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직연결부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2초

수직도 조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중력식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연결부 설계 (Design of Vertically Adjustable Transition Piece of Concrete Gravity Based Substructure for Offshore Wind Turbine)

  • 심운보;안진영;곽동우;배경태;지광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2-51
    • /
    • 2018
  •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은 설치과정에서 수직도 오차가 발생하여 풍력발전기 전체 구조의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중력식 해상풍력 연결부에서 PS 앵커와 앵커체결구 그라우트를 사용하여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결부는 5MW급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에서 발생한 수직도 오차를 최대 $0.5^{\circ}$까지 보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선, 수직도 조정이 가능한 해상풍력 연결부에 대해 주요 부재별 설계안과 설계절차를 제안하고, 제주도 해상지역을 대상으로 설계 제원을 산출하였다. 그 후, 설계 제원에 대해 비선형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설계안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하중 전달 메커니즘과 연결부 발생 응력 확인을 통해 제안 설계안은 $0.5^{\circ}$의 수직도 오차를 보정하여도 안전하다고 판단하였다.

온도하중과 인양하중에 영향을 받는 모듈러 도로 슬래브 수직연결부의 상세해석 (Detailed Analysis of Vertical Connector in Modular Roadway Slab Under Temperature and Lifting Loading)

  • 김우석;남정희;민근형;김경진;이재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509-517
    • /
    • 2016
  • 교량의 슬래브에 파손이 발생할 경우 슬래브의 보수보강을 위한 공사로 인해 차량 통행이 제한된다. 모듈러 교량의 경우 이러한 시간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결부에 높은 응력이 발생하는 모듈러 도로 슬래브를 온도하중과 차량하중을 적용하여 구조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직연결부 부근에 나선철근을 매입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양 시의 모듈러 도로 슬래브의 거동 및 취약부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양하중을 적용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유리한 조건의 인양방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온도하중에 의해 수직연결부가 항복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나선철근을 수직연결부 부분에 매립할 경우 인양 시에 구조물의 손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6개 수직연결부를 이용하여 인양할 시 3개 수직연결부 사용대비 50%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수평 및 수직볼트로 체결된 PHC 파일 연결부의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Bolted Connection between PHC Pile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 김수은;김성보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97-104
    • /
    • 2018
  • PHC 파일을 연결하기 위해 수평 및 수직 볼트를 사용한 연결부의 안전성 평가를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모델은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연결 장치를 3D Solid 모델로 모델링하였다. 볼트 연결부는 ABAQUS에 제시된 Contact 및 Tie 조건에 고려하여 검토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PHC 파일 연결부의 압축, 인장, 휨 및 전단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각 연결 장치에서 발생하는 Von-Mises 응력을 도출하여 볼트연결부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수직접합부의 광폭형 연결방식 개발 (Development of Wide Connection Method for Vertical Joints of Precast Concrete Walls)

  • 최은규;신영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549-556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시스템에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벽체의 수직접합부의 시공 및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합부의 폭을 100 mm에서 150 mm로 증가시키고 연결방식을 3가지로 하여 구조적 성능 및 적용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해석적으로 구조적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비선형 유한 요소 해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광폭형 연결부를 가진 접합부를 적용하였을 때, PC벽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더 효율적으로 철근이 분담하여 내력이 증가하고 연성적인 거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접합부 루프근의 단면적이 커질수록 그리고 철근 개수가 증가할수록 최대내력이 증가하며 광폭형 접합부 형식 중에 용접형-링형-C형의 순서로 내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용접형의 경우 현장조건에 따른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광폭형 연결 부위를 링형 접합부로 하는 것이 안정적인 거동을 하며 현장 용접의 철저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강철도 플레이트거더교 용접이음부 피로균열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igue Crack at Welded Joint for Steel Plate Girder Railway Bridge)

  • 박진은;경갑수;이성진;조윤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06-309
    • /
    • 2010
  • 강철도 플레이트거더교의 경우 일반적으로 레일의 폭보다 거더 사이의 폭이 넓기 때문에 거더에 편심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편심 영향으로 거더 내측 상부플랜지에 휨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상부플랜지와 수직보강재 용접이음부에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균열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용중인 강철도 플레이트거더교를 대상교량으로 하여 공용하중에 대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였다. 대상교량에 대한 현장계측을 기초로 구조모델링을 검증하였고, 검증된 구조모델링을 사용하여 열차하중 하에서의 상부플랜지와 수직보강재 용접연결부에서의 피로균열 보강방안에 대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부플랜지와 수직보강재 용접이음부 상세해석을 통하여 피로균열 발생위치를 확인하고 연결이음부의 적절한 보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재사용율이 높은 시스템 동바리의 수직재와 수평재 연결부 회전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Rotational Stiffness of Connections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for the Highly Reusable System Supports)

  • 박지선;송태협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17-526
    • /
    • 2023
  • 현장에서 재사용율이 높은 시스템 동바리를 대상으로 임의 설계와 과도한 가재새 보강을 지양하고자 성능평가를 근거로한 시스템 동바리의 수직재와 수평재의 연결부에 대한 연결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 가설현장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연결재 유형인 디스크형과 포켓형을 대상을 하중방향(수직, 수평)과 가력방법(단조, 반복)에 대하여 회전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현행 설계기준에서 연결재에 대하여 회전강성을 "0"으로 규정한 것과 달리 모든 시편에서 회전강성 값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대 회전강성은 디스크형 연결재를 사용하여 수직방향으로 반복 가력한 시편에서 회전강성값이 19.624 kNm/rad로 확인되었다.

강바닥판 교량의 보강상세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Reinforced Details of Orthotropic Steel Deck Bridge)

  • 경갑수;신동호;김교훈;박경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43-451
    • /
    • 2007
  • 강바닥판 피로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의 하나로 데크 플레이트의 판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세로리브의 보강 등에 의한 강성 증가를 고려할 수 있는데, 이 강성증가는 일반적으로 윤하중에 의한 강바닥판의 국부변형 억제 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바닥판교의 피로균열이 빈번히 발생해 가장 문제가 되는 U-rib와 가로리브 연결 상세부의 발생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벌크헤드플레이트나 수직리브와 같은 보강상세의 부착에 따른 변수로 정밀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벌크헤드플레이트는 전체적으로 연결 상세부의 주응력을 경감시키나, 피로균열이 발생되는 용접 지단부에서는 오히려 응력집중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직리브는 용접 지단부에서 응력집중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벌크헤드플레이트의 보강보다는 수직리브의 보강이 더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내부연결 원추형 임플란트의 육각구조의 유무에 따른 연결부 안정성: 실험적 연구 (Joint stability of internal conical connection abutments with or without hexagon indexes: an in vitro study)

  • 이상운;차민상;이지혜;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95-103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내부연결 원추형 임플란트의 육각구조 유무가 임플란트 지대주 장축변위와 임플란트 지대주 나사의 풀림토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내부연결 원추형 임플란트를 육각구조를 가진 지대주 그룹(HEX)과 육각구조를 갖지 않는 지대주 그룹(CON)으로 나누고 각 그룹 당 10쌍의 시편을 체결하였다. 지대주 나사를 30 Ncm 조임회전력을 가하여 체결한 뒤 장축변위 및 풀림토크값을 측정하고 250 N 수직적 반복하중을 100,000회 가한 뒤 장축변위 및 풀림토크값을 측정하였다. 각 단계마다 디지털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직경과 수직적 높이를 측정하였고 전자 토크게이지를 이용하여 풀림토크값을 측정하였다. 각 군간의 값의 유의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α = 0.05). 결과: HEX 군은 조임회전력을 가한 뒤 유의하게 높은 장축변위를 나타내였다(P < 0.05). HEX 군과 CON 군은 수직적 반복하중 후 장축변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2). HEX 군과 CON 군은 수직적 반복하중 전, 후 풀림토크값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7 and P = 0.138). 모든 그룹에서 반복하중 후 풀림토크값 상실율이 증가하였다(P < 0.05). 결론: 내부연결 원추형 임플란트에서 육각구조를 가진 경우 장축 변위가 더 컸으며, 그 외의 연결부 안정성은 유사하였다. 모든 그룹에서 반복하중 후 풀림토크값 상실율이 증가하였다.

CATIA V5를 이용한 선로위의 철도 차량 끝단 부의 복합적인 움직임을 가시화하는 시뮬레이션 방법 연구 (A study on simulation technic of a complex movement of the end of cars on a rail track using CATIA V5)

  • 신인수;윤기석;이하희;유현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79-983
    • /
    • 2010
  • 선로에서 철도 차량이 편성운전을 할 경우 연결기가 장착 되는 각 차량 끝단 부는 선로, 대차, 연결기 등의 변위에 따라 복합적인 움직임을 갖는다. 특히, 선로의 회전 반경과 경사도, 대차의 수직과 수평방향 움직임 그리고 연결기의 압축은 차량 끝단 부의 움직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CAD 프로그램인 CATIA V5를 이용하여 선로, 대차, 연결기 변위를 손쉽게 입력 및 변경하고 선로 위의 차량 끝단 부의 움직임을 가시화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