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영향평가

Search Result 931,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ssessment of Vulnerability for Groundwater Resources by Sub-basins in Gyeongan Watershed (경안천 중권역 내 소유역 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성 평가)

  • Lee, Jae-Beom;Yang, Jeong-Seok;Agossou, Amos;Jeong, Si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69-269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과거 대비 강수패턴의 변화로 연중 총 강수량은 증가하였으나, 강우일수의 감소, 강우강도의 증가, 연속 무강우일수의 증가 등(기상청, 2018) 유역 내 수문환경 변동이 나타났고, 이로 인한 유역 내 연중 일정한 수자원 확보 및 안정적인 관리 측면에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2012~2017년 동안은 강수량 감소로 인한 전국적인 가뭄이 기록되었고, 최근 2020년에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는 장기간의 폭우 발생으로 인한 기록적인 홍수 피해가 발생하였다. 기후변화를 피할 수 없는 현 상황에서(IPCC, 2013) 장래에 홍수·가뭄과 같은 수재해의 빈도가 증가하고, 강도가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수재해에 대응·대비가 가능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가 가능할 수 있도록 수량과 수질을 모두 고려한 유역 단위의 수자원 관리 방안 마련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수도권의 하천 유역 중 산지, 농지, 도농복합지 등 다양한 유역의 공간적인 특성이 혼합된 경안천 중유역을 대상으로 소유역 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성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성 평가 시 강수에 따른 지하수위의 증감 여부, 사회적 인자로 인구, 수자원 이용량 중 지하수 이용량 등의 인자를 선정하여 지하수자원 관리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최근 삶의 질 향상에 따라 안정적인 수량 확보와 유역 생태 보전을 위한 수질 안정성을 함께 확보 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 연구의 발전 및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위하여 본 연구는 강수-하천수-지하수와 같은 수문순환 요소와 하천 수질 관측 요소 간의 상관관계 규명을 통한 유역 내 수문-수질 요소 간 상호영향을 고려하고,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위하여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수문순환과 수질을 모두 고려한 새로운 방법의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성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역 내 수문순환 요소와 함께 유역 내 수질관측 인자 간의 상호영향을 고려한 차세대 수자원 관리 방안 마련의 과학적·정책적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대국민 물 복지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Water Quality Similarity Evaluation in Geum River Using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ata (물환경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금강수계 수질 유사도 평가)

  • Kim, Jeehyun;Chae, Minhee;Yoon, Johee;Seok, Kwangseo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2
    • /
    • pp.75-88
    • /
    • 2021
  • Six locations in the automated monitoring network at the Geum River Basin were selected forthis study.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t two of the locations in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at were identical, or nearby, were examined, and their correlations were evalua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were converted to the water quality index and expressed in grades for comparison. For the data necessary for the study, public data from four years, from 2016-2019 were used and the evaluation parameters were water temperature, pH, EC, DO, TOC, TN, and TP.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concentrations measured in the automated monitoring network and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iffered in some measured values, but they tended to register variation in a specified ratio in most of the locations in the network.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of the parameters between the two monitoring networks found that water temperature, EC, and DO showed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monitoring networks. The TOC, TN, and TP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a 0.7 or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r), with the exception of some of the monitoring networks, although their correlation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basic parameters. The water quality index analysis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index values of the automated monitoring network and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were similar. The water quality index decreased and the pollution degree increas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in both networks.

Correlation Analysis of Inter-Relations among Water Quality, Landscape Metrics, Land Use, and Aquatic Ecosystem Health in the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의 수질, 경관지수, 토지이용 및 수생태계 건강성의 상관성 분석)

  • Gyobeom Kim;Kyuong-Ho Kim;Jongyoo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2-152
    • /
    • 2023
  • 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지표(TDI, BMI, FAI, HRI, RVI)가 사용되고 있다. 이 지표는 5가지 등급으로 구분하여 매우 좋음(A), 좋음(B), 보통(C), 나쁨(D), 매우나쁨(E)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하천의 건강성 관점에서 수질, 토지이용, 지리적 특성, 경관지수와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수생태계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인자들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이 '좋음'에 해당되는 하천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환경적 인자들의 임계값을 산출하여 하천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우선순위 설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낙동강대권역을 대상으로 수질, 토지이용, 지리적 특성, 경관지수의 여러 변수 중 수생태계 건강성과의 관계에서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환경적 인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CCA)을 수행하였다. 또한 모델 기반의 클러스터 분석을 활용하여 소권역별로 수생태계 건강성이 '좋음'에 해당할 확률을 파악하고, 여기에 해당하는 소권역에 대하여 각각의 환경적 인자에 대한 임계값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환경 인자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고 하천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주성분 분석 및 모델 기반 클러스터 분석을 사용하여 각 소권역에 대한 환경 인자의 임계값을 평가하고, 정책 결정자들이 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dex suitability of domestic watersheds (국내유역의 수질지수 적합성 평가)

  • Lee, Sangung;Jo, Bugeon;Kim, Young D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5
    • /
    • pp.371-381
    • /
    • 2022
  • Since tributaries have greater water quality variability than main streams, a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that considers the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rather than one water quality parameter has been introduced for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of tributaries, but the characteristic of the watershed is not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urbanization rate, livestock excreta generation, and industrial wastewater discharge in the Hantan River middle-watershed classify urban and non-urban watersheds, and evaluate the suitability of water quality indexes by watershed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alculating CCME WQI, RTWQI, and NSFWQI. Factor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water quality parameters used to calculate the water quality index on the water quality index result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CCME WQI, TC, and FC was deriv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TWQI and DO, SS in urban watersheds and NSFWQI and FC in non-urban watersheds was revealed. As a result of evaluating suitability through comparison with BOD and T-P grades, it was interpreted that the suitability of the water quality index was low in urban watersheds and that comprehensive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RTWQI was possible in non-urban watersheds.

A Study on field-watershed integrated model for assessing water quality impact in agricultural small watershed (농업 소유역에서 수질영향 평가를 위한 포장-유역 연계모형의 기초연구)

  • Kim, Dong Hyeon;So, Hyun Chul;Jang, T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91-491
    • /
    • 2018
  • 본 연구는 포장모형(APEX, Agricultural Policy Environmental eXtender)과 유역모형(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연계하여 새만금 유역의 미래 수문 수질영향과 용수생산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APEX 모형을 연계하기에 앞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만경강 유역의 유출량, T-N, T-P를 모의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모의 기간은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총 14년이며, 기상, 유출량 그리고 월단위 수질 자료를 모형의 입력자료 및 보정을 위해 사용하였다. 매개변수 보정은 객관적 보정이 가능한 SWAT-CUP을 이용하여 최적화 하였으며, 매개변수 보정의 목적함수는 NSE(Nash-Sutcliffe Efficiency)로 평가하였다. 모형의 적용성 평가 결과, 보정기간의 연평균 유출량은 실측치 835mm, 모의치 677mm로 나타났고, R2는 0.64, RMSE는 3.87mm/day, NSE는 0.61, RMAE는 0.99로 나타났다. 검정기간의 연평균 유출량은 실측치 884mm, 모의치 702mm로 나타났고, R2는 0.67, RMSE는 2.92mm/day, NSE는 0.7, RMAE는 0.94로 나타났다. 유출량의 결과를 살펴보면 검정기간이 보정기간보다 모의결과가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실측자료의 일관성 차이로 판단된다. T-N과 T-P의 경우 매개변수만으론 보정의 한계가 있으며, 실측치와 근접하게 모의하기 위해서 만경강 본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외부유입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상류의 경천댐, 대아댐 그리고 용담댐으로 부터 유입되는 외부유입량 자료를 수집하여 SWAT의 입력자료로 구축하였으며, 대상유역 내 익산, 완주, 전주, 김제에 위치하고 있는 하수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분뇨처리시설, 산업폐수처리시설 그리고 농공단지처리시설 등 총 12곳에 대한 점오염원 데이터를 입력자료로 구축하여 만경강 상류 농업소유역의 수질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미래 수문 수질 모의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며, 외부유입량을 고려한 만경강 유역의 용수생산성 분석을 통해 미래 농업수자원 관리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ssessment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a watershed according to stream flow conditions (하천 유량조건에 따른 유역별 수질변동특성 평가)

  • Jung, Woo Suk;Jo, Bu Geon;Kim, Young Do;Kwon, J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91-91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증가로 인한 돌발홍수와 강수일수는 감소하고 강수량의 계절적·지역적 편중현상이 심화하여 가뭄의 발생빈도 및 기간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가뭄에 따른 환경학적 피해로 하천유량의 감소와 더불어 영양물질의 부화로 인해 하천의 수질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집중호우로 인한 비점오염원 유입이 취약한 유역인 경우 장기적으로 부영양화를 초래하고 지속적인 오염원 축적을 통한 수질오염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유역별 유량조건에 따른 수질오염원 특성을 파악하고 맞춤형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평가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 22개 중권역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중권역별 맞춤형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진단을 실시하였다. 유역유출모형인 HSPF을 통해 산정된 기준유량을 기준으로 저유량, 고유량 시기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값인 각 요인별 수질변동특성을 요인분석 네트워크 그래프를 활용해서 수질변동특성을 분석하고, 유황별 수질환경적 오염원 영향인자들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중권역별 하천 유량조건에 따라 어떠한 오염원에 기인하는지 분류하고 평가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SWAT-K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효율적 오염총량관리제 시행을 위한 SWAT-K의 적용)

  • Kim, Nam-Won;Shin, Ah-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96-100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장기유역모형인 SWAT 모형의 국내 적용의 한계를 인식하여 유출해석모듈과 하도수질모듈 등을 개선한 SWAT-K(Korea) 모형을 통해 수질 모형을 사용하는 의사 결정에 있어 하도추적법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중인 오염총량관리제 개념에 적용하였다. 기준 유량 개념을 도입하여 모의된 수질항목을 평가하기 위하여 장기간의 유황곡선을 작성하고 유황곡선의 초과확률분포를 기준으로 오염부하곡선을 작성하여 하도추적법의 변화가 수질 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수질항목 초과확률분포에 따른 오염부하곡선을 작성하여 모형의 선택에 따라 동일 기준유량시 모의되는 부하량 값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질 항목은 유황의 변화를 매우 유사하게 재현하며, 수질 매개변수 보정에도 불구하고 하도추적법이 수질 항목의 모의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모형은 정교한 유출 모의와 더불어 오염물질의 신뢰도 높은 모의를 통해 향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환경정보 - 2009년부터 달라지는 환경행정

  • 한국기술사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79
    • /
    • pp.30-35
    • /
    • 2009
  • '09년 1월부터 환경영향이 비교적 적은 사업은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주민 의견수렴과 평가서에 대한 협의를 동시에 실시하는 간이평가절차가 시행되고, 수질오염물질 신규지정 및 특정수질유해물질 관리가 강화되며, 제품과 서비스의 원료, 생산, 유통, 사용 등 전과정 동안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소비자에게 공개하고 이를 통한 저탄소 소비문화 확산을 유도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도모하는 탄소성적표지제도가 새롭게 시행된다. 2009년부터 달라지거나 새롭게 시행되는 환경행정 내용을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D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Agricultural Irrigation Reservoirs and Land Uses of Associated Watersheds (농업용저수지 유역의 토지이용과 수질항목 간의 상관관계 분석)

  • Yoon, Chun-Gyeong;Lee, Sae-Bom;Jung, Kwang-Wook;Han, Jung-Yo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1
    • /
    • pp.31-39
    • /
    • 2007
  • Monitoring data of 48 agricultural irrigation reservoirs from 1999 to 2004 was analyzed for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_5)$,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and chl-${\alpha}$. Land uses of the watersheds associated with these reservoirs were determined for residential, forest, upland, paddy and miscellaneous, and regressed against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forest land u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mplying it's beneficial effects in water quality perspectives. Other land uses including residential, upland, and paddy generally illustra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which indicates most human activities of the watershed could degrade water quality of the receiving water bodies. Paddy land use partially contributed to the water quality degradation in contrast to the previous studies. It might be attributed to the relatively clean water quality of the study area, where even slight pollutant loading could degrade sensitively water quality. Further investigation is recommended for the effect of proximity as well as land use portions on the water quality of receiving water body.

Development of Meta-Model Using Process Model Data for Predicting the Water Quality of Nakdong River (낙동강 수질 예측을 위한 프로세스 모델링 자료를 이용한 메타모델 개발)

  • Yu, Myungsu;Song, Young-Il;Seo,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91-91
    • /
    • 2020
  •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5차 평가보고서에 의하면 최근 배출 온실가스의 양은 관측 이래 최고 수준이며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는 인간계와 자연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국제적으로 빙하 감소, 사막화, 해수면 상승 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완화 정책과 동시에 새로운 기후변화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후변화 적응이란 현재 나타나고 있거나 미래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기후변화의 파급효과와 영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행동이며 이를 위해서는 기후변화 영향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MOTIVE 연구단에서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의 지원을 목표로 7개 부문(건강, 물관리, 농업, 산림, 생태, 해양, 수산)에서 "한국형 통합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있다. 각 부문에서 개발하는 프로세스 모델은 시스템에 대한 지식을 가진 상황에서 사용하면 신뢰할 수 있는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부문별 통합을 통한 영향 분석 시 타 분야에 대한 지식이 수반되어야 하는 어려움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내의 물리적 프로세스에 대한 요구 없이 입출력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결과를 신속하게 추정하는 데이터 모델링(기계학습)을 이용하였다.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데이터는 다양한 자연 현상에 대한 BANPOL(수질 프로세스 모델) 분석을 통한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 자료를 구축하였다. 즉, 데이터 모델링은 BANPOL 모델을 대리하는 메타모델이며, 낙동강 표준유역에 대한 유량 및 수질을 높은 상관성으로 추정하였다. 원 모델보다 정확도는 낮을 수 있으나 메타모델의 개발을 통한 웹 시스템을 개발하여 비전문가의 구동 및 신속한 기후 시나리오를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