다. 인공습지는 습지의 기능 중 수질정화 기능을 극대화 한 것으로 초기에는 도시하수유출 수의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점차 유기물의 부하농도가 높은 농업배수(축산 등)에 이용되기 시작 하였다. 강우 유출수, 도시하수, 농업배수, 광산 폐수 등의 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수질개선시설로 적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강우유출과 같은 유출수의 수질을 관리하기 위한 기법으로 인공습지의 사용이 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수행한 습지관련 연구와 자료수집결과 등을 종합하여 인공습지의 기본적인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Hydraulic Conditions in an Artificial Wetland System (인공습지시스템에서 수리학적 조건과 수질정화특성)

  • Park, Byeng-Hyen;Kim, Jae-Ok;Lee, Kwng-Sik;Joo, Gea-Jae;Lee, Sang-Joon;Nam, Gui-Soo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5 no.4 s.100
    • /
    • pp.285-29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hydraulic conditions, and to clarify the basic and essential factors required to be considered i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wetland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reservoir water quality. The artificial wetland system was composed of a pumping station and six sequential plants beds with five species of macrophytes: Oenanthe javanica, Acorus calamus, Zizania latifolia, Typha angustifolia, and Phragmites australis. The system was operated on free surface-flow system, and operation conditions were $3,444-4,156\; m^3/d$ of inflow rate, 0.5-2.0 hr of HRT, 0.1-0.2 m of water depth, 6.0-9.4 m/d of hydraulic loading, and relatively low nutrients concentration (0.224-2.462 mgN/L, 0.145-0.164 mgP/L) of inflow water. The mean purification efficiencies of TN ranged from 12.1% to 14.3% by showing the highest efficiency at the Phragmites australis bed, and these of TP were 6.3-9.5% by showing the similar ranges of efficiencies among all species. The mean purification efficiencies of SS and Chl-A ranged from 17.4% to 38.5% and from 12.0% to 20.2%, respectively, and the Oenanthe javanica bed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with higher concentration of influent than others. The mean purification amount per day of each pollutant were $9.8-4.1\;g{\cdot}m^{-2}{\cdot}d^{-1}$ in BOD, $1.299-2.343\;g{\cdot}m^{-2}{\cdot}d^{-1}$ in TN, $0.085-1.821\;g{\cdot}m^{-2}{\cdot}d^{-1}$ in TP, $17.9-111.6\;g{\cdot}m^{-2}{\cdot}d^{-1}$ in SS and $0.011-0.094\;g{\cdot}m^{-2}{\cdot}d^{-1}$ in Chl-a. The purification amount per day of TN revealed the hi링hest level at the Zizania latifolia bed, and TP showed at the Acrous calamus bed. SS and Chl-a, as particulate materials, revealed the highest purification amount per day at the Oenanthe javanica bed that was high on the whole parameters. It was estimated that the purification amount per day was increased with the high concentration of influent and shoot density of macrophytes, as was shown in the purification efficiency.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urification efficiencies and hydraulic conditions (HRT and inflow rate) were 0.016-0.731 of $R^2$ in terms of HRT, and 0.015-0.868 of $R^2$ daily inflow rat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purification amounts per day with hydraulic conditions were 0.173-0.763 of Ra in terms of HRT, and 0.209-0.770 daily inflow rate. Amo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urification efficiency and hydraulic condition, the percentages of over 0.5 range of $R^2$ were 20% in HRT and in daily inflow rate. However, the percentages of over 0.5 rang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R^2$) between purification amount per day and hydraulic conditions were 53% in HRT and 73% in daily inflow 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urificationamount per day and hydraulic condition were more significant than those of purifi-cation efficiency. In this study, high hydraulic conditions (HRT and inflow rate) are not likely to affect significantly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nutrient. Therefore, the emphasis should be on the purification amounts per day with high hydraulicloadings (HRT and inflow rate) for the improvement of eutrophic reservoir withrelatively low nutrients concentration and large quantity to be treated.

Convergence Study on Organic Sludge Treatment System (유기성 슬러지 처리 시스템에 관한 융합연구)

  • Han, Doo-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0
    • /
    • pp.213-217
    • /
    • 2020
  • An eco-friendly water purifier was developed using natural minerals, plants, and sludge from water purification plants. A wastewater complex treatment system using this water purification agent was developed. The wastewater complex treatment system goes through the process of inflow of contaminated water, input of water purification agent, operation of a pressurized flotation device, sludge flotation, sludge collection and treatment water discharge. This device was applied to the removal of green algae in livestock desorption liquid, broiler washing water, factory wastewater, sewage treatment plant and pond to obtain excellent removal rate. The use of natural water purification agents for organic waste purification has not been investigated.

Investigation on Water Purification Effect Through Long-Term Continuous Flow Test of Porous Concrete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포러스 콘크리트의 장기간 연속흐름 실험을 통한 수질정화 효과 검토)

  • Park, Jun-Seok;Kim, Bong-Kyun;Kim, Woo-Suk;Seo, Dae-Sok;Kim, Wha-Ju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6 no.2
    • /
    • pp.219-22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ater purification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by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through the long-term continuous flow test.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desorption of conventional microorganisms, in this study, tertiary treatment of the effective microorganisms identified by 16S rDNA sequence analysis was adopted per each step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orous concrete. And concentration for optimum continuous flow test and operation conditions through basic experiments according to retention time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orous concrete applying effective microorganisms showed no toxicity on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and exhibited excellent removal efficiency than normal porous concrete. Therefore, contaminated water quality would be improved by treatment performance investigation of contaminants through long-term continuous flow test. If problems are complemented during the experiment process,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reduce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s flowing into river.

Development of Non-point Pollution Facility for Forest Filtration Using Oyster Shell and Natural Mineral (굴패각과 천연광물질을 이용한 수목여과용 비점오염시설 장치 개발 연구)

  • Kim, Jeong Ho;Ku, Hyun Woo;Lee, 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3-57
    • /
    • 2018
  • 고도의 산업화에 따라 도시의 성장과 인구의 밀집으로 인하여 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각종 오염원의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서 적절한 수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산업이 다양화됨에 따라 배출되는 하 폐수의 특성도 다양해져 기존의 수질처리장은 효율적인 처리를 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굴 패각은 하수처리의 담체로 이용할 경우 살수여상의 문제점 중 하나로 나타나는 막힘 현상을 다소 감소시킬 수 있고, 다공질체로서 표면적이 불규칙하고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반응기내에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중금속 이온과 유기물에 대한 흡착 효율이 뛰어나 미생물이 쉽게 부착, 성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천연광물질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어 활용된 역사가 짧지만, 그 특징은 산소결핍보충, 유해원소 흡착 성능, 반도체 작용, 인체 면역력 강화, 바이러스성 질병의 예방, 중금속 해독 등의 다양한 특징으로 환경호르몬 제고, 음이온 원적외선 발생으로 세포의 노화방지, 인체 노폐물 제거와 같은 특징을 지닌 매우 유용한 자원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수질정화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촌폐기물인 굴 패각과 수질정화에 탁월한 천연 광물질을 혼합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성이 높은 다공성 수질개선 담체를 개발하고, 수목여과용 비점오염시설 장치에 적용하여 혼합 담체가 수처리 시설의 담체로서 사용이 가능한지, 수목여과용 비점오염시설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2017년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사업에서 연구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

  • PDF

풍력에 의한 하강류 형성장치를 이용한 저수지 수질개선장치의 개발

  • 권규식;김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15-122
    • /
    • 2001
  • 본 개발대상 장치인 풍력을 통한 하강류 형성장치는 심층에 산소를 공급하여 패류가 증식하게 하므로 정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연구의 결과, 풍력 저수지 수질개선장치를 통해 모든 호소의 수질등급을 상향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새만금, 시화호 등 문제 있는 호소까지 인간에 유익한 수질로 개선 함으로써 국가적인 이익은 물론 전세계의 수원을 정화하여 인류의 수자원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을 것이다. 동력에 의한 방법은 언제든지 적용할 수 있지만, 풍력에 의한 장치로 에너지 비용과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본 개발대상 장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이다. 현재 국내의 저수지는 약 12,000개소에 달한다 이 저수지들에 오염도에 따라 5대~200대 정도를 설치할 경우(소양이나 새만금 등), 장치의 대당 가격이 1,000 만원~1,500 만원이므로 국내 수요로 약 2조 4천억원의 내수시장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Hydrophytes Flora of Seven Swamp Inland in Korea (우리나라 7개 내륙습지의 수생식물 분포상)

  • Kim, Yoo Sun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7 no.1
    • /
    • pp.52-61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floras and circumstances of Korean swamp inland. The floras of 7 swamp inland were 32 families, 49 genus and 69 species. They are accounted for 23% with 16 species of Cyteraceae, one group of annual herbaceous plants, and 6 groups of perennial herbaceous plants (Scirpus tabernaemontani, Phramites communis, Zizania latifolia, Persicaria thunvergiicsiebold, Typha latifolia, Juncus krameri, and Juncus effusus). The plants of Scirpus tabernaemontani, Phramites communis, Zizania latifolia, Persicaria thunvergiicsiebold, Typha latifolia, Juncus krameri, and Potagometon distinctus turnes out a dominant species.

울산광역시 삼산동 매립장 침출수 정화를 위한 AquaMats(R)상에서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에 관한 연구

  • Lee, Jun-U;Kim, Jwa-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95-398
    • /
    • 2006
  • 울산 삼산동 매립장 침출수의 수질정화 공정을 위해 새로운 여재인 AquaMate$^{(R)}$가 사용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AquaMat$^{(R)}$에 서식하고 있는 여러 미생물 중 우점종으로 여겨지는 3종의 미생물을 각각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이들 미생물은 그램 염색 결과 모두 간균 형태의 그램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Agrobacterium radiobacter, Pseudomonas cepacia, Flavobacterium indologenes로 판명되었다. 이들,3종의 미생물은 모두 침출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였으나 yeast extract같은 생장촉진물질의 존재 하에서는 침출수에서 빠른 생장속도를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on the Circulat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Oxygen Solubilization and Diffusion Device (산소용해수와 확산장치를 결합한 순환형 수질정화 장치의 검증)

  • Ahn, Chang-Hyuk;Song, Ho-Myeon;Joo, Jin-Chul;Lee, Yeon-Ku;Kim, Il-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8-318
    • /
    • 2011
  • 자연수를 가압(4~5기압)하면서 물과 공기의 비를 4:1~3:1로 혼합하면 수체 내 초미세기포(Diameter $3{\sim}10{\mu}m$)가 발생하는데 이를 산소용해수라 하며 수질정화시설 또는 양식장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소용해수의 특징은 기포의 비표면적이 넓고 10시간 이상 포화 농도를 유지하여 수체에 잔류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일반 산기석을 활용한 포기나 순산소 용해 등의 타 방법과 구별된다. 산소용해수의 산소전달효율은 기존 방법과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실제 적용시에는 대상수를 이용하여 산소전달계수($K_{L}a$)를 사전에 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 연구원의 안동 수자원 환경실험센터 내 실외형 콘크리트 사각반응수조에 산소용해장치 및 확산장치를 결합한 일체형 시스템을 적용시켜 2010년 9월~2011년 1월의 5개월간 결과를 분석, 본 장치의 $K_{L}a$를 산정 후 수질정화의 활용 면에서 검토하였다. $K_{L}a$의 산정에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나 용존 산소 농도의 제어에 한계가 있는 실외 대형실험장에 적합한 Lewis and Whitman의 Two-film 이론에 근거한 정상포기법을 적용하였다. 체적 $80m^3$의 수조 내에서 현장 유지용수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산소전달계수는 $0.324\pm0.050$/min, 포화농도는 8.64 mg $O_2$/L, 도달시간은 11 /min이 산정되었으며, 이는 기존 산기석 포기의 산소전달계수 범위인 $0.105\pm0.019$ /min보다 약 3.1배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확산장치의 수류 순환 방향 및 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수조에서 1m단위로 격자를 구성한 후 초음파 유속계로 실측한 결과 0.0~2.5 m/s 의 평면적 유속범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체 순환을 고려했을 때 용존산소는 약 8시간 후 8.64 mg $O_2$/L 값에 도달하여 안정화 되었으며, 강한 수류순환과 산소용해수에 의해 하상에 존재하는 퇴적물들의 이송 및 산화촉진을 유도하였다. 이를 근거로 실험수조의 체적과 기준 가동시간인 8시간을 적용시켰을 때, 실험구 수질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COD, T-N, T-P가 모두 25~35% 개선되었다. 이 결과는 여과공정 없이 단순 순환만을 고려한 물리적 수질정화 방법의 단독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며,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SOD (Sediment oxygen demand) 저감 능력을 감안할 때 향후 폐쇄성 수역의 수질관리에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