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증기압력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Zircaloy-4의 수증기 산화 및 수소 침투에 미치는 수증기 압력 및 Edge 영향

  • 옥영길;김선기;김용수;유길성;민덕기;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271-276
    • /
    • 1996
  • Zircaloy-4의 수증기 산화와 이에따른 수소침투에 미치는 압력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400-50$0^{\circ}C$의 온도범위, 1기압하에서 수증기 산화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편의 edge부분에서의 산화율 및 수소침투가속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편의 edge분율에 따른 산화율 및 수소침투량 측정실험을 압력영향과 함께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잠정적인 결과로 1기압에서의 산화율보다 103기압에서의 산화율이 약 50% 정도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후 수증기 압력과 산화율과의 정량적인 상관관계는 좀 더 다양한 압력실험 후 도출될 예정이다. 본 실험의 산화량 범위에서는 시편의 edge분율이 산화율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것으로 나타났으며 더 큰 산화량 범위에서의 edge분율 평가가 진행중이다. 또한 103기압 하의 수증기 산화실험에서는 45$0^{\circ}C$의 경우 국부적인 산화가속화 및 50$0^{\circ}C$에서는 노듈형 산화가 관찰되었으며 이것으로부터 어떤 임계온도 및 임계압력 이상에서 산화메카니즘의 천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Spalling Property and Water Vapor Pressure of Concrete with Heating Rate (가열 속도에 따른 콘크리트의 폭렬 특성 및 내부 수증기압력 평가)

  • Choe, Gyeong-Cheol;Lee, Tae-Gyu;Nam, Jeong-Soo;Park, Byung-Keun;Kim, Gyu-Yo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4 no.5
    • /
    • pp.605-612
    • /
    • 2012
  • Spalling of concrete occurs due to vapor pressure ignited explosion, temperature difference across a section, and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Factors affecting spalling can be classifi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material proper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 respectively, have to be considered to precisely understand spalling behavior. A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differences in heating rate cause internal humidity cohesion and different vapor pressure behavior. Therefore, spalling property, vapor pressure and thermal strain property were measured from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s of 30 MPa, 50 MPa, 70 MPa, 90 MPa, and 110 MPa, applied with ISO-834 standard heating curve of $1^{\circ}C/min$ heating rat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spalling occurred when rapid heating condition was applied. Also, when concrete strength was higher, the more cross section loss from spalling occurred. Also, spalling property is influenced by first pressure cancellation effect of thermal expansion caused by vapor pressure and heating rates.

Evaluation on Water Vapor Pressure and Restrained Stress of Concrete by Ring-Type Restrained Condition (링형 강관 구속 조건에 의한 콘크리트의 수증기압력과 구속응력 평가)

  • Kim, Do-Yeon;Kim, Gyu-Yong;Lee, Sang-Kyu;Son, Min-Jae;Baek, Jae-Wook;Nam, Je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8.11a
    • /
    • pp.27-28
    • /
    • 2018
  • In this study, water vapor pressure and restrained stress were evaluated by ring-type restrained condition for compressive strength 60 and 80MPa concret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80MPa concrete has higher water vapor pressure and restraint stress than the 60MPa concrete, resulting in spalling occurrence. It is because, the higher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the more dense the internal structure is formed.

  • PDF

Evaluation on Water Vapor Pressure of Amorphous Steel Fiber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비정질 강섬유 혼입 고강도콘크리트의 수증기압력 평가)

  • Kim, Duck-Woo;Kim, Gyu-Yong;Hwang, Eui-Chul;Son, Min-Jae;Baek, Jae-Wook;Nam, Je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8.11a
    • /
    • pp.44-45
    • /
    • 2018
  • In this study, water vapor pressure of high strength concrete reinforced with amorphous steel fiber(AF) was evaluat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palling occurs when the incorporation rate of amorphous steel fiber is 0.5 vol.% or more. This is because the ratio of AF increased per unit area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water vapor pressure discharge passage by the polypropylene fiber(PPF) mel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proper mixing ratio of AF and PPF to prevent spalling.

  • PDF

Study on $H_2O$ plasma by using VHF ICP (VHF ICP를 이용한 $H_2O$ 플라즈마 연구)

  • Kim, Dae-Woon;Choo, Won-Il;Jeon, Ye-Jin;Lee, Seung-Heun;Joo, Jung-Hoon;Kwon, Sung-K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459-459
    • /
    • 2007
  • VHF ICP (Very High Frequency Inductively Coupled Plasma) 반응기에서 반응기 압력, 수증기 유량, 플라즈마 출력, 반응기온도 등의 공정변수에 따른 수증기 분해특성과 수소생성거동을 실험하였다. 플라즈마 분해 특성은 OES(Optical Emission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QMS(Quadrapole Mass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배기가스 성분을 분석하여, 수증기 분해거동 및 수소생성 효율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실에서 설계한 초고주파 유도결합 플라즈마는 고밀도 플라즈마 생성과 낮은 압력에서도 안정된 플라즈마 발생 특징을 나타내었다. 플라즈마 출력의 증가에 따른 수증기의 분해와 수소생성 거동은 개시영역, 선형증가영역, 포화영역의 세 영역으로 구분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유량 및 압력의 증가에 따라 포화에 필요한 플라즈마의 출력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의 온도범위에서는 온도 증가에 따른 수증기 분해 및 수소생성 증가효과는 플라즈마 출력의 영향에 비하여 매우 미미한 정도로 플라즈마의 높은 에너지 전달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낮은 반응기 온도에서도, 유량 및 압력에 따른 포화 플라즈마조건을 설정할 경우, 높은 에너지 효율의 수소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물분해 플라즈마를 이용한 저온 산화물 박막증착에의 적용도 기대된다.

  • PDF

Observation of Formed Oxide Layer of Zirconium Alloy at the High Temperature under the High Steam Pressure (고온-고압 수증기에서 형성된 지르코늄 합금의 산화막 관찰)

  • Yang, Seong-U;Park, Gw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177-179
    • /
    • 2007
  • 지르코늄 합금 피복관을 고온-고압 수증기 분위기에서 산화시켰으며 이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수증기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산화량은 증가하였고, 산화막 두께 또한 두꺼워졌다. 산화된 시편의 산화막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대기압하에서 산화된 시편은 균일한 산화막을 갖는 반면 고압 수증기하에서 산화된 시편은 많은 균일이 관찰되었다.

  • PDF

지르칼로이-4의 고압 고온 수중기에서 산화 반응 속도

  • 박광헌;김규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0.11a
    • /
    • pp.35-36
    • /
    • 2000
  • 핵연료의 피복관은 핵분열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성 핵분열생성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첫번째 방어막의 역할을 하며, 피복관의 건전성은 정상 상태는 물론 이고 사고시에도 위해한 핵분열생성물의 방출을 억제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단사정 산화막 영역에서만 수증기 압력에 의한 산화가속 효과가 존재하는데, 아직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산화속도 모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선 실험자료를 근거로 하여, 절실히 요구되는 $1000^{\circ}C$ 이하 영역에서 의 수증기 압력을 고려한 산화속도식을 개발하여, 보다 정확한 원전 사고해석이 가능 하도록 하는데 기여하려 한다.

  • PDF

Zircaloy-4의 고압 수증기 산화 및 수소침투

  • 옥영길;김선기;김용수;유길성;민덕기;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139-146
    • /
    • 1997
  • Zircaloy-4의 수증기 산화와 이에 따른 수소침투의 압력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pre-transition과 post-transition의 영역에서 1~103 기압의 압력 범위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시편의 edge부분에서의 산화율 및 수소침투 가속화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시편의 edge 분율에 따른 산화율 및 수소침투량 실험을 압력영향과 함께 수행하였다. 또 steam corrosion과 waterside corrosion의 비교를 위해 산화율에 따른 수소침투를 평가하였다. 잠정적인 결과로서 pre-transition 영역, 즉, 37$0^{\circ}C$, 72시간에서 103기압에서의 산화가 1 기압에서의 산화보다 약 50% 증가된 값을 가졌고,post-transition 영역, 즉, $700^{\circ}C$, 210분에서는 최고 150%의 산화 가속화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수소 침투량 역시 산화가 가속화된 만큼 증가하였다. 그리고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산화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pre-transition영역과 post-transition영역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시편의 edge 분율에 따른 산화율의 변화에 대해서는 37$0^{\circ}C$, 72시간의 경우 산화량이 적어 별다른 영향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 $700^{\circ}C$, 210분에서는 시편의 표면적에 대한 edg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산화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논문들에서 주장하고 있는 뚜렷한 edge의 영향을 관측하기는 어려웠다.

  • PDF

Evaluation on Vapor Pressure of Ultra-high-strength Concrete by Heating Condition (가열조건에 따른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내부수증기압력 평가)

  • Hwang, Eui-Chul;Kim, Gyu-Yong;Yoon, Min-Ho;Lee, Bo-Kyeong;Seo, Won-woo;Baek, Ja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4-225
    • /
    • 2017
  • Ultra-high-strength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is likely to cause spalling. Spalling is caused by the vapor pressure of the concrete, and the vapor pressur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eating conditions of the concrete. Therefore, in this study, a ring-type restrained specimen was fabricated using ultra-high-strength concrete and the vapor pressure generated in the concrete by heating condition(rapid and slow heating) was evaluated.

  • PDF

Hydration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Brown Treated with Superheated Steam Process (과열 수증기 공정에 의하여 처리한 현미의 수화 및 조직특성)

  • 김철진;이수정;조용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6
    • /
    • pp.1190-1194
    • /
    • 2000
  • 과열 수증기 공정처리 효과가 현미의 수화 및 조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현미(동진)를 과열수증기의 압력이 $1kg_{f}/$\textrm{cm}^2$$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수증기의 온도를 127, 150, 16$0^{\circ}C$로 달리하면서 과열 수증기 처리를 하였다. 수분흡수속도는 수침온도(60~8$0^{\circ}C$)에 따라서 현미와 백미가 각각 0.03569~0.1049 $cm/min^{-1/2}$와 0.03474~0/1618 $cm/min^{-1/2}$의 범위를 보였다. 현미와 백미의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6.98 및 9.59 cal/mole을 나타내어 열수화 특성이 다름을 보였다. 한편, 과열 수증기 처리현미의 경우 $65^{\circ}C$에서의 확산계수는 18.96$\times$$10^{-5}$$\textrm{cm}^2$/min)와 처리하지 않은 현미(22.28$\times$$10^{-5}$$\textrm{cm}^2$/min)의 중간 값을 나타내었다. 과열 수증기처리 후 현미의 표면조직은 균열이 발생하였는데, 수증기 온도가 높을수록 균열의 정도가 컸다. 이상과 같은 수증기 처리는 현미 강층의 구조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 전분층의 부분적 균열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결과를 보인 것으로 예측된다.

  • PDF